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오염수 팩트체크] ⑥삼중수소가 몸 속에서 암을 유발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르면 한 달 내에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한다.
삼중수소가 몸속에 들어오면 대부분은 물(H2O)에서 하나의 수소가 삼중수소로 바뀐 'HTO' 형태로 존재한다.
2011년 캐나다원자력안전위원회가 ICRP의 '삼중수소수의 생물역학' 자료를 인용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우리 몸에 삼중수소가 들어와 존재할 수 있는 형태의 97%는 HTO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이르면 한 달 내에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한다. 최근에 공개된 국제원자력기구(IAEA) 최종 검토보고서와 국내 자체 검토보고서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는 '과학적으로' 국제기준에 부합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여전히 국내 정치권은 물론 학계에서도 오염수 방류를 놓고 찬반 논란이 진행중이다. 동아사이언스는 오염수 방류 관련 들여다봐야 할 과학적 근거에 대한 팩트체크 시리즈를 총 7차례에 걸쳐 게재한다.
유전체를 아주 세밀히 들여다보면 A, T, C, G와 같은 염기가 두 개씩 손을 잡고 있다. 이런 연결은 100mSv 이하의 저선량 방사선에도 끊어질 수 있다. 삼중수소는 붕괴하며 베타선을 방출한다. 이때 방출되는 베타선의 에너지는 평균 5.7keV로 C-14(49KeV), 세슘-137(1176KeV)이 방출하는 방사선에 비하면 에너지가 크지 않다. 하지만 삼중수소가 유전체를 끊을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삼중수소가 몸속에 들어오면 대부분은 물(H2O)에서 하나의 수소가 삼중수소로 바뀐 ‘HTO’ 형태로 존재한다. 그리고 간혹 유기화합물과 만난 ‘OBT(유기결합삼중수소)’로 존재하기도 한다. HTO로 존재하는 삼중수소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약 12일이다. 12일 이후에는 인체에 흡수된 삼중수소 절반이 체외로 배출된다. 다만 OBT의 경우 짧게는 40일에서 길게는 350일까지 우리 몸에 머문다.
이렇게 몸에 남는 삼중수소의 양은 극히 적다. 2011년 캐나다원자력안전위원회가 ICRP의 ‘삼중수소수의 생물역학’ 자료를 인용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우리 몸에 삼중수소가 들어와 존재할 수 있는 형태의 97%는 HTO다. 나머지 3%는 반감기가 약 40일인 OBT와 반감기가 350일인 OBT다.
몸속 삼중수소는 거의 물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47%가 소변으로, 3%가 대변으로 50%는 땀 등의 배설물로 배출된다. 사람들이 걱정하는 부분은 삼중수소가 빠져나가기 전 몸속에서 붕괴해 세포가 피폭될 가능성이다.
ICRP에서 제안한 자연 방사선 외에 인공 방사선에 대한 추가 피폭 제한 권고치는 연간 1mSv이다. 정용훈 교수는 “일본이 방류할 계획인 삼중수소의 양은 1500Bq/L로, 그럴리 없겠지만 방류된 오염수를 매일 2L씩 마신다면 1년에 피폭량이 0.02mSv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전복 1마리, 바나나 200개 정도를 먹었을 때 몸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내부 피폭 위험이 아예 없다고 말하기도 어렵다. 도경현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는 대한의사협회지를 통해 유전체 사슬이 1개만 끊어졌을 경우엔 바르게 회복되지만 2개 이상 끊어지면 극히 드물게 암이 발생하거나 암 억제 유전자의 손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또 다시 저선량 방사선의 위험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진다.
강건욱 서울대병원 핵의학과 의료학과 교수는 “일상 생활을 하면서도 세포는 계속 죽고 DNA는 계속 변화하지만, 우리 몸의 수정 메커니즘이 탁월하다”며 “저선량 방사선으로 인한 세포 변형이 암을 일으킨다는 역학적 근거가 아직은 부족하다”고 의견을 표했다.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팩트체크 총정리는 과학동아 7월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보러가기 : https://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2307N013
[김미래 기자 futurekim93@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