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쓰레기가 비행기 원료로 변신"···ESG 앞장선 SK, 초기투자 참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네바다주의 절경인 타호호수에서 차로 약 1시간 거리에 위치한 리노 지역에는 최근 테슬라 기가팩토리와 더불어 각종 친환경 기업들이 줄줄이 들어서고 있다.
그중에서도 에너지와 항공 업계의 눈길을 한 몸에 받는 기업이 바로 쓰레기를 항공유로 변신시키는 펄크럼바이오에너지(펄크럼)다.
이곳에서 만든 합성원유는 미국 정유사 마라톤에 전량 공급돼 지속가능항공유(SAF)로 재탄생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바이오에너지 기업 펄크럼 네바다공장 가보니
세계 최초 합성원유 공장 상업가동
연 50만톤 쓰레기서 26만배럴 생산
폐기물 자원화하고 탄소배출 절감
국내 도입 위해선 법령 정비 필요
미국 네바다주의 절경인 타호호수에서 차로 약 1시간 거리에 위치한 리노 지역에는 최근 테슬라 기가팩토리와 더불어 각종 친환경 기업들이 줄줄이 들어서고 있다. 그중에서도 에너지와 항공 업계의 눈길을 한 몸에 받는 기업이 바로 쓰레기를 항공유로 변신시키는 펄크럼바이오에너지(펄크럼)다. 펄크럼은 지난해 12월 폐기물 가스화를 바탕으로 한 합성원유 생산 시설 시에라 공장을 세계 최초로 상업 가동했다. 인류의 골칫덩이로 비행기를 띄우는 마법 같은 일이 이곳에서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13일(현지 시간) 시에라 공장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서 만난 에릭 프라이어 펄크럼 최고경영자(CEO)는 “이곳에서 보는 것은 완전히 새로운 산업의 시작이자 새로운 연료 공급원”이라면서 “에너지 산업이 분수령을 맞고 있다”고 밝혔다. 전 세계의 어느 도시에서나 펄크럼의 기술을 활용하면 폐기물 처리와 저탄소 연료 생산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국내에서도 이미 SK이노베이션이 이 같은 기술 도입에 팔을 걷어붙였다.
생활 폐기물을 합성원유로 전환하는 공정은 폐기물 처리에서부터 시작된다. 시에라 공장에서 30㎞ 떨어진 곳에는 폐기물 매립장과 더불어 이를 선별 처리해 공급하는 ‘공급원료처리시설(FPF)’이 있다. 취재진이 FPF에 직접 들어서자 덜컹거리는 컨베이어벨트 위로 각종 폐기물들이 이동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알루미늄·플라스틱·철 등 불연성 폐기물들이 걸러지고 종이·목재·섬유 등 가연성 폐기물들이 3㎝ 이하의 조각으로 최종 분쇄돼 시에라 공장으로 보내졌다.
이처럼 폐기물로 만든 원료(Feedstock)는 건조 처리가 돼 냄새도 거의 나지 않았다. 손으로 만지면 바스락거리는 촉감이 느껴질 정도였다. 여기에 산소와 스팀을 주입해 분해하면 수소와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합성가스가 생성되고, 다시 촉매 공정을 거치면 액체 탄화수소(합성원유)가 만들어진다고 펄크럼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이곳에서 만든 합성원유는 미국 정유사 마라톤에 전량 공급돼 지속가능항공유(SAF)로 재탄생한다. 시에라 공장에서는 연 50만 톤의 폐기물을 처리해 합성원유 26만 배럴을 만드는데 이는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을 항공편으로 약 180회 왕복하는 데 쓰이는 연료량과 맞먹는다.
폐기물 자원화가 결실을 보기까지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 개선이 있었다. 프라이어 CEO는 “첫 공장을 지을 때 미 국방부의 보조금을 받았고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비롯한 많은 저탄소 프로그램들이 우리에게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IRA를 통해 SAF에 대해 1갤런당 보조금 1.25~1.75달러를 지급하기로 했다. SAF 사업의 경제성을 담보하기 위한 조치다. 미국 환경보호청(EPA)도 폐기물 가스화와 이를 통한 합성원유 정제의 법적 근거를 일찌감치 수립했다.
펄크럼의 가치를 알아본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석유 회사 BP와 유나이티드, 일본항공(JAL), 홍콩 캐세이퍼시픽 등이 이미 펄크럼에 자본을 댔다. 국내 기업들 가운데는 SK㈜와 SK이노베이션이 총 80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이를 통해 폐기물 가스화 기술을 국내에 도입하려 하고 있다.
다만 국내에서는 합성원유 정제에 대한 법적 근거도 없을 정도로 아직 사업 토양이 부실한 상황이다. 현행법에 따르면 항공유와 같은 석유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유’만 정제하도록 하고 있다. 세계 SAF 시장 규모가 2050년까지 연평균 26%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를 대비하기 위한 법령 정비와 규제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글·사진(네바다)=윤홍우 특파원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seoulbird@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0억 거절 이효리 11년만에 상업광고…부르는 게 값?
- 송혜교 집 공사하다 철근 떨어져 이웃 주민 차 파손에 결국
- '시럽급여' 없앤다고?…'회사 '실업급여 갑질'이 더 심각해요'
- 영국 해안서 고래 50여마리 '떼죽음'…사회적 유대 때문?
- ''먹튀' 소식만 접했는데'…군인 몰래 40만원 결제한 중년 남성 '훈훈'
- 국가재난상황인데…싸이 '날씨도 완벽' 부적절 후기 논란
- 오송 지하차도 현장서 '방긋'…노란 옷 입은 저 사람 누구지?
- 현역 女의사 중 싸움 가장 잘한다더니…3년만에 프로복싱 韓 챔피언 등극
- 얼빠진 충북도·청주시·흥덕구…'오송 지하차도의 비극'은 인재
- 춘천 산골 마을 일곱째 막둥이 출산…마을 50번째 주민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