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 부동산 PF 충당금 쌓고 부실채 상각…비상 계획도 가동
새마을금고 사태로 불거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2금융권에서 확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 PF 연체율이 15%대로 치솟은 증권업계에는 비상등이 켜졌습니다.
증권사들은 겉으로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보이면서도 올해 상반기 부동산 PF 부실 위험에 대비해 적극적으로 충당금을 쌓고 자체 컨틴전시 플랜(비상 계획)을 세워 대응에 나섰습니다.
오늘(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대형 증권사들은 올해 상반기에 부동산 PF 자산을 회수하지 못할 염려에 대비해 충당금을 쌓으면서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A사는 부동산 PF 추정 손실 규모가 어제 기준 223억 원으로 집계됐다며 조금이라도 PF 관련 부정적인 징후가 보이면 보수적으로 바로 추정 손실로 잡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B사는 2분기 부동산 PF 관련 신규 충당금만 200억 원 정도로 추정해 반영할 계획입니다.
대형 C사와 D사는 2분기에 대손충당금을 350억 원 안팎씩 쌓을 예정입니다.
그러나 증권가 안팎에선 증권사들이 2분기에 쌓아야 할 충당금 규모는 이보다 훨씬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부동산 PF와 차액결제거래(CFD) 사태까지 겹쳐 2분기 충당금 규모가 사별로 500억∼1천억 원대로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이에 따라 증권사들은 당분간 부동산 PF 관련 충당금 적립과 평가 손실 인식에 실적 감소가 불가피한 것으로 관측됩니다.
실제 미래에셋증권, 한국금융지주, 삼성증권, NH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5개 증권사 합산 2분기 지배주주 순이익 전망치는 7천억 원대로 전 분기보다 40%가량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증권사들은 2분기에 양호한 증시 환경에 전통 사업부는 손익은 양호하지만, 부동산 PF와 CFD 관련 충당금 적립과 평가손실 인식으로 이익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증권사들이 부동산 PF 위험 관리에 나선 것은 금리 인상과 부동산 경기 악화에 부실 위험이 확산하는 한편 채권 만기 불일치로 자금시장이 경색될 수 있어서입니다.
국내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신용공여 잔액은 지난 7일 기준 21조4천665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사별로 PF 신용공여 규모는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메리츠증권, KB증권 등이 각각 2조 원대 수준이며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하나증권 등은 1조 원을 웃돕니다.
대체로 규모가 큰 증권사들은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PF 비중이 작아 상대적으로 위험이 적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의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PF 비중은 작년 말 기준으로 평균 28.7% 수준입니다.
그러나 일부 중소형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비중은 자기자본의 40%를 넘거나 근접한 것으로 집계돼 부실이 현실화하면 회사 전체에 위험이 번질 우려가 있습니다.
우선 부동산 PF 연체율이 치솟고 있어 증권사들의 신용도 강등과 실적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지난 1분기 말 기준 15.9%로 금융업권 내에서 가장 높습니다.
이는 2021년 말의 3.71%보다 4배가 넘습니다.
임 연구원은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부실화 우려는 제한적이지만 적극적인 연체 채권 상각을 통한 연체율 관리가 예상된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신용평가 관계자는 "금리와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에 이익 안정성이 크게 훼손되거나 투자자산 부실화 등으로 신용도 하방 압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면서 "중소형 증권사들은 브릿지론과 분양률이 낮은 본 부동산 PF 우발부채 위험을 주시하고 대형 증권사들은 해외 부동산 투자 부실화 위험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증권사들은 부동산 PF 위험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컨틴전시 플랜을 가동 중입니다.
대형 D사는 한층 강화된 위험 심사 정책을 마련해 실시하고 있다며 브릿지론과 본 PF에 대한 미분양 증가, 지역별 공급량 과다, 시공비 증가에 따른 수익성 악화 가능성을 고려해 리스크 심사부서와 사전 협의를 의무화했다고 전했습니다.
E사는 신규 투자의 경우 선순위 투자 위주로 위험 관리를 하고 있으며 기존 투자 사업장의 진행 상황을 주 단위로 점검한다고 밝혔습니다.
F사는 부동산개발금융을 별도로 취급해 사후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F사 관계자는 "취급 부문은 부동산개발금융 포트폴리오와 취급기준을 별도로 두고 특정 형태와 지역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며 "사후관리는 주간 또는 월간 단위로 개발 진행도를 모니터링해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증권사들은 또 대주단 협의체, 캠코의 PF 정상화 펀드를 통한 사업장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지난 4월부터 부동산 PF 대주단 협약을 재가동해 신규 자금 지원, 이자 유예 등을 포함한 금융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1조 원 규모의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도 오는 9월부터 가동됩니다.
당국은 또 증권사 부실채권의 신속한 대손상각도 적극적으로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증권사가 이미 '추정손실'로 분류한 자산 상각을 신청하면 이를 신속하게 승인해줄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머리가 봉지로 싸매진 채로 묶였다…충격의 강아지 모습
- "초6 담임교사인 여자친구…남학생이 보낸 카톡에 경악"
- "키오스크로 주문받는 카페, '팁' 달라며 이걸 갖다 놨다"
- [단독] 어린 팬 꾀어 성매매…디스코팡팡 DJ 추악한 두 얼굴 (풀영상)
- 클럽 화장실에 마약 '꽁꽁'…속옷에 숨겨 들여온 20대들
- 유치원서 흉기 휘둘러 6명 사망…학부모 보복범죄 '무게'
- 스쿠터 탄 채 2시간 '탕탕'…뉴욕 돌며 무차별 총기 난사
- 40도 폭염에 인파 몰리자…쇠파이프 든 중국 관광객들
- 공짜 여행에 명절 떡값…선관위 게시판엔 "무제한 제공"
- 에어컨 바꿔줬는데 "덥다"…입주민 보낸 사진에 '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