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무대 오르는 K발레...수석무용수 박슬기 “쉽고 직관적인 안무작, 창작도 재밌네요”
피아졸라 탱고 ‘아디오스 노니노’ 맞춰
무용수 4인 피아노·첼로 등 악기 표현
안무가로 변신한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때론 표현에 ‘갈증’...“온전한 내 것에 만족”
분초 단위 캡처해가며 집요하게 연출하기도
“관객이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공감’ 중요”
국립발레단의 간판 수석무용수 박슬기의 2016년 안무작인 ‘콰르텟 오브 더 소울’(영혼의 사중주)이 해외로 나가 ‘K-발레’를 알린다. 앞서 발레단의 안무가 육성과 레퍼토리 개발을 위해 시작된 ‘KNB 무브먼트’에 출품된 후 호평받았던 작품인데 최근 일본의 초청을 받았다. 이달 15~16일 도쿄시티발레단 55주년 기념 공연 ‘트리플 빌’ 무대에 오른다.
공연을 앞두고 최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N스튜디오에서 연습 중인 박슬기와 만났다. 그는 “한국인이 만든 모던 발레를 일본 무대에서 선보이는 데다 그게 제 작품이라 자부심이 있다”며 “안무 창작에 재능이 있다고 생각진 않는데 도전하는 재미로 해온 것을 좋게 봐주셔서 뿌듯하고 설렌다”고 했다.
여섯살 때부터 춤을 춰온 박슬기는 무대 위에서 바라본 풍경에서 첫 안무작의 영감을 떠올렸다. “발레는 항상 오케스트라와 협업하는데, 그들의 모습을 무용수의 몸으로 표현해보자는 생각이 들었어요. 흔히 무용수들은 ‘음악을 타라’는 이야기를 듣거든요. 음악을 이해하라는 얘기죠. 전 그걸 무용수의 몸이 직접 악기가 돼서 연주하는 듯한 움직임으로 구현했어요.”
안무 창작에서 가장 어려운 관문 중 하나는 음악 선정이다. 주제와 흐름에 딱 들어맞는 음악을 찾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아디오스 노니노의 경우, 우리나라에선 피겨여왕 김연아의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프리 프로그램으로도 익숙한 노래. 박슬기 역시 김연아의 프로그램을 통해 이 곡에 꽂혔고, 음악이 주는 영감을 따라 동작을 만들었다. 그는 “이 작품엔 특정 스토리나 의미가 들어있진 않다”며 “관객은 무용수가 몸으로 음악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면서 감각에 몰두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아직 안무가라는 호칭이 어색하다지만 그의 작품에 대한 애정은 무대를 위한 ‘집요함’으로 발현되곤 한다. 그 중에서도 극 초반 피아노 솔로 파트는 특별히 공들인 부분이다. 피아졸라가 부친의 부고를 듣고 이 곡을 만들 때 느꼈을 슬픔과 애도, 사랑 등 깊고 복합적인 감정을 담았다.
박슬기는 최근 여름휴가를 마치고 모인 무용수들과 합을 맞추면서 연습 영상을 분·초 단위로 캡처해가며 각을 잡았다. 평소 동료 관계인 이들이 농을 섞어 ‘소름 끼친다’고 혀를 내둘렀을 정도다. 자신이 틀린 부분에도 예외는 없어서, 그는 대화방에 “슬기 손 내려” “여기 다리 늦었어” 등의 코멘트를 남기도 했단다. 안무가와 무용수 두 자아가 공존하는 일면이다.
무용수로서의 경험이 안무 창작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 것 같냐는 질문에 박슬기는 단번에 “99%”라고 답했다. “안무는 경험에서 나와요. 제 안무를 ‘창작’이라고는 하지만, 이전에 그 동작들을 해봤기 때문에 나올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몸과 머리가 기억하는 움직임들이 분명히 있거든요.”
안무가로서의 포부도 조금씩 커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3~4명이 등장하는 소품작 위주로 만들었지만 앞으론 다수의 무용수가 등장하는 대규모 작품도 꿈꾼다. 박슬기는 “발레단의 무용수 등 좋은 조건이 다 갖춰진 상황에서 내 창작의 고통만 갈아넣으면 되는 환경”이라며 “안무를 만들 때는 ‘이렇게 힘든 걸 왜 사서 고생할까’란 생각을 하다가도 ’내년에는 또 이런 걸 표현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꾸준히 작품을 만드는 원동력으로는 “온전히 내 것이 하나 완성된다는 느낌”을 꼽았다. 무대 위에서 독보적인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발레리나도 때론 ‘창작’에 갈증을 느꼈던 걸까. 그는 “클래식 등 받아서 하는 안무 작업은 안무가가 원하는 방향이 있다면 그에 맞게 표현해야 한다”며 “안무가는 내가 느낀 걸 그대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게 큰 매력”이라고 말했다.
사회적 이슈도 주요한 소재다. 예를 들어 그의 안무작 중 ‘스몸비’(2018)는 스마트폰에 갇혀 외부와 단절된 인간을, ‘프롬 어 휴먼 빙’(2020)은 환경 문제를 다뤘다. 최근엔 인공지능(AI)을 주제로 한 작품도 구상 중이다. “어떤 분들은 제 작품을 보고 ‘너무 떠먹여 준다’고 하지만 저는 그냥 주고 싶어요. 제 작품이 직관적이었으면 좋겠거든요. 왜 무용수가 이런 동작을 하는지, 관객에게 의문보다는 확답을 주고 싶어요.”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남자 70% 외도, 30% 바람 꿈꿔”...성범죄 피해자 만난 수사관이 한 말 - 매일경제
- 집값 하락기에 8억 오른 이 동네…‘한국 최고의 수변도시’ 미리 찜 - 매일경제
- 길고양이 만졌을 뿐인데…제주서 ‘살인진드기’ 감염된 40대 - 매일경제
- “네? 얼마라고요?”…전국민 등골 브레이커된 전국구 바가지 요금 - 매일경제
- “어슬렁 한컷, 뽀샵할 틈 없어요”…‘찐일상’ 올렸더니 ‘좋아요’ 세례 - 매일경제
- “남자가 성폭행 하려해요 도와주세요”…출동한 경찰이 본 충격적 장면 - 매일경제
- ‘운전 미숙’ 60대…오토바이 들이받고 중앙선 넘어 ‘꽝’ - 매일경제
- “지금껏 경험 못한 날씨, 올해 보게 될것” 끔찍한 경고 현실로? - 매일경제
- ‘故최진실 딸’ 최준희, 외할머니 주거침입으로 신고 - 매일경제
- “아이스크림 몰래 먹다가 나한테 걸렸지” 서비스 감독이 기억하는 이대호 [MK인터뷰] - MK스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