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과 올해 휩쓴 `극한호우`…새로운 기후 패턴 왜 생겼나
차고 건조 vs 따뜻하고 습한 공기 충돌로 강한 비구름대 발달
'단기간에 좁은 지역' 폭우 패턴…갈수록 강도 세질 전망
대한민국이 '극한 호우'의 시대를 맞았다.
보통 1시간 강수량이 30㎜를 넘으면 '집중호우'라고 부른다. 그런데 최근 이보다 2배 이상 강한 비가 매일 어딘가에서 쏟아지고 있어 주목된다.
최근 10~14일 전국 639개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설치 지점 중 시간당 강수량이 가장 많았던 곳을 보면 충남 공주시 정안면 63㎜,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76.5㎜, 경남 통영시 사량면 63.5㎜, 전북 부안군 위도면 63㎜ 등의 기록이 있다.
특히 지난 11일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의 시간당 강수량은 올여름부터 기상청 긴급재난문자 발송 대상에 들어간 '극한호우'의 기준을 충족한 기록이다. '극한호우' 긴급재난문자는 지난해 8월 8일 중부지방 집중호우같이 '상식과 경험을 뛰어넘는 극단적 폭우'가 발생할 때 피해를 줄이자는 차원에서 도입됐다. 이를 도입되자마자 발송 사례가 나온 것이다.
'극한호우'라는 용어 자체는 기상청이 긴급재난문자 발송 기준('1시간에 50㎜'와 '3시간에 90㎜'를 동시에 충족할 경우)을 설명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단순히 강수량 총량이 많은 걸 넘어 '매우 짧은 시간에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극단적인' 비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개념이다.
지난해 중부지방 집중호우 때도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에 한 시간 동안 141.5㎜의 비가 쏟아졌다. 이는 비공식이긴 하지만 서울 1시간 강수량 역대 최고치였다.
올해 장마에서도 이런 양상이 보인다. 이날 오전 10시 기준 비가 가장 쏟아진 곳은 충남 청양군 정산면으로, 오전 3시 48분부터 1시간에 51㎜ 비가 내렸다.
전북 군산시와 경북 문경시에는 14일 하루에만 비가 372.8㎜와 189.8㎜ 내렸는데, 이 역시 해당 지역에서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일강수량 역대 최고치다.
전북 전주시(14일 일강수량 251.5㎜)와 부안군(194.5㎜), 충남 서산시(208.1㎜)와 금산군(195.1㎜)에서는 '7월 일강수량 최고치'가 경신됐다.
이처럼 '매우 많고 강한 비'를 몰고 온 원인은 한반도 북쪽에 자리한 저기압 뒤에서 부는 차고 건조한 공기와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강하게 충돌하면서 비구름대를 잘 발달시켰기 때문이다. 북쪽에서 내려오는 건조한 공기가 습한 공기 밑을 파고들면서 습한 공기가 급상승했고, 이에 비구름대가 높은 고도까지 만들어졌다. 이것이 '매우 많고 매우 강한 비'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북태평양고기압과 몬순 기압골의 영향으로 지상으로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계속 유입되고, 대기 상층으론 북쪽 저기압의 한랭건조가 들어오는 상황에서 비의 재료와 비를 만들 조리도구가 모두 갖춰진 셈이다.
장마철의 양상도 불규칙해졌다. 재작년처럼 단 17일에 그치고 지나갈 때도 있다. 그래서 '장마'라는 표현을 포기하자는 얘기도 나온다.
다만, '정체전선에 저기압이 동반돼 장맛비가 내리는 경우'가 최근 증가세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정체전선상에 저기압이 발달하면 폭우가 늘어나게 된다. 작년 장마철이 대표적이다. '저기압을 동반한 정체전선'이 지난해 장마철 주로 중부지방만 통과하면서 중부지방 장마철 강수량은 398.6㎜에 달했다. 반면, 남부지방은 202.3㎜에 그쳐 두 지방 간 강수량 차가 매우 컸다.
모든 극한 기후 현상과 마찬가지로 '극한호우'도 기후변화로 늘어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극한호우 긴급재난문자 발송 기준(1시간 강수량 50㎜와 3시간 강수량 90㎜ 모두 달성)에 부합하는 비는 2013년 48건에서 2017년 88건, 2020년 117건, 작년 108건 등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기상청은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이번 세기 후반기(2081~2100년) 연강수량은 3~18% 증가하고, 강수일은 5.6~6일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집중호우가 증가한다는 의미다.
작년 6월에는 '산업기술의 빠른 발전에 중점을 둬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고 도시 위주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경우'(SSP5-8.5)에는 '100년 재현빈도 극한강수량'(100년 만에 한 번 오는 수준)이 현재(2000~2019년) 187.1~318.4㎜(일누적강수량)인데 2040년(이번 세기 전반기)까지 208.5~492.7㎜, 금세기 후반기까지 257.9~630.2㎜로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최근 환경연구원은 SSP5-8.5를 적용 시 연중 최다 일강수량(1일 최다강수량)이 근미래(2020~2049년)에 현재보다 8.5% 증가한 146.2㎜, 중미래(2050~2079년)와 먼미래(2080~2099년)에 각각 현재와 비교해 23.2%와 36.1% 많은 165.9㎜와 182.9㎜로 늘어난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워터밤 오사카` 공연 취소... 男 스태프 시속 120km 물대포 맞아 사망
- 가수 리아 “오염수 방류시 또 가져올 것”…김연주 “‘청산가리’ 김규리 떠올라”
- 한강 제트스키 물대포에 아이 `퍽`하고 날아가 머리 수술
- "고소 취하 안하면 또 공개"…황의조 2차 협박 당했다
- 식당서 `아기 숟가락` 요구했다가... "저러니 `맘충`소리 듣지" 악담한 20대들
- 韓 "여야의정 제안 뒤집고 가상자산 뜬금 과세… 민주당 관성적 반대냐"
- [트럼프 2기 시동] 트럼프, 김정은과 협상할까… "트럼프 일방적 양보 안 할 것"
- 내년 세계성장률 3.2→3.0%… `트럼피즘` 美 0.4%p 상승
- `범현대 3세` 정기선 수석부회장, HD현대 방향성 주도한다
- "AI전환과 글로벌경쟁 가속… 힘 합쳐 도약 이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