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파탐 ‘발암가능물질’ 의미는?…WHO “섭취량 조절 필요”

박병수 2023. 7. 14. 13: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감미료가 든 다이어트 콜라를 마실지 설탕이 든 일반 콜라를 마실지 결정해야 한다면 제3의 선택지를 권하고 싶다. 바로 물을 마시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식품안전 담당 책임자인 프란세스코 브랑카는 14일(현지 시각)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 물질"로 분류하는 발표를 하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스파탐, 김치·피클 등 절임음식 포함된 2B군 분류
60~70㎏ 사람, 다이어트 콜라 하루 9~14캔이 한도
설탕 대신 저열량 인공감미료가 사용된 ‘다이어트 콜라’가 13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상점에 전시되어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인공감미료가 든 다이어트 콜라를 마실지 설탕이 든 일반 콜라를 마실지 결정해야 한다면 제3의 선택지를 권하고 싶다. 바로 물을 마시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식품안전 담당 책임자인 프란세스코 브랑카는 14일(현지 시각)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 물질”로 분류하는 발표를 하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그는 “가끔 마시는 것도 대부분의 사람에게 해로울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며 제조 업체에 모든 식품에서 아스파탐을 당장 빼라고 요구하진 않지만, (과다 사용을 삼가는 등) 조절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설탕 대신 인공 감미료를 사용하는 게 살빼기에 도움이 된다는 통념은 근거가 없다’는 올 초 세계보건기구 보고서 내용을 재확인하면서 “우리의 주장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날 세계보건기구 산하의 ‘국제암연구소’(IARC)와 세계보건기구·유엔식량농업기구(FAO) 공동 산하기구인 ‘식품첨가물전문가합동위원회’(JECFA)는 아스파탐의 유해성 평가 결과를 담은 자료를 내고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 분류군인 ‘2B’에 포함한다고 밝혔다.국제암연구소는 발암 위험도에 따라 1(확정적 발암 물질), 2A(발암 추정물질), 2B(발암 가능물질), 3(분류 불가) 등으로 분류한다. 1에는 술·담배, 가공육 등이 속하고, 2A에는 적색 고기와 고온의 튀김 등이, 2B에는 김치나 피클 등의 절임채소가 포함된다. 2B는 발암 가능성이 있지만 증거가 제한적일 때 주로 분류한다.

국제암연구소는 이번 결정이 간암과 감미료 사이의 연관성과 관련한 미국과 유럽의 연구 결과에 기초해 내려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최근 동물 연구도 고려 대상이 됐으며, 일부 아스파탐이 암과 연관된 화학물을 함유하고 있다는 제한된 증거가 제시되고 있는 점도 고려됐다고 밝혔다. 국제암연구소의 논문 책임자인 마리 슈바워-베리간은 “우리 견해로는 국제연구자 공동체가 아스파탐 섭취가 초래할지 모르는 암 관련 위험성을 더 잘 이해하고 명료하게 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식품첨가물전문가합동위원회는 아스파탐의 하루 허용섭취량을 기존과 같은 몸무게 1㎏당 40㎜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런 기준은 1981년 처음 제정된 이래 바뀌지 않은 것으로, 몸무게 60~70㎏인 사람이 다이어트 콜라를 하루 9~14캔 마시는 것과 비슷하다.

일부에선 아스파탐과 발암의 연관성이 취약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시다스 시나이 메디컬 센터’의 암역학 교수 폴 파라오는 “국제암연구소의 ‘2B군’ 분류는 매우 보수적인 분류”라며 “일반 대중은 2B군으로 분류된 화학물의 암 유발 위험에 대해 거의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또 국제 음료연합위원회의 케이트 로트먼 이사는 “세계보건기구의 이번 발표로 오히려 아스파탐의 안전이 다시 확인됐다”고도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