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가 바닷물 색깔 바꾼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광활한 에메랄드빛 바다.
휴가철 바닷가를 찾은 관광객들이 기대하는 풍경이지만 앞으로는 녹색 빛깔로 반짝이는 바다가 마냥 좋다고 생각하기만은 어려울 듯싶다.
연구진은 바다표면에서 초록색 또는 파란색 빛이 얼마나 반사되는지 확인한 결과, 최근 20년간 녹색빛으로 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일반적으로 바다는 햇빛이 비칠 때 붉은색을 흡수해 파란색을 띠지만 물속에 엽록소를 가진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포량이 높으면 녹색을 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활한 에메랄드빛 바다. 휴가철 바닷가를 찾은 관광객들이 기대하는 풍경이지만 앞으로는 녹색 빛깔로 반짝이는 바다가 마냥 좋다고 생각하기만은 어려울 듯싶다. 기후변화가 적도 근처 열대지역의 바다색을 푸른색에서 녹색으로 바꾸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12일(현지시각) 영국 국립해양연구센터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최근 20년간 전 세계 바다 56% 이상의 색깔이 바뀌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를 통해 발표했다.
연구진 바다색이 실제 바뀌었는지 조사하기 위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02년 발사한 해양 관측위성인 ‘아쿠아’에 실린 ‘중간해상도이미지분광방사계(MODIS)’라는 파장분석 장치로 2002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자료를 수집했다. 그 결과, 전 세계 바다의 56%가 자연발생적인 변화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색이 변화한 것을 나타났다.
특히 적도 부근의 열대지역 바다색깔 변화가 두드러졌다. 연구진은 바다표면에서 초록색 또는 파란색 빛이 얼마나 반사되는지 확인한 결과, 최근 20년간 녹색빛으로 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이는 기후변화로 수온이 올라 식물성 플랑크톤이 크게 번식한 결과라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바다는 햇빛이 비칠 때 붉은색을 흡수해 파란색을 띠지만 물속에 엽록소를 가진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포량이 높으면 녹색을 띤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크릴새우·물고기·바닷새 등 해양 포유류 먹이사슬의 하층부에 위치한다.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죽으면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탄소를 격리하는 효과도 있다.
플랑크톤이 늘어 뭐가 나쁘냐고 반문할 수 있지만 과학자들은 먹이사슬과 해양 생태계의 균형이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번 연구의 공동저자인 스테파니 두트키에비츠 MIT수석 연구원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모든 변화는 생태계에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며 “기후변화가 지구 해양 시스템 변화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2021년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교(ETH 취리히) 연구진은 해수 온도상승에 따른 플랑크톤의 변화를 예측한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한 바 있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플랑크톤의 크기와 종의 변화는 해양생태계 먹이사슬에 부정적 영향을 끼쳐 어획량이 떨어지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