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화재감식, 우리 손으로…방진복 입고 잿더미서 답 찾아”[경찰人]

권효중 2023. 7. 12.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화재 현장을 가면 '까만 것은 탄 것, 하얀 것은 안 탄 것'이라고들 합니다. 잿더미만 남은 막막한 현장을 직접 헤집으면서 답을 찾아낼 때의 보람은 그 무엇보다도 크죠."

김영을 서울경찰청 과학수사대 화재감식팀 반장(54·경위)은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보통 과학수사팀에서 화재감식을 같이 하는 경우가 많지만, 서울경찰청은 따로 특화된 화재전담팀을 두고 있다.

화재감식팀은 서울 시내에서 발생한 대규모 화재 현장이라면 어디든 출동해 현장 감식을 벌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영을 서울청 과학수사대 화재감식팀 반장 인터뷰
화재 현장마다 호미·삽 들고 직접 현장 손수 발굴
“고된 작업 끝 원인 찾아내면…고생 눈 녹듯 녹아”
美자격증까지 스스로 공부 “우린 최고의 전문가팀”

[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화재 현장을 가면 ‘까만 것은 탄 것, 하얀 것은 안 탄 것’이라고들 합니다. 잿더미만 남은 막막한 현장을 직접 헤집으면서 답을 찾아낼 때의 보람은 그 무엇보다도 크죠.”

김영을 서울경찰청 과학수사대 화재감식팀 반장(54·경위)은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화재감식 전문수사관인 김 반장은 하루에도 몇 번씩 발생하는 서울 내 화재 신고에 맞춰 팀원 15명과 함께 현장에 나간다. 김 반장은 “샅샅이 현장을 발굴하는 체력은 물론, 소방과 전기·가스 전문가들과도 협업하는 능력을 갖춘 최고의 팀”이라고 팀원들을 소개했다.

김영을 서울경찰청 과학수사대 화재감식팀 반장이 지난달 27일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김 반장은 특수기동대부터 파출소, 수사·형사 업무 등 다양한 경험을 거친 끝에 과학수사에 매력을 느끼게 됐다. 그가 과학수사에 발을 들인 건 2004년으로, 내년이면 20년째다. 김 반장은 “강력 형사 등 업무를 하면서 현장 감식과 과학수사만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며 “2016년 화재 교육을 전문적으로 받아 과학수사 중에서도 화재감식팀에서 일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화재감식은 곧 ‘현장감식’이다. 현장에 나가서 직접 증거를 찾고, 원인을 파악한다. 보통 과학수사팀에서 화재감식을 같이 하는 경우가 많지만, 서울경찰청은 따로 특화된 화재전담팀을 두고 있다.

화재감식팀은 서울 시내에서 발생한 대규모 화재 현장이라면 어디든 출동해 현장 감식을 벌인다. 김 반장은 “보통 화재 현장에선 소방이 화재 감식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경찰은 물론이고 전기안전공사나 가스안전공사에 소속된 사고조사 전담자들도 나온다”며 “타 기관과 협업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경찰 화재감식팀 내에는 폭발물 관련 전문가도 있어 사제폭발물 등 사건에도 출동한다”고 했다.

화재의 원인이 고의로 인한 방화인지, 실수로 일어난 실화인지 등을 밝히려면 화재의 근원을 파악하는 게 우선이다. 현장 증거를 남기기 위한 사진을 촬영하고, 현장 전문가 회의를 거쳐 범위를 좁혀나간다. 김 반장은 “각자 정보를 공유하고 회의를 거쳐 화재 시작 지점을 찾아내고, 당시 목격자의 진술 등도 참고한다”며 “이렇게 범위를 특정한 후에는 ‘발굴’이 시작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화재감식팀은 크린가드(방진복)을 입고, 긴 장화 차림으로 호미 등을 사용해 잿더미를 손수 파낸다. 김 반장은 “여름이면 땀이 쏟아져 장화에 땀이 고이며 10~20분만 일해도 현기증이 나고, 겨울이면 화재 진압을 위해 뿌려놓은 물이 얼어서 도끼까지 동원해야 하는 ‘중노동’”이라고 했다. 여기에 각종 파편과 잔해 등으로 인한 외상, 눈에 보이지 않는 화재 현장의 유해한 기체와 분진 등도 위협이 된다고 했다. 김 반장은 “1년에 몇 번씩 파상풍 주사를 맞고 헬멧을 착용하는 등 안전에 유의하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고생 끝에 ‘답’을 찾을 때의 보람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만큼 크다고 했다. 김 반장은 “고생하면서 현장을 파내다가, 원인을 찾으면 ‘해냈다’는 생각이 든다”며 “원인을 찾아낸 순간엔 힘든 몸도 가벼워지고, 잃었던 입맛도 돌아오는 기분”이라고 웃었다. 이후 화재 원인에 대한 감식 결과를 문서로 작성하고, 방화 등 범죄 혐의가 있다면 형사과 등에 전달한다.

김 반장은 어려운 현장에서 함께 일하고 있는 팀원들의 노고를 거듭 앞세웠다. 그는 “사명감과 자부심이 없다면 하지 못하는 일”이라며 “따로 화재감식 관련 국가 자격증은 물론, 미국 자격시험까지 공부하며 전문성을 쌓아가고 있는 팀원들에게 감사하다”고 전했다.

권효중 (khji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