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금 유치 진퇴양난… 'K-유니콘' 사라진다

최유빈 기자 2023. 7. 18. 06: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비상등 켜진 기업 자금조달] ③ 유니콘 성장 기대받았던 스타트업, 돈맥경화에 비상

[편집자주]기업들이 자금조달에 난항을 겪고 있다. 경기침체 등의 여파로 수익성이 줄어든 상황에서 금리인상이 겹치며 이자 비용을 감당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부담을 줄이기 위해 유상증자 등으로 눈을 돌려 자금조달을 시도하지만 소액주주들의 반발이 거세다.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자금조달은 더욱 쉽지 않다. 스타트업은 자금유치 난항으로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고금리로 투자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벤처기업들의 고심이 깊어진다. /그래픽=김은옥 기자
▶기사 게재 순서
①심화되는 돈맥경화… 한계기업 늘어난다
②대출 어려우면 유상증자라도… 기업 자금조달 안간힘
③투자금 유치 진퇴양난… 'K-유니콘' 사라진다
경기 부진과 고금리로 시중 자금이 마르는 '돈맥경화' 현상이 벌어지면서 벤처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예비 유니콘으로 기대받았던 스타트업들도 자금유치에 난항을 겪고 있다. 국내 대기업 자본이 벤처투자에 활용될 수 있도록 기업주도형 벤처케피탈(CVC)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韓 유니콘 기업, 글로벌 점유율 감소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유니콘 기업 주요국 비교'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전 세계에서 한국의 유니콘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전 세계 유니콘 기업 수는 449개에서 1209개로 2.7배 늘었다. 같은 기간 미국은 218개에서 655개로 3배가량 늘었으나 한국은 10개에서 14개로 1.4배 느는 데 그쳤다. 이 기간 한국 유니콘 기업의 글로벌 점유율은 2.2%에서 1.2%로 줄었다.
한국 유니콘 기업의 가치는 감소하는 추세다. 2021년 쿠팡이 상장하며 유니콘 기업에서 빠진 뒤 다른 기업의 유입이 미미했기 때문이다. 한국 유니콘 기업 가치는 2019년 290억달러(약 37조1000억원)에서 2023년 325억달러(약 41조6000억원)로 12.1% 증가했으나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에서 0.8%로 축소됐다. 이 기간 미국의 비중은 48.8%에서 53.4%, 영국은 4.3%에서 4.8%, 독일은 1.9%에서 2.1%로 늘었다.
주요국 유니콘 비중, 가치 추이. /그래픽=김은옥 기자
토종 동영상스트리밍서비스(OTT) 왓챠는 지난해 1000억원 규모의 프리IPO(상장 전 투자유치)에 실패한 뒤 매각에 나섰으나 인수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왓챠의 기업가치는 한때 3000억원 이상으로 평가되기도 했으나 현재 200억원대로 떨어졌다.

국내 대표 다중채널네트워크(MCN) 기업인 샌드박스네트워크도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인수합병(M&A) 시장에선 샌드박스네트워크의 경영권이 매물로 나올지 주목하고 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유명 유튜버인 슈카월드, 빠니보틀, 침착맨, 풍월량 등이 소속된 곳으로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예비 유니콘으로 선정된 바 있다.

유망 스타트업들이 유니콘 기업 반열에 오르지 못하면서 한국의 유니콘 기업 순환도 역시 주요국 대비 낮다. 유니콘 기업 순환도는 벤처시장에서 기업의 유입과 유출이 얼마나 활발하게 이뤄지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유입 비율을 남아있는 기업 비율로 나눈 수치를 의미한다. 주요국의 유니콘 기업 순환도를 살펴보면 미국 5.49, 프랑스 5.25, 인도 4.38, 독일 3.83 등으로 집계됐으나 한국은 1.0으로 차이 났다.


유니콘 키우려면 '규제 개선'으로 자금조달 늘려야


유니콘 기업이 혁신 촉진, 신사업 발굴, 고용 확대 등 다양한 순기능을 유발하는 만큼 우수 벤처 육성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유니콘 기업을 키우기 위해선 원활한 투자금 유치가 필수이기에 각종 규제 개선으로 자금조달을 도와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한국의 벤처투자는 주요 국가 대비 스타트업의 초기 투자 비중은 크지만 중후기 투자 비중이 작아 스타트업이 유니콘으로 성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전경련이 2021년 발표한 '유니콘 기업 배출 세계 5개 강국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중후기 투자유치 비중은 5.1%로 미국(13.5%), 중국(9.4%), 인도(12.0%), 이스라엘(11.7%) 등보다 낮다.

스타트업 투자를 막는 요인 중 하나는 한국의 투자 회수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주요국가의 투자금 회수는 M&A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데 한국은 상대적으로 투자 회수 시장이 경직돼 있다고 평가된다. 대한상공회의소의 싱크탱크인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가 지난해 발표한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과제'에 따르면 유니콘 수 상위 10개 국가의 유니콘 기업의 엑시트 비율은 한국이 0%로 최하위권이다. 주요국 중에선 미국이 33%로 가장 높고 중국(32%), 영국(17%), 인도(6%) 등 이 뒤를 이었다.

신규 사업에 대규모 투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자금 여력이 있는 대기업의 참여를 독려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기업이 주도하는 벤처인 CVC 규제를 개선해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주요 규제는 지주회사의 CVC 지분 100% 보유 의무, 지주회사 CVC의 부채비율 200%로 제한, CVC 조성 펀드에 외부자금 비중 40%로 제한, 소속 기업집단 총수일가 지분보유 기업 투자금지 등이다.

유정주 전경련 기업제도팀장은 "옛날보다 나아졌지만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 규제가 많은 편"이라며 "기업이 커갈수록 벤처기업이었을 때 받았던 혜택이 사라져 굳이 스케일업을 할 만한 요인이 없다"고 밝혔다. "CVC 규제 등을 개선해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유빈 기자 langsam41@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