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박수근미술상 노원희 작가

김민 기자 2023. 7. 11. 03: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화가 노원희 씨(75·사진)가 제8회 박수근미술상 수상자로 10일 선정됐다.

동아일보와 강원 양구군, 박수근미술관, 강원일보가 공동 주최하는 이 상은 박수근 화백(1914∼1965)을 기리는 뜻에서 2016년 제정됐다.

서울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노 작가는 1980년부터 민중미술을 이끈 ‘현실과 발언’ 창립 동인으로 활동했다. 구상 회화를 통해 한국 사회가 당면한 정치 사회 역사 젠더 환경 등 이슈에 대한 문제의식을 표현해 왔다.

심사단은 “노 작가는 일상과 현실에 대해 애정과 비판의식을 갖고 이를 서정적이고 은유적으로 표현하며 치열한 작가 정신을 보여줬다”고 평했다. 시상식은 13일 양구군 박수근미술관에서 열린다.

“사회사 없는 개인사 없어”… 40년간 화폭에 담은 ‘민중의 삶’

엄혹한 1960년대 대학신문 기자
시위대 취재하며 현실 문제 고민… 인권 변호사 조영래도 취재
“결핍 채우려 가정-작업활동 병행… ‘비판적 현실주의 작가’ 불렸으면”

5일 서울 종로구 자택에서 작업하는 노원희 작가.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노원희 작가(75)가 서울대 미대생이었던 1960년대. 당시 캠퍼스였던 서울 종로구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은 위수령으로 군인이 늘 있었고 학교는 수시로 휴업했다. 서울대 대학신문 기자였던 그는 시위대를 따라다니며 현장을 취재하고 발언을 기록했다.

그런 그의 작품에는 일상에 숨은 공포와 폭력이 감돈다. 1980년 작품 ‘한길’은 어린이들이 노는 장면을 묘사했지만 먹구름이 잔뜩 꼈고, 한 아이가 굳은 표정으로 총구를 겨누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작품은 2020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하이라이트’전에 미술관 대표 소장품으로 소개됐다.

서울 종로구의 자택에서 5일 만난 노 작가는 “사회사가 없는 개인사는 없다”며 “대학생 때 학보사 기자를 하며 자연스럽게 갖게 된 정치와 사회에 대한 관심이 작품에서 현실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광장시장에 가는 버스 안에서 전화로 수상 소식을 들은 그는 반나절 동안 시장을 거닐며 고민했다고 털어놨다. 수상 전시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덜컥 걱정이 됐다는 것이다. 박수근의 작품 세계를 되짚어본 그는 “부끄러움을 느꼈다”고 했다.

“박수근이 독학으로 탄탄한 조형 세계를 구축한 것이 놀라웠습니다. 그가 활동했을 당시 서민은 공동체 구성원 전부였죠. 다 같이 가난한 보통 사람들의 선함과 진실을 표현하고자 노력했고, 거기서 근원적 정신성이 느껴졌습니다.”

노원희 작가가 1980년 개인전에서 발표한 작품 ‘거리에서’. 평범한 길거리에 서 있는 사람들 속에 불길한 분위기가 감도는 장면을 묘사했다. 김윤수 미술평론가는 당시 개인전에 대해 “1970년대 번영과 화려한 구호 밑 응달진 삶을 살아온 수많은 사람들의 초상화”라고 평가했다. 박수근미술관 제공
박수근의 다음 세대인 자신은 사회의 구조적 문제와 그로 인해 사람들이 겪는 고통을 다룬다고 설명했다. 노 작가는 인권변호사로 유명한 조영래 변호사가 대학 1학년일 때 그가 발언한 좌담회 현장을 취재했고, 1970년대 후반에는 야학운동가들과도 가깝게 교류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사회 문제를 화폭에 담았다.

1980년부터 ‘현실과 발언’ 창립 동인으로 활동한 그는 민중미술가로도 불린다. 이에 대해 그는 “민중미술가라고 하면 민중의 삶에 동화되어 살아가야 하는데, 내가 그렇게 살고 있나 의문이 들 때도 있다”며 “비판적 현실주의 작가라는 명칭이 더 편하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2018년 작품 ‘지붕 위에 앉고 싶은 사람’. 유년 시절 집 앞마당 나무를 즐겨 타던 친오빠를 부러워한 기억을 떠올리며 그렸다. 박수근미술관 제공
삶의 큰 변화가 생긴 계기로 결혼을 꼽은 그는 여성의 현실에 대해서도 다뤘다. 거리에 널브러진 조리 도구 앞에서 프라이팬을 든 여성들이 우뚝 서 있는 2018년 작품 ‘무기를 들고’는 40년간 주부로 살며, 살림살이하는 사람들이 주체로 나서야 한다는 의식을 담았다.

노 작가는 “결혼 이후 삶의 소용돌이 속에서 작업 활동을 못 하게 된 작가들은 항상 결핍을 느낀다”며 “그 결핍을 채우기 위해 가정생활을 하면서도 근근이 작업 활동을 이어왔다”고 말했다.

광화문에서 피켓 시위하는 사람들처럼 일상에서 만나는 사회 문제를 여전히 다루는 그는 최근 산업 재해를 주제로 몇 편의 작업을 해왔고, 당분간은 이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1982년부터 2013년까지 부산 동의대 미술학과 교수를 지냈다.

제8회 박수근미술상은 운영위원회(위원장 이인범 아이비리인스티튜트 대표)가 추천위원 5명을 위촉했고, 추천위원이 후보 11명을 선정해 심사위원회를 거쳐 수상자를 선정했다. 심사위원회는 김영순 전 부산시립미술관장이 위원장을 맡았고, 강승완 부산현대미술관장, 김현숙 KISO 미술연구소장, 이준 삼성문화재단 자문위원, 윤동천 전 서울대 교수가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