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병원·노조 2차 조정도 실패…환자 신음만 커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건의료노조 총파업을 하루 앞두고 양산부산대병원과 부산대병원이 모든 입원 환자를 전원·퇴원 조치(국제신문 12일 자 1·3면 보도)한 가운데 사태 수습을 위한 부산대병원 노사 협상은 제자리걸음만 이어가고 있다.
그는 "핵심 안건인 하청·용역직 500명(6개 업체)의 병원 직고용은 2017년 문재인 정부의 공공기관 직접 고용 지침 이후 지속적으로 요구한 사항으로 부산대병원만 전국 14개 국립대 중 유일하게 전환하지 않았다. 당연한 조치를 병원 측은 여러 이유를 대며 피하려 한다"며 "협상 의지가 없다는 것이 느껴진다. 대화로 풀어갈 생각이 없으면서 노조의 파업 때문에 환자를 퇴원시킨다고 모든 책임을 노조에게 미루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조 "무조건 파업 철회만 요구"
병원 "자회사 설립안 제시했다"
직접 고용 두고 양측 입장 팽팽
의료 공백에 병원 책임론 거세
보건의료노조 총파업을 하루 앞두고 양산부산대병원과 부산대병원이 모든 입원 환자를 전원·퇴원 조치(국제신문 12일 자 1·3면 보도)한 가운데 사태 수습을 위한 부산대병원 노사 협상은 제자리걸음만 이어가고 있다. 양측이 ‘파업’과 ‘환자 강제 퇴원’이라는 초강수로 대립하는 동안 생명을 볼모로 잡힌 환자들의 고통은 갈수록 극심해지고 있다.
12일 보건의료노조 부산대병원 지부에 따르면 전날인 11일 세종시 중앙노동위원회에서 2차 조정이 열렸지만 노사 합의에 끝내 실패했다. 중노위 조정은 교섭 진척이 없을 시 기관이 나서서 중재안을 마련하는 자리다. 필수공익사업장인 병원은 통상 15일 내에 두 차례 회의를 열어 쟁점을 조율하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노조에 파업권이 생긴다. 이날 자리에는 노조 측 대표와 함께 정성운 부산대병원장, 이상돈 양산부산대병원장이참석했다.
노조 측 관계자는 “병원장은 상견례 이후 처음으로 교섭에 참석했다. 노조는 협상 내용이나 투쟁 수위에 대해 조율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계속 전했지만, 병원은 이제 와서 ‘파업을 해제하면 대화하겠다’고 나온다”고 주장했다.
그는 “핵심 안건인 하청·용역직 500명(6개 업체)의 병원 직고용은 2017년 문재인 정부의 공공기관 직접 고용 지침 이후 지속적으로 요구한 사항으로 부산대병원만 전국 14개 국립대 중 유일하게 전환하지 않았다. 당연한 조치를 병원 측은 여러 이유를 대며 피하려 한다”며 “협상 의지가 없다는 것이 느껴진다. 대화로 풀어갈 생각이 없으면서 노조의 파업 때문에 환자를 퇴원시킨다고 모든 책임을 노조에게 미루고 있다”고 비판했다.
병원 측은 노조의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날 병원 측 관계자는 “2017년 당시 정부 지침은 ▷직접고용 ▷자회사 ▷제3의 방식을 제안했다. 병원은 자회사 설립을 우선 해보고 직접 고용을 검토하겠다고 제안했지만 노조에선 직접 고용만을 요구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5월부터 9차례 교섭에 임했다. 직접 고용 외에 임금 인상, 인력 확충 등의 요구가 있는데 국립대병원 특성상 수용에 한계가 있다”며 “당장 해결은 쉽지 않겠지만 합의점을 찾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환자의 목숨을 담보로 한 양측의 팽팽한 입장 차에 의료 공백이 현실화하면서 지역 의료계도 병원이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부산의 한 중소종합병원 관계자는 “전원 의뢰가 며칠 사이 수십 건 들어오는 등 노사 갈등 때문에 환자의 고통만 커지고 있다”며 “부산대병원과 양산부산대병원은 국립대병원이자 지역 주요 거점 의료시설인데 노사 합의 불발로 ‘환자 퇴원 및 전원’ 조치라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게 하는 것은 너무도 무책임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