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기조에도 늘어나는 가계대출···지난달 주담대 7조↑

이윤주·유희곤 기자 2023. 7. 12. 16:1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 지역. 성동훈 기자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1년 9개월만에 최대폭 늘어나면서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정부의 각종 규제 완화, 아파트 입주 물량 증가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이 큰폭 늘어났기 때문이다. 통화정책 긴축기조가 유지되는 상황에서도 가계대출이 오름세를 보이면서, 가계부채가 다시 주요한 위험요인으로 부각되는 모습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아직 주택시장 투기수요로 인한 과열을 우려할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6월 말 기준 1062조3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5조9000억원 증가했다. 6월 가계대출 증가폭은 2021년 9월(6조4000억원) 이후 1년 9개월 만에 가장 컸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들어 지난 3월까지 감소세를 보이다가 4월부터 세달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증가폭도 커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전체 가계대출을 끌어올렸다.

6월 은행 주담대는 주택구입 관련 자금 수요 확대, 입주 물량 증가, 전세자금대출 증가 전환 등으로 7조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증가폭은 2020년 2월(7조8000억원) 이후 3년 4개월 만에 최대였다. 주담대는 올해 2월 잠깐 감소한 뒤, 3월붜 4개월 연속 늘고 있다. 주담대 가운데 전세자금대출은 1000억원을 차지했다.

윤옥자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지난해 부진했던 주택 거래량이 연초부터 늘어나는 가운데 특례보금자리론 공급,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 등이 더해지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주택거래량 증가는 2∼3개월 시차를 두고 은행 주담대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올 1월 1만9000호 수준에서 5월 3만7000호로 늘었고,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 역시 연초 2만2000호에서 6월 4만2000호로 늘었다.

반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6월 1조1000억원 줄어 2021년 11월 이후 19개월째 감소세를 지속했다. 신용대출의 경우 여전히 빚을 내기보다 갚는 경향이 유지되고 있는 셈이다.

아직 주담대와 신용대출 등의 기타대출이 동시에 증가하지는 않고 있지만, 고금리에도 가계대출이 다시 늘어나는 점은 우려할 수밖에 없는 문제다. 김상봉 한성대 교수는 “올해 1월 정부가 부동산 대출 규제를 완화해준 것이 결국 부동산 관련 대출 증가로 연결됐다”면서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 등으로 버티고 있는 다중채무자들까지 감안하면 가계부채는 언제든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지금은 성장세도 낮아진 상태여서, 금융불안까지 온다면 어려운 회복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점이 불안한 요소”라고도 했다.

은행권과 제2금융권을 합친 전 금융권으로 넓혀보더라도 이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6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달 3조5000억원 증가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주담대가 6조4000억원 늘었고, 기타대출은 2조9000억원 줄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권 주담대 증가세 확대는 주택구입 목적의 대출이 증가한 이유도 있지만, 전세보증금 반환·생계자금 등 주택구입 이외 목적의 대출 비중도 크다”며 “가계대출 증가세가 주택시장 투기수요로 인한 과열을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세를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윤주 기자 runyj@kyunghyang.com, 유희곤 기자 hul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