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ing the social malaise of lonely death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의 고독사 위험군이 5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라운 것은 80대 이상(16.6%) 고령층보다 50, 60대(55.5%)의 고독사 위험이 더욱 크다는 조사 결과다.
지난해 12월 정부가 처음 발표한 고독사 실태조사도 결과는 비슷했다.
그 결과 지난해 5명이었던 고독사가 올해는 한 건도 나오지 않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People at risk of dying alone — and undiscovered — number 50,000 in Seoul, according to the city’s findings after surveying 80,000 individuals living alone in one-room or otherwise small rentals over the last two years. The count can go up as the city government plans to visit an additional 60,000 households in the latter half.
What is worrisome is that the ratio of the danger of lonely deaths was 55.5 percent among people in their 50s and 60s, sharply higher than the 16.6 percent among people in their 80s. Most of them did not have anyone around to care for them when they were sick (71.9 percent) or to talk to when they felt gloomy (49.3 percent). As many as 33.5 percent had not communicated with a single person for a week.
The findings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December were no different. The count of lonely deaths surged to 3,378 last year from 2,412 in 2017-2021, of which 52.1 percent were men in their 50s and 60s.
Most of those who died alone had been deprived of welfare benefits. Among those who died alone in 2021, only 38.5 percent were recipients of a basic allowance. The deaths of 35 percent were unnoticed despite their overdue payment of utility bills. A man in his 50s whose corpse was discovered in Gwangjin District, eastern Seoul was found with unpaid power bills for seven consecutive months. Under the government manual,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has is supposed to report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f a payment is overdue for more than three months. The ministry then orders the local district office to check on the individual. The body of the main in his 50s was discovered three months after his death.
Dying alone can be a social homicide. Although people live longer, they are not prepared for their old age. The rise in one-person household has made people’s lives more fractional. The collapse of community weakens social solidarity and isolates the weaker parities. The rise in lonely deaths should be dealt with as a social illness rather than individual problem.
Namyangju City, Gyeonggi, has joined up with multiple welfare and community centers to prevent lonely deaths. It mandated visits to hazardous households five times a week and daily monitoring through remote biometrics. As a result, it has not reported any lonely deaths so far this year after reporting five last year. Lonely deaths can be prevented if social isolation is stopped.
Korea must solve the problem just like Britain and Japan, which have government offices devoted to preventing social isolation. The government must come up with a policy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and increasing single-person households.
고독사 절반이 5060 남성, '사회적 질병' 관심 기울여야
4년 새 40% 늘어 3378명, 실직 등 사회적 고립이 원인주 5회 위기가구 방문, 원격 모니터링의 남양주는 급감
서울시의 고독사 위험군이 5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시원과 임대주택 등 주거 취약계층 8만 가구를 2년 동안 직접 방문해 조사한 결과다. 올 하반기 6만 가구를 추가 조사할 예정이어서 위험군은 훨씬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놀라운 것은 80대 이상(16.6%) 고령층보다 50, 60대(55.5%)의 고독사 위험이 더욱 크다는 조사 결과다. 이들은 ‘아플 때 돌봐줄 사람이 없고’(71.9%), ‘우울할 때 대화 나눌 사람이 마땅치 않은’(49.3%)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1주일간 타인과 소통 횟수가 1회 이하’(33.5%)인 사람도 상당수였다.
지난해 12월 정부가 처음 발표한 고독사 실태조사도 결과는 비슷했다. 고독사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17~2021년 2412명에서 3378명으로 늘었는데, 이 중 52.1%가 50, 60대 남성이었다. 남성의 고독사는 여성보다 5.3배 높고, 격차는 계속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독사가 50, 60대 남성에게 집중된 이유를 실직에 따른 경제적 고통, 불규칙한 식습관과 미흡한 건강관리, 스스로 포기하는 자기 방임 등으로 꼽았다. 쪽방처럼 열악한 환경에 살다 극단의 선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고독사의 상당수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2021년 고독사 사망자 중 기초수급자는 38.5%뿐이었고, 나머지는 제도권 밖에서 홀로 죽음을 맞이했다. 공과금 체납 등 위기 징후를 발견하지 못한 고독사도 35%나 됐다. 실제로 지난달 서울 광진구에서 시체로 발견된 50대 남성은 7개월째 전기료를 납부하지 못했다. 위기 발굴 시스템에 따르면 3개월 이상 체납 시 한국전력이 보건복지부에 통보하고, 지자체가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이 남성은 사망 석 달 만에 주변인의 신고로 발견됐다.
고독사는 ‘홀로 이르는 죽음’을 뜻하지만 본질은 사회적 타살에 가깝다. 수명은 늘었지만 노후 준비는 안 돼 있고, 1인 가구의 증가로 개인은 점점 파편화 되고 있다. 공동체의 붕괴는 사회적 연대를 무너뜨리며 약자들의 고립을 부추긴다. 그런 의미에서 고독사는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라 구조적 고립이 낳은 사회적 질병이라 볼 수 있다.
경기도 남양주시는 올해부터 행정복지센터·지역단체 등과 함께 고독사 예방 체계를 구축했다. 주 5회씩 위기 가구를 방문하고, 원격 생체 감지 시스템으로 매일 모니터링했다. 그 결과 지난해 5명이었던 고독사가 올해는 한 건도 나오지 않았다. 사회적 고립을 없애면 고독사를 예방할 수 있다는 증거다.
영국과 일본이 사회적 고립 문제를 전담하는 부처를 만든 것처럼 한국도 적극적인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라는 시대적 상황을 반영해 알맞은 맞춤형 정책을 내주길 바란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TS's Jungkook to begin solo career with New York concert
- Hwang releases handwritten statement, denies sex video claims
- [THINK ENGLISH] 한국 여자배구 세계 랭킹, 29경기 만에 20계단 이상 추락
- Giant panda twins born in Korea
- One dead, one missing as rains inundate Korea
- Seoul's 'ambitious' tourism goals colliding with reality
- Cho Gue-sung joins Danish club FC Midtjylland
- Six Seoul Firemen Perish When Building Collapses
- Lee Jun-ho to begin Japanese tour this month
- Five members of Loona to hold fan event on July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