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압박·소비침체 이중 펀치 … 외상후스트레스 빠진 中경제
6월 대규모 쇼핑축제에도
소비 증가율 한자릿수 추락
부동산시장도 탈출구 안보여
"공동부유·美中무역전쟁 몰두
시주석 경제발전 목표 잊어"
머지않아 3%성장 고착화 전망
◆ 新차이나 리스크 ◆
"중국 경제의 상반기 지표는 추가 경제 회복이 병목현상에 직면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 경제는 지난 몇 년간 다중 충격 이후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에 빠졌다."(천창화 알레티아캐피털 애널리스트)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상반기 경제 성적은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약발이 제대로 먹히지 않으면서 다시 주저앉고 있는 중국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줬다.
종합 성적표라고 할 수 있는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6.3%를 기록했다. 지난 1분기 성장률인 4.5%는 웃돌았지만 로이터가 집계한 2분기 시장 전망치(7.3%)를 크게 밑돌았다. 특히 지난해 2분기는 상하이·베이징 등 대도시 봉쇄로 인해 성장률이 0.4%로 내려앉았던 시기다. 이 같은 비교 시점을 고려하면 기저 효과조차 제대로 살리지 못한 '기대 이하' 성적표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이에 올해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벌써 시들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반기에도 중국 경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 정부 목표치인 5% 성장률 달성 가능성이 크게 낮아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6월 주요 실물지표인 생산·소비·투자는 일부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중국 지도부가 강조했던 소비는 가장 부진한 흐름을 나타냈다.
중국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지난달 3.1% 증가에 그쳤다. 중국 소매판매는 기저 효과에 힘입어 4월 18.4%, 5월 12.7% 증가하며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6월 증가율이 3%대로 크게 낮아진 것이다. 더욱이 6월에는 중국 최대 쇼핑축제 중 하나인 '6·18 행사'가 진행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소비자들이 좀처럼 지갑을 열지 않으면서 내수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소비지출은 중국 GDP 기여율이 60%에 달할 정도로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중국 당국으로서는 소비 부진이 가장 뼈아픈 대목인 셈이다.
투자 역시 부진했다.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 자본 투자에 대한 변화를 보여주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1~6월 3.8%로 집계됐다. 전달 4.0%는 물론 시장 예상치 4.3%를 밑도는 수치다.
특히 부동산 개발 투자가 7.9% 감소해 여전히 부동산 시장에 온기가 돌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산업생산은 일부 개선되는 흐름을 보였다. 6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4.4%로 전달(3.5%)과 시장 예상치(2.4%)를 웃돌았다. 하지만 회복세는 국유기업에 집중됐고, 외국계 기업이나 중소기업은 여전히 회복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리오프닝 이후에도 경제가 좀처럼 빠르게 회복되지 못하면서 고용시장에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6월 중국 도시 실업률은 5.2%를 기록하며 전달과 같았지만 16~24세 청년실업률은 21.3%를 기록해 한 달 만에 또다시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더욱이 7월은 중국 대학교 졸업시즌이다. 올해 대졸자는 역대 최대 규모인 1158만명에 달하는 만큼 중국 청년 실업률은 앞으로도 당분간 상승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상된다.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이후에도 중국 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면서 결국 중국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더 빠르게 고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중국 경제성장률이 2025년부터 4%를 하회하고 2027년에는 개혁개방 이후 처음으로 3%대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의 저성장 고착화 원인으로는 중국 경제가 안고 있는 구조적 한계가 거론된다. 그동안 중국 경제에 통용됐던 '부채를 이용한 성장' 공식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된 것이 대표적인 예다. 경기 침체로 인한 고용시장 악화가 다시 소비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인구 감소 위기도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미 인도에 세계 최대 인구 대국 자리를 넘긴 중국은 2050년까지 생산 가능 인구가 2억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고성장 시대에 누렸던 '인구 보너스'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다.
결국 다급한 중국 정부가 올해 하반기 대규모 부양책을 꺼내들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하오저우 궈타이쥔안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소비 부진이 가장 심각한 만큼 수요 측면에서 확실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며 "추가 금리 인하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천창화 알레티아캐피털 애널리스트는 "지난 10년간 중국 정부는 주요 정책 목표로서 경제 성장의 중요성을 경시했다. '공동부유(함께 잘살기)'와 부동산 디레버리징, 기업 규제, 지정학적 경쟁에 몰두했다"며 "정부가 경제 발전이 여전히 가장 중요한 목표임을 다시 명확히 하고 소비자와 기업으로부터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이징 손일선 특파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여자가 옷 벗고 돌아다닌다”…출동 경찰 집에 가보니 ‘충격적 장면’ - 매일경제
- ‘에코프로도 울고 간다’…1년 만에 20배 폭등한 이 종목 - 매일경제
- 지하도로 물 쏟아지자 ‘역주행’車…‘경적’ 울려 다른 차들도 구했다 - 매일경제
- “다른 곳에 주차”…종이 박스에 적힌 이유 ‘실소’ - 매일경제
- “1100만명 부족해요”…월급 팍팍 줄테니 60세 넘어도 일하라는데 - 매일경제
- [단독] 선진국선 좋다고 난리인데…한국은 병원도 환자도 거부, 왜? - 매일경제
- “30만원 조용히 계산”…군인 4명 음식값 대신 낸 중년 男 - 매일경제
- “밥한끼 먹기도 겁난다” 태풍도 닥칠텐데…벌써 초토화된 밥상물가 - 매일경제
- 1km 추격전 끝 음주뺑소니범 잡은 이천수, 경찰 감사장 받았다 - 매일경제
- 황의조, 노팅엄 복귀 후 프리시즌 결승골 폭발...EPL 데뷔 정조준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