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그 물난리 겪고서도…달라진 게 없다
오송 지하차도 침수 인명피해 등
1년 전 ‘힌남노 수해 비극’ 되풀이
사전통제·대피 지시 없거나 혼선
재난 대응 시스템 무너진 ‘인재’
지자체 ‘판단 역량 부족’도 지적
집중호우가 이어지면서 충청·경북·전북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산사태와 지하차도 침수 등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번 호우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공식 집계한 사망·실종자는 16일 오후 6시 현재 46명이다.
지난해 태풍 힌남노 피해 발생 후 정부가 철저한 대비를 약속했음에도 지하 침수 등 피해가 반복된다는 점에서 정부·지자체의 재난 관리 부실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컨트롤타워와 실행기관 간의 괴리 등 관련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에 침수사고가 일어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 제2지하차도의 경우 사고 수시간 전에 이미 인근 하천에 홍수경보가 발령됐다. 붕괴되면서 범람의 직접적 원인을 제공한 하천 제방은 ‘공사 중’인 상태였다. 행정안전부 중심으로 꾸려진 중대본은 이번 집중호우를 앞두고 수차례 관계기관에 “산사태·급경사지 등 붕괴 우려 지역에 대한 예찰 강화와 해안가 저지대 침수, 하천 범람 등에 대비해 사전 통제와 주민 대피를 적극 실시할 것”을 지시했다. 이 같은 지시가 제대로만 이행됐어도 이번 사고는 막을 수 있었을지 모른다.
지시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건 컨트롤타워와 실행기관 사이의 괴리 때문이다. 재난 상황의 컨트롤타워인 중대본은 ‘산사태 우려 지역에 대한 예찰을 강화하라’ ‘침수 피해가 우려될 경우 차량 통행을 제한하라’는 방침을 정하고 실행 주체인 자치단체에 이를 지시한다.
그런데 ‘산사태 우려 지역’에 대한 구체적 기준이나, 어떤 상황일 경우 ‘침수 피해가 우려된다’고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해선 따로 지침을 주지 않는다. 정작 이를 스스로 판단해야 할 자치단체는 전문성이나 역량이 부족한 곳이 많다.
가령 지난 15일 산사태로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경북 예천군 효자면 백석리와 감천면 벌방리는 예천군이 지정·관리하던 산사태 위험지역 66곳에 해당되지 않았다. 궁평 제2지하차도의 경우 관할 지자체는 지하차도 자체의 침수 수위만 살폈을 뿐 인근 하천의 범람 위험은 계산에 넣지 못했다. 채진 목원대 소방안전관리학과 교수는 “가장 중요한 건 재난 대비 협력기관들끼리 정보를 공유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라며 “이번 수해는 정황상 재난 대응 체계가 무너져 발생한 인재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나 지자체가 시설이나 장비 확충 위주의 대책에만 기댄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해 폭우로 서울 강남역 일대가 물바다가 된 이후 당국은 순간 배수용량을 늘리기 위해 ‘대심도 빗물터널’ 공사를 추진 중이다. 그러나 완공은 일러야 2027년이다. 당장 지난 13일 강남역 도로에선 한때 물이 발목까지 차오르는 등 지난해와 비슷한 상황이 재현됐다. 관할 자치단체가 우기를 앞두고 최근 빗물받이 청소 횟수를 늘렸으나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주변 쓰레기들이 폭우에 떠내려가 빗물받이를 순식간에 막은 것이다. 문현철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은 “자치단체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이 부여한 응급조치, 통행금지, 교통통제, 대피명령 등을 적극 행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용필·강정의 기자 phil@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 “저지대 진입 통제 무리하다 싶게 해달라”
- 주말 철길도 막혀…“출근해야 하는데” 발 동동
- 백제·고려 유적 할퀸 수마…공주 공산성 누각 침수
- 또 쏟아진다…18일까지 충청·전북·경북에 최대 300㎜ 폭우
- “버스에 물 들어온다” 친구와 통화 후 연락 끊겨
- 새벽 “하천 위험” 경보에도 무방비 4시간…9명 희생 키웠다
- “제발 살아만 있어라” 진흙더미 헤치며 실종자 수색 안간힘
- 짧고 강한 비에 안전지대 없었다…지자체, 뒤늦게 대피명령
- 가차 없는 ‘물폭탄’에 사망 37명·실종 9명·이재민 9000명 육박
- ‘김문기의 추석 선물’ ‘딸에게 보낸 동영상’···이재명 ‘선거법 위반’ 판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