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M 생태계 안착하려면 안전 우려부터 해소해야"
관제 시스템 등 확보 중요
모빌리티 기술의 발전으로 산업 지형 또한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기존 산업의 타격을 최소화하고 기반 정책과 국민의 수용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전성배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원장은 지난 4일 열린 '디지털 퓨처마킹 포럼'에서 "기술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시장, 정책, 규제, 국민의 수용성이 존재한다. 어떻게 안전하게 혁신을 이끌어나갈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선적으로 영향이 미칠 영역은 내연 기관 자동차의 부품 산업이다.
부품 수가 많은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상대적으로 부품 수가 적은 전기차로 전환되면 전통적인 부품업계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나승식 자동차연구원 원장은 이러한 미래를 전망하며 "우리나라에 1만개 넘는 기업이 엔진이나 파워트레인 같은 부품을 담당하고 있다. 부품 수가 크게 줄면 종사하는 기업 수도 따라서 줄게 될 것이다. 이 기업들이 어떻게 전환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자동차 부품산업 실태 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국내 자동차 부품 사업체는 약 1만212개로, 이 중 72.6%가 미래차 관련 대비를 묻는 질문에 '현재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오비고의 황도연 대표 또한 "완성차 업체들은 변화에 준비를 많이 하고 있지만 완성차 업체에 딸린 1차 벤더, 2차 벤더 부품 업체들은 하드웨어 중심적이고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없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발제를 진행한 고태봉 본부장은 부품 업체들이 명확히 끝이 보이는 비즈니스를 영위하게 될 가능성을 말하면서 사업을 전환할 수 있는 기회와 이를 위한 지원을 강조했다. 고 본부장은 "한계기업이 무너질 수밖에 없는 상황은 불가피할 것이다. 다만 1등과 3등의 연합같이 기업 간에 힘을 합치면서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도심항공교통(UAM)이나 로보틱스 같은 신산업에 투자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내다봤다.
UAM에 대한 우려와 기대도 공존했다.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 개발이 진행되는 가운데, 새로운 형태의 교통 수단인 만큼 안전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국민 수용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연석 한국UAM협의회 상임회장은 "UAM 생태계 안착을 위해서는 기체와 함께 기체 운영을 위한 관제 시스템, 버티포트(UAM 이착륙장)과 보험같은 인프라, 사회적 수용성이 모두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영일 법무법인 세종 고문은 법적인 차원에서 UAM을 바라보며 "새로운 모빌리티의 서비스 이용자와 개발자의 책임 소지 문제, 실증 사업 과정에서 규제 특례 이슈 등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법적인 대비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호준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미국인 5만명 빈틈없이 꽉 찼다…한국에서 온 그녀들을 보기 위해 - 매일경제
- “선생님 저희는 어떻게 해요”…학생 울린 일타강사 폐강, 무슨 일이 - 매일경제
- “日 오염수 방류도 안했는데 이 정도라니”…난리난 횟집들 ‘초비상’ - 매일경제
- 이게 가능해…28년간 매일 ‘현대차 1대씩’ 팔았다, 7000대 ‘판매왕’ 탄생 - 매일경제
- 조국 아들 연세대 대학원에 석사 학위 반납 - 매일경제
- 결혼식서 햄버거 세트를?...25만원 웨딩패키지 내놓은 맥도날드 - 매일경제
- [단독] 野말대로 원안에 IC만 만들면…400가구 마을에 공중교각 관통 - 매일경제
- “중국 때문인가?”…못가서 안달났던 여행지가 찬밥된 이유는 - 매일경제
- 나노팀, 5천억 규모 열폭주방지소재 프로젝트 수주 - 매일경제
- 덴마크로 떠난 ‘K리그 득점왕’ 조규성, 전북이 전한 작별 인사 “고마웠어요”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