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가능물질' 아스파탐…식품업계 대체 움직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2B)로 최종 분류했으며 섭취 기준은 현행대로 유지했다.
식품 업계에선 아스파탐을 다른 원료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질 전망이다.
WHO는 지난 14일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 분류군인 2B에 포함한다고 밝혔다.
식품 업계에선 아스파탐을 대체하려는 시도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2B)로 최종 분류했으며 섭취 기준은 현행대로 유지했다. 식품 업계에선 아스파탐을 다른 원료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질 전망이다.
WHO는 지난 14일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 분류군인 2B에 포함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일일 섭취 허용량을 기존과 같은 체중 1㎏당 40㎎으로 재확인했다.
아스파탐은 설탕의 200배 단맛을 내는 식품 첨가물이다. 무설탕 음료나 사탕, 아이스크림, 막걸리 등에 사용한다. 최근 '제로콜라' 등 제로 열풍이 불면서 사용이 늘었다.
WHO 기준으로 아스파탐의 1일 섭취 권장량은 몸무게 1㎏당 40㎎이다. 막걸리 33병을 마시거나 과자 300봉지를 먹었을 때 해당한다.
식품 업계에선 아스파탐을 대체하려는 시도가 이어질 전망이다. 발암가능물질(2B군) 분류만으로 소비자들로부터 부정적 인식이 확산할 수 있어서다.
롯데칠성음료는 펩시콜라 제로 제품에 들어가는 아스파탐을 대체하기 위해 글로벌 본사와 논의하고 있다. 서울장수 막걸리는 "한국막걸리협회, 동종업계 등과 논의 후 조치 하겠다"고 말했다.
대형마트 3사 역시 자체 브랜드(PB) 제품에 들어간 아스파탐을 다른 원료로 대체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명근 (qwe123@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