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첫 노벨과학상 나오려면···상만 좇지말고 연구 즐기시라"
노벨상 목표로 연구해선 안나와···한국 과학 성장
'그래핀' 뱔견 노보셀로프 "젊은연구자 영감얻는 환경"
'중력파' 발견 배리배리시 "의사보다 과학자 시대로"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은 한국 과학계의 숙원이다. ‘2021년 연구개발활동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 비중은 4.96%로 세계 2위 수준이고, 인구 1000명 당 연구원 숫자도 9.1명으로 세계 1위 규모를 갖췄다. 지난해 정부 연구개발 예산이 30조 원을 돌파하는 등 매년 연구개발비를 늘려 투자해왔다. 하지만, 국민이 원하는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는 나오지 않았다. 최근 정부가 연구개발 예산 전면 재검토를 지시하고, 세계적 연구성과를 내라고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최근 ‘한인과학기술인대회’ 참석차 한국을 찾은 미국과 영국 출신의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콘스탄틴 노보셀포프와 배리배리시는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의 투자와 기초과학 발전을 높게 평가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노벨상 수상을 목적으로 연구하지 않았고, ‘운’이 작용했다”며 “연구를 즐겨야 하며, 계속 새로운 방식으로 도전하도록 장려하는 문화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36세 노벨상 받은 천재 “아낌없이 도전해야”
콘스탄틴 노보셀로프는 구소련에서 태어난 물리학자이다. 그는 지난 2010년에 36세의 나이로 스승인 안드레 가임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2004년 흑연에서 스카치테이프로 2차원 탄소 원자층인 그래핀을 분리했다. 당시 30세였던 그는 우연히 하던 실험에서 그래핀을 발견했고, 현재 그래핀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는 자유로운 연구환경을 ‘푸른하늘’, 노벨상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를 ‘가로등 속 열쇠 찾기’에 비유하며 자유로운 연구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가로등 불빛으로 한정해 잃어버린 열쇠를 찾는 게 아니라 푸른 하늘에서 마음껏 연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학생 신분이었지만 두려움 없이 계속 도전해 시행착오도 겪으면서 비교적 이른 나이에 노벨상을 받았다.
노보셀로프는 “어린 나이었지만 과학적으로 영감을 받을 수 있는 환경들에 많이 노출됐다”며 “푸른 하늘 속에서 무엇인가 자유롭게 시도해보고 다른 분야에도 도전하는 것처럼 계속 시도하고 연구 아이디어를 얻었던 부분이 주효했다”고 했다.
무엇보다 자유로운 환경은 특정 분야나 목표를 정해놓지 않고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놓는 것이라고 봤다. 가령 인류에서 남은 문제가 에너지 위기나 지속 가능성 관련 문제이기 때문에, 관련 내용을 우리나라 연구진이 해결해 나간다면 미래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보셀로프는 “특정 분야를 정해놓고 과학자들에게 효용성을 발휘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푸른하늘’ 개념과는 상반된다”면서 “과학자들에게 부담이 생기고, 확장된 생각을 할 수 없게 만든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노보셀로프는 “한국과 중국이 국제협력과 세계적 성과를 중요시하고 인재양성 등 과학기술에 많은 예산을 투자해 인상적”이라며 “한국은 연구개발 투자의 수혜를 받은 국가로 컴퓨터, 휴대폰, 전기차 등에 들어가는 반도체도 30년 전 투자의 결실로 봐야 한다. 기초 과학은 미래 5년이 아니라 500년을 바라보고 연구하고, 결과를 기다려줄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노보셀로프와 달리 배리배리시는 중력파 연구로 지난 2017년에 81세의 상대적으로 많은 나이에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는 킵손, 라이너 바이스와 함께 아인슈타인이 100년 전 예측한 중력파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배리밸리시는 연구를 즐겼던 부분이 노벨상 수상으로 이어졌다고 했다. 탐험하듯이 연구를 즐기고, 도전하는 부분이 중요하다는 취지다.
배리배리시는 “아흔이 다 된 제 나이에도 여전히 연구가 휴식보다 즐겁다”며 “앞으로도 힘이 닿는 데까지 계속 연구를 하려고 한다”고 했다.
배리배리시는 한국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려면 주입식 교육, 보수적 연구문화 관행을 깨야 한다는 조언도 했다.
그는 “한국의 사고가 보수적이고, 연구 분야에서 안전하게 접근하거나 망설이는 부분이 아쉽다”면서 “반면 젊은 인재를 해외로 보내거나 성장시킬 때는 지나치게 완벽한 사람을 보내려고 하는데 다 배우고 성장해 가기보다는 부족하더라도 다양한 문화를 경험해보고 세계적인 연구 기관에서 연구하면서 도전해보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최근 한국에서 과학자 대신 의사를 선호하는 현상에 대해서는 미국도 겪은 현상으로 사회가 발전할수록 과학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리라고 했다.
배리배리시는 “미국도 의대 선호현상을 겪었는데 당장은 어렵겠지만, 돈의 중요성이 더 적은 영향을 끼칠 때까지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며 “선진국으로 발전할수록 의대보다 과학자를 선호하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라고 했다.
그는 한국의 젊은 과학 인재들이 성장하고 ‘오징어게임’ 같은 드라마로 한국문화가 발전했다며, 연구현장에도 창의적인 문화가 확산해 노벨상 수상자도 나왔으면 한다고 기대했다.
배리배리시는 “한국드라마나 영화를 즐겨 찾고 있다”면서 “한국에서도 문화에 쏟는 열정이나 자세를 과학분야에 적용하면 새로운 성과가 나오리라 본다”고 언급했다.
강민구 (science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밀란 쿤데라 별세…향년 94세(종합)
- “30만원 빌려준 거 2000만원으로 갚아” 장기적출 협박까지
-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루이비통家 며느리 만났다
- "외인사 흔적 없어"…故 이지수 유족, 부검 의뢰
- “학생 때는 멸치였는데…” 女 폭행 보디빌더, 동창생들의 폭로
- 프로야구 2차 드래프트, 다시 부활한다...최대 5명 지명 가능
- 손만 대도 쌍방폭행?…휘말리지 않으려면 [궁즉답]
- '똑똑, 계세요' 귀 대고 확인…12분 동안 머물렀다
- ‘부모님이 누구기에’ 6호선 토사물 묵묵히 닦던 청년…300만 명이 봤다
- ‘故 최진실 딸’ 최준희, 외조모 고소…경찰 “양쪽 진술 들어본 뒤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