[단독] ‘1000억’ 기상관측장비 두고 ‘복붙’ 재난문자만 수십통 보낸 지자체
산사태 대응에 중요한 정보
클릭 한 번이면 파악되는데
재난문자엔 한마디도 없어
폭우에 의한 침수와 산사태 등으로 인명피해가 크게 발생한 가운데 전국적으로 1000억원을 들여 설치한 기상관측장비가 주민 대피를 알리는 재난문자에 전혀 활용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자체 마다 내부시스템을 통해 누적강수량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도 대부분의 지자체는 ‘복사 후 붙이기’ 방식의 스팸성 재난문자만 주민들에게 수십통 발송했다.
18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경북 예천군은 집중호우가 내린 지난 14일 오전 1시47분쯤 ‘우리지역 호우주의보 발효 중’이라는 내용의 재난문자 1건을 발송했다. 이후 지난 15일 새벽 예천읍·용문·효자·감천·은풍면 등 5개 읍·면에서 산사태 등으로 인명피해가 발생하자 예천군은 17건의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이날 폭우로 예천군에서만 12명이 숨지고 5명이 실종됐다.
이 문자들은 대부분 ‘예천군 전 지역 산사태 경보’ ‘호우로 침수위험 발생’ ‘위험지역 접근금지’ 등 행정안전부와 산림청 등이 보낸 문자와 같은 내용이었다. 물기를 가득 머금은 상태에서 비가 많이 내릴 때 일어나는 산사태 특성상 가장 중요한 누적강수량에 대한 정보는 아예 없었다.
강수량 정보는 지자체 내부망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지자체는 자동기상관측장비(AWS) 또는 강우량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장비는 1~10분 간격으로 설치된 지역의 강수량을 측정한다. 원하는 시간대 해당 지역에 얼마정도 비가 내렸는지, 최대 강수량은 얼마인지 클릭 한 번으로 알 수 있다. 성능에 따라 풍속과 풍향까지 실시간으로 제공된다.
하지만 이번 폭우로 인명피해가 발생한 예천·영주·봉화·문경에서 이같은 정보를 포함해 재난문자를 발송한 지자체는 없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월1일 기준 AWS·강우량계는 전국에 4323대가 설치돼 있다. 1대 가격이 600만~8000만원인 점을 고려하면 전체 설치 비용만 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농촌의 경우 수도권과 대비해 넓은 면적에 적은 인구가 흩어져 살고 있다”며 “천편일률적인 재난문자를 받고 어르신들이 위기감을 느껴 대피하길 바라는 것은 탁상공론”이라고 지적했다.
예천군의 면적(661.5㎢)도 서울(605.25㎢) 보다 넓다. 인구수는 5만5672명(지난달 기준)이다. 서울 인구(841만8885명)의 0.66%가 서울보다 큰 면적에 사는 셈이다. 실제 지난 15일 예천읍에서는 102㎜의 비가 내렸지만, 지보면에는 절반 정도인 59㎜에 그쳤다. 농어촌의 경우 지역별 상황에 맞는 정확한 기상정보 제공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산사태 현장에서 만난 주민 원순남씨(56·영주시 풍기읍)는 “군청이나 행정안전부 등 온갖 기관에서 온 문자가 70통이 넘는다”면서 “이제껏 비가 많이 와도 산사태가 난 적은 없어서 사고를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70대 주민 김모씨(예천군 효자면)도 “지금도 문자가 계속 들어오지만 형식적이어서 잘 안 본다”고 말했다.
지자체의 재난문자가 일종의 ‘면피성’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재난·재해 상황이 발생하면 각 기관이 하루에도 수십건씩 무차별적으로 재난문자를 발송하는데 정작 중요정보는 빠져 있기 때문이다. 지난 5월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 직후 서울시가 무엇 때문인지, 어디로 대피하라는 건지 설명없는 재난문자를 보낸 것이 대표적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재난 문자를 많이 보낸다는 것 자체가 놀지 않고 일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단이 됐다”며 “중복되는 재난 문자를 보내지 말라는 민원도 있지만, 자치단체장 입장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지자체가 재난문자 송출 권한을 받은 것은 2016년 경북 경주 지진 발생 이후다. 당시 정부가 지진 이후 10분이나 늦게 재난문자를 발송하면서 논란이 됐다. 이후 정부는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에 재난문자 송출 권한을 줬다.
별 효용없는 재난문자가 홍수를 이루자 ‘재난문자 알림 끄기’ 검색어도 함께 폭증하고 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재난문자’를 검색하면 ‘재난문자 알람 끄기’가 자동 검색된다. 재난문자의 남발이 재난문자가 긴급하지 않다는 인식을 국민에게 심어준 것이다.
정영훈 경북대 건설방재공학과 교수는 “촌락의 특징을 고려해 마을 이장들과 비상연락망을 항시 가동하면서 많은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될 때는 반강제적으로라도 대피시키는 등 보다 현실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현수 기자 kh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문기의 추석 선물’ ‘딸에게 보낸 동영상’···이재명 ‘선거법 위반’ 판결문
- 조국 “민주주의 논쟁에 허위 있을 수도···정치생명 끊을 일인가”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
- [사설] 이재명 선거법 1심 ‘당선 무효형’, 현실이 된 야당의 사법리스크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드라마인가, 공연인가…안방의 눈과 귀 사로잡은 ‘정년이’
- 중학생 시절 축구부 후배 다치게 했다가···성인 돼 형사처벌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