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답]이창용 "구조개혁 미루다 韓경제규모 순위 더 낮아진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고령화와 저출산 (등에 따른 우리사회) 구조조정을 미뤘기 때문에 기업경쟁력이 많이 둔화됐다"며 "걱정스럽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마친 뒤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지난해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 순위가 13위로 추락한 배경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한은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명목 GDP는 1조6733억달러(시장 환율 적용)로 세계 13위 수준으로 추정됐다. 전년 10위에서 3계단 하락했다.
한국은 2021년만 해도 명목 GDP 1조8109억달러의 10위 경제 대국이었다. 당시에는 11위 러시아(1조7787억달러), 12위 호주(1조7345억달러), 13위 브라질(1조6089억달러)을 제쳤지만 지난해 추월 당했다. 러시아(9위), 브라질(11위), 호주(12위) 등이 우리나라를 앞섰다.
다만 이 총재는 지난해 순위에 대해서는 "환율 변동에 따른 단기적 순위 변화"라고 큰 의미 부여를 하지 않았다. 지난해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라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환율 영향을 유독 크게 받은 영향이란 설명이다. 단기적 환율 요인에 따른 순위 변동은 추후 얼마든 재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총재는 다른 측면에서 한국의 경제규모 순위 하락 가능성을 우려했다. 그는 "단기 환율은 언제든 바뀔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고령화와 저출산 등 구조개혁을 미뤄 경쟁력이 둔화되고 성장률이 낮아져 경제순위가 떨어지는 게 더 걱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출산과 고령화를 '정해진 미래'로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시각을 경계했다. 이 총재는 "저출산 트렌드 자체도 '정해진 미래'라기 보다는 우리가 어떻게 구조개혁을 통해 대응하느냐에 따라 얼마든 (미래가) 달라질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눈에 보이는 추세를 구조개혁 못해서 마치 피하지 못할 운명처럼 받아들이지는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 총재와의 일문일답.
단기적으로 환율 변동에 의해 조금 변동하는 것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지만 더 걱정스러운 것은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가 고령화, 저출 등 여러가지 구조조정을 미뤘기 때문에 기업경쟁력이 많이 둔화됐다.
이런 것을 고려하면 한국 성장률이 낮아지게 되면 불가피하게 경제규모의 순위도 낮아질 것이다. 그게 더 구조적으로 큰 문제다. 이런 트렌드 자체도 정해진 미래라기보다는 우리가 어떻게 구조개혁을 통해서 대응하느냐에 따라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구조개혁을 하지 못해서 눈에 보이는 추세를 피할 수 없는 운명처럼 받아들이지는 말아야 한다.
다만 예전과 달리 다행인 것은 그동안 여러 규제가 작동하면서 한 섹터, 예를 들어 특정 증권이나 상호저축, 새마을금고 등 한 섹터가 다 위기에 몰린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새마을금고도 그 안에서 건전한 곳이 있고 익스포저가 큰 곳이 있다. 지금 문제가 특정 섹터보단 개별기관 문제기 때문에 조정해가며 연착륙하는 과정에서 순서 있게 대처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가계부채는 부동산 시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단기적으로 급격히 조정하려고 하면 의도치 않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최근 부동산 PF 문제, 역전세난, 새마을금고 사태 등이 그 예일 것이다. 지금은 단기적으로 부동산시장 연착륙을 위해 자금 흐름 물꼬를 트는 미시적 대응이 필요한 동시에 중장기적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줄여나가는 거시적 대응도 균형 있게 추진하는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다.
가계부채 문제 때문에 금리를 앞으로 올릴 가능성이 있느냐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가계부채가 예상보다 더 크게 늘어난다면 금리뿐만 아니라 거시건전성 규제를 다시 강화한다든지 여러 정책을 통해서 대응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고 생각한다. 금통위원들도 이런 모든 가능성을 다 열어 놓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정부의 역전세난 대책 등이 가계부채를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건 분명하다. 그러나 이는 미시적으로 자금시장 물꼬를 틀 필요가 있어서 하는 정책이고 이 자체가 (거시적 통화정책과) 상충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정책 공조가 잘 된다고 볼 수도 있고 통화정책이 무용화됐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평가는 조금 지난 뒤에 하면 좋겠다.
금리 인하는 계속 말했듯 물가목표인 2%로 물가가 충분히 수렴하고 있는 과정에 도달했다는 확신이 들 때 인하를 논의할 것이다.
우리 경기 전체로 볼 때는 중국 하나만 보는 것은 아니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좋아진 것도 있고 나빠진 것도 있어 지난 5월 전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근원물가 상승률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다. 공공요금과 재정지출 상황 등을 봐야 하기 때문이다. 물가가 2%대로 수렴한다는 증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생각할 때 바로 그런 변수들을 유심히 보고 있다.
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돌연 사라진 하이틴스타, 마을회관서 월세살이…"하루아침에 빚 4억" - 머니투데이
- '400억 CEO' 홍진경, 전문의도 "타고난 사업가" 인정…이유는? - 머니투데이
- "불륜 합의서 깨자" 먼저 바람피운 남편 돌변…이혼 땐 아내 탓? - 머니투데이
- 박수홍 아내, '사기 피해' 고백…"두려운 마음에 돈 갖다바쳐" - 머니투데이
- "신부 절친과 눈 맞은 신랑, 차 안에서 막…" 블랙박스에 남은 증거 - 머니투데이
- 빽가, 연예인 전 여친 저격…"골초에 가식적, 정말 끝이 없다" - 머니투데이
- '정답 소녀' 김수정, 동덕여대 공학 반대 서명…"모자란 남자" 악플 저격 - 머니투데이
- 큰 돈 번 줄 알았는데…대박난 '삐끼삐끼', 원곡자 토니안이 놓친 것 - 머니투데이
- "지금까지 후회"…윤하, 16년 전 '신인' 아이유에 한 한마디 - 머니투데이
- '4혼' 박영규, 재혼으로 얻은 '54살 차' 딸 최초 공개…꿀이 뚝뚝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