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부동산 PF 잔액 증가…모니터링 등 선제 대응 강화
은행권의 부동산 PF 잔액은 계속된 부동산 경기침체 영향을 받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새마을금고와 상황이 달라 부동산 PF의 부실 우려는 없다고 강조하면서도, 혹시 모를 부실 우려감 확대라는 불똥이 튀는 것을 막기 위한 선제적 대응 및 관리에 나섰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부동산 PF 잔액은 6월 말 기준 16조4238억원(신한·NH는 5월 말 기준)이다. 지난해 말 기준 시중은행의 부동산 PF 잔액은 14조1264억원이었다. 5~6개월 사이 2조2974억원(16.3%)이 늘었다.
시중은행의 부동산 PF 잔액은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최근 증가세가 가파르다. 2020년 9조3609억원이었던 부동산 PF 잔액은 2021년 말 10조9399억원, 지난해 말 14조1264억원으로 늘었다.
다행인 점은 시중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이 낮다는 점이다. 올해 들어 부동산 PF 연체율이 소폭 상승했지만 아직까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직 아니다.
시중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 평균은 2020년부터 꾸준히 내려 지난해 말 0%를 기록했고, 올해 6월 말 기준은 0.42%에 불과하다. 올해 연체율이 소폭 오른 것은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일부 사업장에서 연체가 발생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들이 부동산 PF 잔액 증가에도 불구, 부실 우려는 걱정할 게 없다고 강조하는 배경이다.
그러나 부동산 PF에 대한 위기감은 여전하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당분간 계속 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 시장 침체가 계속될 경우 연체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최근 부동산 분양 시장의 경우 높아진 금리 부담, 공사원가 상승에 따른 사업성 훼손, 금융기관의 PF 대출 회피 등으로 일부 사업초기 사업장에서 사업 지연 및 중단 우려가 큰 상황이다. 완공 전 사업장도 미분양 물량 증가 등에 따른 리스크가 존재한다.
최근 새마을금고 사태는 부동산 관련 업종에 적극적으로 대출을 내줬다가 경기 하강 및 금리 인상 등으로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부실이 증가한 것이 큰 요인이 됐다.
다만 금융권에서는 시중은행의 경우 부동산 PF 관련 리스크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내놓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 3월 말 기준 2.01%이다. 지난해 말 1.19%에서 0.82%가 상승했다. 업권별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을 보면 증권사가 15.88%로 작년 말(10.38%) 대비 5.5% 급등했다. 저축은행(4.07%)과 여신전문사(4.2%)도 높은 연체율을 보였다. 그러나 은행은 연체채권 상각 조치 등으로 연체가 거의 없었다. 한국은행은 지난 3월 내놓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은행의 경우 대출 규제 강화, 고신용 위주의 차주 구성, 공적기관 보증 등으로 부동산 관련 리스크는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한 바 있다. 실제 지난해 6월 말 기준 부동산 PF 대출에서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큰 아파트 외 사업장 비중을 살펴보면 증권이 77.6%, 저축은행은 84.6%에 달하지만 은행은 30% 수준에 불과하다.
시중은행은 부동산 PF 우려감이 확대되고 있는 시장 상황을 고려, 부동산 PF 시장이 정상화될 때까지 보증부 여신 위주로 안정적인 영업을 추진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한다. 보유하고 있는 PF 사업장에 대한 분양현황 및 공정률 모니터링을 통한 부실화 가능 자산 사전 파악을 통한 선제 대응도 추진한다. 일부 은행은 안정적 여신 확대를 위해 HUG, HF의 부동산 PF 보증상품 협약 체결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시중은행의 경우 부동산 PF 잔액이 늘어난 데 따른 위기관리(지난해 연채채권 상각 등)를 꾸준히 해왔다"며 "보수적 운용기조를 바탕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서는 동시에 정상화 가능 사업장에 대한 추가지원에도 나설 예정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