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급전대출 늘고, 연체율도 7%로 껑충

명지예 기자(bright@mk.co.kr) 2023. 7. 13. 17: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총 대출잔액 2조 줄었지만
소액신용대출만 80억 늘어
자격요건 느슨한 500만원 대출
금리는 年 17~19%대 달해
연체액 3개월새 90억 증가
저축銀, 급전창구 문턱 높일듯

저축은행업권의 대출 잔액이 줄어드는 가운데 소액신용대출 잔액만 나 홀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액신용대출은 주로 저신용자가 이용하는 '급전 대출'로, 대출 한도는 낮고 금리는 높은 상품이다. 비싼 이자를 주고도 급하게 돈을 빌리려는 취약차주 수요가 끊이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경기 악화 여파로 소액신용대출 연체액이 빠르게 늘고 있어 저축은행 급전 창구 문턱이 점점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업권의 소액신용대출 잔액은 올해 1분기 1조217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80억원가량 늘었다. 이 기간 총 대출액이 115조원에서 113조원으로 줄어든 것과는 반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대출 종류별 잔액을 살펴보면 기업대출 잔액은 약 2조원, 가계대출 잔액은 약 3000억원 줄었다. 하지만 가계대출 분류에 포함되는 소액신용대출만 홀로 증가하는 추세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소액신용대출을 받으려는 수요는 꾸준히 많은데, 올해는 물가도 오르고 경기가 좋지 않아 급히 돈 나갈 곳이 있거나 생활비가 부족해져서 급전 대출을 필요로 하는 이들이 더 많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소액신용대출은 신용점수가 350점(하위 5% 수준) 이상인 차주를 대상으로 별다른 조건 없이 300만~500만원 이내로 대출해주는 상품이다. 저축은행업권의 소액신용대출 금리는 연 17~19%대로 책정된다. 법정 최고 금리인 연 20%에 육박하는 고금리 대출인 셈이다. 대출심사가 다른 신용대출 상품에 비해 까다롭지 않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도 적용되지 않아 급전이 필요한 차주가 주로 이용한다.

리스크가 높은 고금리 상품 특성상 연체율이 높다. 저축은행 소액신용대출 연체액은 올해 1분기 746억원으로, 지난해 말(657억원)보다 90억원가량 늘었다. 소액신용대출 연체액이 700억원대로 오른 것은 2018년 이후 처음이다. 연체율은 지난해 6%대까지 떨어졌다가 올해 1분기에 7.3%로 크게 뛰었다. 올해 1분기 저축은행업계 총 대출 연체율인 5.1%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저축은행업권은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해 소액신용대출을 점점 보수적으로 취급할 것으로 보인다. 총 대출에서 소액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 수준에 불과하지만 올해 들어 저축은행업권 실적이 적자로 돌아선 가운데 건전성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 소액신용대출을 취급하는 저축은행 69곳 중 27곳에서만 소액신용대출 잔액이 늘었다. 나머지 42곳에서는 취급 규모를 줄였다. 이미 대형 저축은행에서는 소액신용대출 심사 문턱을 높이고 있다. 자산 규모 상위 5개 저축은행(SBI·OK·한국투자·웰컴·페퍼저축은행) 중 OK저축은행과 페퍼저축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3곳에서는 올해 들어 소액신용대출 잔액을 대폭 줄였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소액신용대출은 다른 대출에 비해 연체가 빠르게 늘어나는 상품이기 때문에 많이 판다고 이득이 되지는 않는다"며 "대형 저축은행들은 리스크가 낮은 중신용자를 대상으로 중금리대출을 더 늘리는 추세"라고 말했다.

저축은행업권이 영업에 난항을 겪으며 저신용자의 급전 대출 창구가 더욱 좁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3월 금융위원회가 개시한 '소액생계비대출'이 흥행한 배경에는 어디를 가든 50만원도 빌리기 힘든 저신용자의 절박한 상황이 있다. 올해 책정된 소액생계비대출 예산은 1000억원인데 지난달 말까지 약 3개월 만에 이미 389억원이 소진됐다.

[명지예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