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 노동력 부족 AI가 대체...주 4일제 근무 견인할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지능(AI)이 인간의 고차원적인 사고와 추론 영역마저 메우는 건 '시간과의 싸움'일 뿐입니다."
그는 "과거 200년 동안은 기술의 발달이 육체노동을 자동화해 왔고 향후 50년은 지적노동을 자동화해 나갈 것"이라며 "AI가 일자리를 뺏는게 아니라 노동시간이 줄이는데 기여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는 "AI는 단순 반복적인 노동뿐만 아니라 기존의 지적 노동도 대체하겠지만, 사람들은 또다른 새로운 일을 찾아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I 소프트웨어 기업 최초 기술특례 상장
"기술발달 육체노동 자동화, AI는 정신노동 자동화"
"AI가 주당 근로시간 30시간으로 줄이는 데 기여"
챗GPT 루시아, 전문지식 바탕 대화 가능
[이데일리TV 이지은 문다애 기자] “인공지능(AI)이 인간의 고차원적인 사고와 추론 영역마저 메우는 건 ‘시간과의 싸움’일 뿐입니다.”
이경일(사진) 솔트룩스(304100) 대표는 이데일리TV ‘찾아가는 이근면한 경영수다’에 출연해 이렇게 말했다. 이 대표는 23년간 인공지능 분야 외길을 걸어온 AI 전문가다. 지난 2000년 인공지능 기업 솔트룩스를 창업했다.
회사는 자연어 처리, 시맨틱, 추론 등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야의 독보적인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허 출원 105건, 등록 82건 등 인공지능 분야에서 국내에서 단일 기업으로는 가장 많은 지적재산권을 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솔트룩스는 2020년 국내 AI 소프트웨어 기업 최초로 기술특례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AI, 새로운 일자리 만들고 근로시간 단축”
그는 AI가 발전하면 사람들의 일자리를 위협할 거라는 우려에 대해 오히려 AI가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하고 근로 환경을 향상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대표는 “지난 100년간 근로자들의 주당 평균 근무 시간은 60시간에서 40시간으로 줄었다. 저는 앞으로 30년간 40시간에서 30시간 이하로 줄어든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200년 동안은 기술의 발달이 육체노동을 자동화해 왔고 향후 50년은 지적노동을 자동화해 나갈 것”이라며 “AI가 일자리를 뺏는게 아니라 노동시간이 줄이는데 기여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노동인구의 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을 AI가 상당 부분 충당해 나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20년 후엔 20세부터 60세까지의 노동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AI가 일자리를 뺏는 것이 아니라 AI 없이 일하기 힘든 세상이 되는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AI는 단순 반복적인 노동뿐만 아니라 기존의 지적 노동도 대체하겠지만, 사람들은 또다른 새로운 일을 찾아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AI에 대한 막연한 공포를 극복하고, 현실적인 위협을 통제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대표는 “가장 많은 사람을 죽였고, 죽이고 있는 기계가 자동차”라며 “영국은 자동차가 등장하자 사고를 줄이기 위해 세계 최초의 교통법인 적기조례를 만들었다. 두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제도와 시스템이 만들어지고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딥페이크 등 AI로 파생된 신종 범죄들이 있다. 정부차원에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제도를 보완해 나가는 한편 기술자들은 더 안전하고 신뢰할수 있는 AI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경쟁사를 묻는 질문에 SK텔레콤, KT같은 통신사와 네이버, 카카오 등 검색 플랫폼을 꼽았다. 가장 앞서 있는 기업을 묻자 이 대표는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는 분야가 워낙 넓기에 어느 기업이 잘한다고 한 곳만 꼽긴 힘들다”면서도 “검색 분야의 강자는 네이버, 가전제품은 LG”라고 답했다.
이 대표는 솔트룩스는 대화형 챗봇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지난 3월에 선보인 ‘루시아’는 챗GPT와 같은 시스템이라고 보면 된다”며 “루시아의 강점은 한국말을 잘한다는 것과 특화된 분야의 전문지식”이라고 설명했다.
루시아는 생성형 AI로 음성 및 이미지 등을 학습하고 이해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인공지능 기술로 개발됐다.
기존의 챗GPT는 사전 학습과 파인튜닝(Fine-tuning:추가 학습) 중심으로 만들어져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한 대화가 어렵지만 루시아는 가능하다는 게 이 대표의 설명이다.
그는 “솔트룩스는 미래를 향해 끊임없이 혁신하는 기업”이라며 “일반인도 누구나 휴대전화로 사용 가능한 AI 서비스를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지은 (ezez@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대본, '폭우 피해' 오전 6시 집계 사망 39명…시신 1구 추가 수습
- “이게 재밌어요?” 오송 참사 현장서 웃은 공무원, 해명 보니
- 인천 아파트서 30대 칼부림…1명 심정지·2명 부상
- 검정 봉투로 CCTV 가린 노조, 업무방해?…대법원은 “정당행위”
- '시민 위안의 밤'에 발생한 최악의 압사 사고[그해 오늘]
- 4호 태풍 ‘탈림’ 북상 중…韓 장마전선에 영향 줄까
- 입소문 나자 '오픈런'까지…백화점 '반찬 구독' 인기 폭발
- 단속 예고에도 영어유치원은 ‘문전성시’…학부모 “계속 보낼 것”
- 산사태로 ‘나는 자연인이다’ 주인공 실종…아내는 사망
- 남부지방 장맛비 계속…시간당 30~60㎜ 비[오늘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