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두 병원 6000명 중 4500명 이탈…사실상 진료 스톱
- 노조 “사측 문제 해결 의지 없어
- 요구 수용 않으면 단독 파업도”
-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등 촉구
- 부울경 26개 사업장 참가 예정
- 필수 인력 10% 제외 전원 동참
- 불참 병원 병상 부족 부하 우려
지역 거점 병원인 양산부산대병원과 부산대병원이 보건의료노조의 파업으로 정상 진료가 불가능하다며 입원 환자 퇴원·전원 조치(국제신문 11일 자 1면 보도)를 단행하자 의료 혼란이 현실화되고 있다. 두 병원은 지난 10일부터 현재 입원 중인 2000여 명 환자 가운데 중환자 20~30%를 제외하고 모두 퇴원·전원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양산부산대병원 측은 “개원 이래 정상진료가 불가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간호사 1700여 명 가운데 상당수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의료사고 예방 등을 위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응급 수술을 제외하고 13일 이후 수술 일정은 미뤄졌고, 외래 예약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노조 “꿈쩍 않는 병원, 파업 불가피”
11일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예고 기자회견에서 만난 부산대병원지부 안상순 부지부장은 “어제(10일)도 병원과 실무 교섭을 진행했다. 파업 전에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려 했는데 병원장이 불참했다. 이번 교섭이 지난 5월부터 시작됐는데도 이제 와서 병원은 ‘파업을 풀면 대화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한다”고 했다. 이어 “노조와 조합원을 대하는 태도에 진정성이 없다고 봤다. 병원장의 의지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음에도 움직일 생각이 보이지 않는다. 불가피하게 파업을 결정했고 장기화도 각오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대병원 노조는 이번 총파업에서 전국 노조 공통 교섭안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요구한다. 부산대병원은 전국 14개 국립대병원 중 유일하게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이뤄지지 않은 곳으로, 2019년에도 노조가 장기 투쟁을 벌였지만 불발됐다. 이번 전국 총파업이 끝나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부산대병원 노조는 단독 파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부산대병원이 다른 병원보다 빠르게 대응하는 것도 이번 파업이 길게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기 때문이다. 2019년과 달리 정규직 조합원도 동참해 두 병원 직원 약 6000명 가운데 의사(약1000명)와 비조합원(약 500명)을 제외한 조합원 4500명이 현장에서 빠지면 진료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부산대병원 관계자 역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문제는 병원도 논의 중이지만 당장 해결이 어려운 문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보건의료노조 요구안은
부산대병원을 포함한 부산에서 파업에 참가하는 16개 사업장은 13, 14일 전국보건의료노조와 함께 총파업을 예고했다. 조합원 8199명 가운데 응급실·중환자실 근무 인력(약 10%)을 제외하고 모두 참가한다. 부산지부는 13일 전국 상경 파업을, 14일 부산역에서 총파업대회를 전개한다. 그사이 교섭이 타결되면 15일 파업 여부를 재논의하지만, 해결되지 않으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다른 병원들의 파업 해제 여부도 불투명하다.
보건의료노조 요구안은 7가지로 ▷비싼 간병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 ▷근무조별 간호사 대 환자 수 1:5, 직종별 적정인력 기준 마련 ▷의대정원 증원, 공공의대 설립을 통한 의사인력 확충과 불법의료 근절 ▷공공의료 확충·강화 및 코로나19 전담병원의 회복기 지원 확대 ▷코로나19 당시 의료노동자 보상 ▷정부의 노동개편 중단 및 노동시간 특례업종 폐기 ▷비정규직의 직접 고용 등이다. 보건의료노조 부산본부 민병훈 조직국장은 “압도적 찬성으로 파업이 가결된 만큼 투쟁 열기가 뜨겁다”며 “성공적 교섭을 위해 현재로선 무기한 파업도 열어둔 상황”이라고 말했다.
부산대병원이 퇴원·전원 조치를 강행하자 다른 병원에도 비상이 걸렸다. 파업에 참가하지 않는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우리 병원에서 전원이 필요한 환자가 2차 병원에 연락했는데 양산부산대병원에서 온 환자 때문에 병상이 없다고 하더라”며 “파업이 늘수록 나머지 병원 부하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과 경남 울산에서는 모두 26개 의료기관 및 사업장이 파업에 참가할 예정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