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연봉상한 폐지·승진기간 단축… 공직사회 개혁 이걸로 될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사혁신처가 어제 '정부 부처 인사 유연성·자율성 제고 계획'을 내놨다.
4급 서기관 이상 임기제 공무원의 연봉 상한을 없애고, 승진에 필요한 공무원의 최저 근무기간을 단축하는 게 주된 내용이다.
공무원 연봉으로 유치하기 힘든 우주항공·복지의료 등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공무원의 승진 속도를 올려 경직된 공직사회의 유연성을 높이겠다고 한다.
정부가 바뀔 때마다 정책이 뒤집히고, 일선 공무원들에게 이전 정책 실패의 책임을 묻는 현실도 공직에 대한 거부감을 키우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봉 상한이 풀리는 ‘임기제 공무원’은 정부가 경력직으로 채용해 1∼5년간 고용하는 공무원이다. 지금까진 동급 공무원 기본연봉의 150%, 의사는 200%까지만 연봉을 줄 수 있었다. 앞으로는 서기관급이라도 장·차관보다 높은 연봉을 줄 수 있게 된다. 9급에서 3급까지 승진에 필요한 기간도 16년에서 11년으로 줄여 고속 승진이 가능케 했다.
민간 우수 인재를 정부로 끌어들이는 데 낮은 처우가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은 이전부터 제기돼 왔다. 코로나19가 터졌을 때 정부는 최고의 민간 감염병 전문가를 활용하기 어려웠다. 누리호 발사에 성공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들에게 충분히 보상할 길도 없었다. 글로벌 반도체 전쟁, 공급망 경쟁에 대응할 정보통신기술(ICT), 자원, 통상 분야의 전문가도 정부 내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복지부동 문화가 팽배한 공무원 사회에 이번 조치가 얼마나 자극이 될지는 의문이다. 연봉 상한 폐지 대상이 상위 임기제 공무원으로 국한돼 기존의 ‘늘공’들에겐 별 영향이 없다. 빠른 승진을 허용한다 해도 지금의 상명하복 문화 속에서 젊은 공무원이 상급자를 추월하고 승진하는 일이 보편화되긴 쉽지 않을 것이다.
공직사회 개혁이 늦어지면서 낮은 보수, 비효율적 조직문화에 실망한 이들이 공직을 등지고 있다. 자발적으로 공직을 떠난 일반직 공무원 수는 2018년 3837명에서 지난해 5601명으로 46% 급증했다. 5년 차 이하 20, 30대 공무원의 65%는 ‘기회가 되면 이직 의향이 있다’고 한다. 정부가 바뀔 때마다 정책이 뒤집히고, 일선 공무원들에게 이전 정책 실패의 책임을 묻는 현실도 공직에 대한 거부감을 키우고 있다.
이런 공직사회의 풍토를 일신하려면 역량과 성과에 따라 보상하는 직무성과급제 도입 등 보다 파격적인 혁신방안이 나와야 한다. 전문성을 갖추고, 자기계발에 힘쓰는 공무원들에겐 승진뿐 아니라 업무와 보직 선택의 폭을 넓혀줄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젊은 공무원들의 의욕과 창의성을 꺾는 낡은 공직사회 문화를 갈아엎기 위한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정희 노태악, 매달 290만원 위법 수당 받아
- 김여정 “美정찰기, 오늘 새벽도 경제수역 침범…대응출격에 퇴각”
- 추미애는 누가 말리나[김지현의 정치언락]
- [단독]‘파면’된 조국, 서울대 교수실 명패 떼어졌다
- 4급이상 공무원 연봉상한 폐지…“장관보다 높은 연봉도 가능”
- 민주당 前양평군수, 예타 통과 넉달전 원안 종점 인근 땅 매입
- 與당무위, 정치자금법 위반 김현아 ‘당원권 정지’ 권고…윤리위 회부
- [단독]해수부, ‘주니어보드’ 꾸려 日오염수 가짜뉴스 즉각 대응 나선다
- 푸틴, 무장반란 닷새 뒤 프리고진과 3시간 회동
- 이재명-이낙연 내일 만난다…이낙연, 혁신위 방향성 등 고언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