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전문의 상주하면 중환자실 사망률 22% 감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환자실에 전담전문의가 주5일 이상 평일 낮 시간대에 상주하는 제도를 도입하면 중환자들의 사망률을 평균 22%까지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송인애·오탁규 분당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중환자실에 전담전문의가 있으면 중환자들의 사망률을 평균 22%까지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집중치료연보'에 13일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환자실에 전담전문의가 주5일 이상 평일 낮 시간대에 상주하는 제도를 도입하면 중환자들의 사망률을 평균 22%까지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송인애·오탁규 분당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중환자실에 전담전문의가 있으면 중환자들의 사망률을 평균 22%까지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집중치료연보'에 13일 발표했다.
전담전문의 제도는 중환자의학 전문의가 주5일 이상 평일 낮 시간대 중환자실에 상주하는 제도로 환자 상태에 대한 전문적인 조언과 치료 방향성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2009년 대한중환자의학회에서 처음으로 전담전문의 제도와 양성 시스템을 도입한 후 현재 국내에는 2022년 기준 1774명 전담전문의가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환자의 단·장기 생존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전담전문의 고용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정부는 2015년부터 전담전문의가 있는 병원에 특별지원 등 보상체계를 마련했지만 보상이 적어 전담전문의를 고용한 병원은 많지 않다. 2020년 국내 중환자실 적정성 3차 평가에 따르면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수는 평균 22.2 병상으로 미국에서 권고하는 7.5 병상보다 약 3배 정도 많았다.
송인애·오탁규 교수 연구팀은 전담전문의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전담전문의 유무에 따른 중환자 사망률을 비교하는 연구를 시행했다.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중환자실에 입원한 114만7493명과 2020년 10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1만3103명을 분석했다.
연구 대상에 중증 코로나19 환자가 추가된 이유는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전담전문의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서였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산소치료가 불필요한 환자(1급)부터 혈압을 올리는 '승압제' 사용 및 투석, 인공심장 역할을 하는 '에크모' 사용이 필요한 환자(6급)와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진단까지 나눠서 사망률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담전문의에게 치료받은 중환자의 비율은 2016~2019년은 42%, 2020~2021년은 20.2%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담전문의의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중환자실 내 사망률은 전담전문의의 치료받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평균 22% 감소했으며 1년 내 사망률은 15%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의 사망률은 평균 28%까지 낮아졌으며, 특히 질병 예후가 좋지 않아 사망률이 높은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 환자의 사망률은 36% 감소했다.
오탁규 교수는 “전담전문의는 환자 평가 및 치료 방향에 대한 전문가적인 조언을 골든타임 내 제공하기에 사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며 “중환자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전담전문의 고용을 고려해야 하고 특히 중환자 진료는 요즘 젊은 의사들이 기피하는 필수의료 중의 하나로 과도한 업무와 소송 위험 때문에 전담전문의가 되고자 하는 의사들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더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인애 교수는 “전담전문의 고용에 따른 보상이 크지 않아 전담전문의 고용을 고려하는 병원이 적다”며, “전담전문의를 확충하기 위한 충분한 보상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안수연 기자 your@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