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은 본래의 역할로 돌아가야 한다[기고/박준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교육 당국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관련 발표 이후 연일 뉴스가 이어지고 있다.
발표 내용은, 공교육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분야는 수능에서 배제하겠다는 것이라 새로울 것이 없어 현 상황이 의아스럽다.
정부가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는 문항을 배제하겠다고 했을 때 사람들의 사고는 '킬러 문항을 배제한다' '물수능이 될 것이다'로 이어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교육, 즉 학교에서는 ‘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문항’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다. 이러한 문항을 출제한 학교는 감사와 징계의 대상이 된다. 그렇다면 전국 모든 고교에서 매번 ‘물내신’(쉬운 내신), 즉 변별력 없는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일까. 교사들은 유일한 참고자료인 교과서만을 들고 ‘교과과정 내’에서 ‘변별력 있는’ 문항들을 출제하고 있다. 보다 정교화된 출제체계를 갖춘 수능이 변별력 있는 문항 출제를 해내지 못할 리 만무하다.
‘킬러 문항’(초고난도 문항), ‘물수능’이란 표현에 내포된 의미, 사람들의 의식 저변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부가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는 문항을 배제하겠다고 했을 때 사람들의 사고는 ‘킬러 문항을 배제한다’ ‘물수능이 될 것이다’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 사고의 주체는 사교육 시장으로, 지극히 사교육 시장의 시각과 판단을 나타낸 것이다.
평가가 고착화되면 평가는 학습된다. 1994년 처음 시행된 수능은 사교육 시장에서 문제풀이 방법에 초점을 두고 끊임없이 분석됐고, 변별력을 확보한다는 명목하에 더 높은 수준의 지문, 꼬일 대로 꼬인 풀이 과정 등이 등장했다. 결국 학생이 수능을 대비하는 최적의 방법은 초고난도 문항, 즉 킬러 문항에 대비해 교과서 외의 개념을 주입받고 빠르게 문제를 푸는 요령을 익히며, 기계처럼 ‘수능형 문항’을 훈련하는 것이었다. 사교육과 수능이 가진 악순환의 고리는 수능을 공교육과 멀어지게 만들었다.
지금이라도 사교육과 수능 사이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우리 교육 현장은 많이 변했다. 전자칠판이 들어오고 모든 교과에서 창의적·융합적 사고를 통해 산출물을 제작한다. 최근에는 챗GPT의 등장으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육이 진행 중이다. 교사는 ‘교수평기 일체화’, 즉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와 기록 일체화를 위해 또 한 번 변하고 있다. 교실은 변하고 있는데 최종 평가인 수능이 킬러 문항으로 학생들을 바보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수능은 그간 대입의 절대적인 존재로 자리매김해 왔고 앞으로도 변함 없을 것이다. 수능이 자신이 정의된 대로 그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옳지 않은 것이다. 교사들이 제자들에게 “학교에서 교과서만 가지고 열심히 공부하면 분명 성공할 수 있다”고 자신 있게 이야기할 수 있을 때, 수능은 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그 변화의 첫걸음이 지금이기를 바란다.
박준열 건국대사범대부속고 교사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네살배기까지 ‘닥치고 수학’… 학교가면 ‘수포자’로
- [송평인 칼럼]삼성 16억 처벌 대가로 엘리엇에 물어주는 1400억
- 尹-기시다, 오늘 정상회담…후쿠시마 오염수 문제 의제 오를듯
- 의료 파업에, 국립암센터 암수술 100여건 취소
- [단독]“박봉에 빠듯”… 웹툰작가 등 허가받은 ‘투잡 공무원’ 1만3000명
- 그 정치인의 진면목이 궁금하세요? 13일 오후 2시 [동아 라이브]에서 확인하세요
- 韓, 나토 군사훈련 참여… ‘준회원국 수준’ 협력 강화
- 서울-부산 1시간 75mm ‘물폭탄’… 불어난 하천서 70대 숨져
- 中, 연애-결혼-내집-출산 포기 ‘4不청년’ 증가… “시한폭탄 될수도”
- 北, ‘남조선’ 대신 ‘대한민국’ 지칭… “별개 국가로 적대하겠단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