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가치사슬 유기적 연계가 성패 좌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내년부터 100만명을 대상으로 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추진하는 가운데 바이오 데이터 생산, 저장·유통, 활용을 아우르는 가치사슬 연계가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는 100만명 규모의 임상정보, 유전체 등 오믹스 데이터, 개인보유 건강정보 등을 통합해 구축·개방하는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내년부터 100만명을 대상으로 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추진하는 가운데 바이오 데이터 생산, 저장·유통, 활용을 아우르는 가치사슬 연계가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앞으로 축적되는 국내 바이오 데이터는 2026년 14PB(페타바이트) 규모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를 분석하려면 최소 1만 코어 이상의 컴퓨팅 인프라가 필요하다.
16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의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활용하기 위한 인프라가 사업의 필수 성공요건으로 꼽힌다.
정부는 100만명 규모의 임상정보, 유전체 등 오믹스 데이터, 개인보유 건강정보 등을 통합해 구축·개방하는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한다. 이 사업은 1단계(2024∼2028년), 2단계(2029∼2032년)로 나눠 9년 동안 진행되는 것으로, 우선 내년부터 2028년까지 6065억원을 들여 77만명의 바이오 데이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병원, 건강검진센터 등에서 일반인의 자발적 참여와 동의를 거쳐 혈액, 소변 등 검체와 임상정보, 유전체 등 오믹스 데이터를 확보하게 된다. 이미 영국, 미국 등 주요국은 바이오 빅데이터를 신약, 의료기기 개발, 예방·맞춤 의료 등에 활용되는 국가전략자산으로 인식하고 관련 투자를 하고 있다.
보고서는 바이오 데이터 생산부터 저장·유통·활용에 이르는 가치사슬의 유기적 연계와 함께, 바이오 데이터 생산 단계부터 민감 정보 활용과 개인정보보호 문제 해결을 위한 법적 기반과 기술적 데이터 보호체계 구축이 필수라고 진단했다. 데이터 저장·유통 단계에서는 국가 데이터 수집·공유 체계를 강화하고, 수집 데이터 간 연결성을 높여 데이터 저장·유통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위한 컴퓨팅 인프라와 디지털 바이오에 맞는 AI 모델, 협업 네트워크 구축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준학 KISTI 바이오의료팀 책임연구원은 "이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바이오 분야에 특화된 전용 컴퓨팅 인프라 구축과 클라우드 기반의 연구환경, 데이터 특성에 맞는 분석·시뮬레이션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관련 산학연 협력과, 데이터 생산자와 전문기관, 연구자 간 연구협업 네트워크 및 데이터 공유 체계 확보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블랙박스 끄고 만져주세요"…승객에게 성추행당하는 택시기사
- `워터밤 오사카` 공연 취소... 男 스태프 시속 120km 물대포 맞아 사망
- 가수 리아 “오염수 방류시 또 가져올 것”…김연주 “‘청산가리’ 김규리 떠올라”
- 한강 제트스키 물대포에 아이 `퍽`하고 날아가 머리 수술
- "고소 취하 안하면 또 공개"…황의조 2차 협박 당했다
- 韓 "여야의정 제안 뒤집고 가상자산 뜬금 과세… 민주당 관성적 반대냐"
- [트럼프 2기 시동] 트럼프, 김정은과 협상할까… "트럼프 일방적 양보 안 할 것"
- 내년 세계성장률 3.2→3.0%… `트럼피즘` 美 0.4%p 상승
- `범현대 3세` 정기선 수석부회장, HD현대 방향성 주도한다
- "AI전환과 글로벌경쟁 가속… 힘 합쳐 도약 이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