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에게 공평한 죽음… 그렇기에 더욱 빛나는 생의 찬란함

정진수 2023. 7. 15. 00: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죽음은 출생, 성장, 노화와 같은 생물학적 현상의 하나다.

생의 유한성을 상징하며 한계와 모순, 장애라고 여겨지는 죽음이 역설적으로 '삶의 조건'이 된다.

죽음이 있기에, '단 한 번의 유일함'이라는 생의 신비가 완성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죽음은 늘 생의 반대말로 여겨졌지만, "책을 넘치게 채우고 있는 것은 생의 찬란함"(697쪽)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죽음 : 이토록 가깝고, 이토록 먼/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김정훈 옮김/호두/3만2000원

죽음은 출생, 성장, 노화와 같은 생물학적 현상의 하나다. 인생을 살아가는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다가오고 예외는 없다. 죽음이 모든 삶의 끝에 오는 ‘당연한 결과’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렇기에 죽음의 역사는 인류 역사와 함께해 왔지만, 여전히 죽음은 너무 낯설고 두렵고 무거운 존재다. 죽음이라는 것이 내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경험하지 못하고, 경험하면 이후에는 내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김정훈 옮김/호두/3만2000원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음악학자인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는 신간 ‘죽음’을 통해 “만일 죽음이 그 이전에도, 그동안에도, 그 이후에도 생각할 수 없는 것이라면, 우리는 언제 죽음을 생각할 수 있는 것일까”라고 묻는다. 저자가 소르본에서 1957∼1959년 두 학기 동안 강의하고 방송한 내용에서 시작된 책은 1966년 유럽과 미국, 일본 등에서 소개되며 죽음에 대한 사유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받았다.

저자는 죽음에 대한 근원적이고 오래된 질문을 던지면서 이를 철학이나 개념으로 만들어 가지는 않는다. 질문의 목적 역시 해답을 얻기 위한 것은 아니다. 플라톤, 베르그송, 니체, 쇼펜하우어 등 다양한 철학자뿐 아니라 레프 톨스토이, 마누엘 데 파야, 프란시스코 고야 등 문학·미술·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와 작품을 폭넓게 언급하며 사람들의 죽음에 대한 시선과 죽음의 다면성을 고찰한다.

책은 죽음을 세 개의 인칭으로 구별한다. 일인칭은 나의 죽음, 이인칭은 나와 가까운 사람의 죽음, 삼인칭은 익명의 대상의 죽음이다. 나의 죽음은 경험할 수도, 알 수도 없다. 반면 이인칭의 죽음은 비통함과 절망을 경험하고, 죽음을 실제적인 것으로 마주하게 해준다. 삼인칭은 추상적인 익명의 죽음으로, 개념적으로 파악되는 죽음이다.

인간이 죽음을 진지하게 받아들일 때는 ‘실제성과 임박함, 몸소 관련됨’이라는 삼박자가 맞아떨어질 때다. 죽음의 가까움을 느끼게 되면 관념적으로만 생각하던 죽음은 완전히 다른 의미로 다가오게 된다.

그렇게 죽음을 탐색하다 보면 죽음은 결국 삶을 둘러싸고 있고, 또 삶에 스며들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생의 유한성을 상징하며 한계와 모순, 장애라고 여겨지는 죽음이 역설적으로 ‘삶의 조건’이 된다. 죽음이 있기에, ‘단 한 번의 유일함’이라는 생의 신비가 완성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죽음은 늘 생의 반대말로 여겨졌지만, “책을 넘치게 채우고 있는 것은 생의 찬란함”(697쪽)이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