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의 혁신...고층아파트 시대 열다
자재·가구 힐스테이트 수준 적용
강진·내화·층간소음 기준도 통과
“과거 모듈러 주택에 대한 인식은 컨테이너 하우스 정도였죠. 그런 인식을 빨리 바꾸기 위해 기획 설계 단계에서 ‘힐스테이트’ 수준을 적용해 동등한 자재와 가구를 적용하는 투자를 했습니다. 기존 아파트와 상품성 차이가 없다는 점을 보여준 것입니다.”(김경수 현대엔지니어링 현장 소장)
지난 5일 찾은 경기도 용인시 영덕동에 있는 ‘용인 영덕 경기행복주택’. 최고 13층, 총 106가구 규모의 이 곳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발주하고 국토교통부가 지원해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했다. 향후 청년과 신혼부부, 주거약자 등의 소중한 보금자리가 될 공공임대주택이다.
외관상 일반 아파트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국내 최고층’, ‘건설업의 혁신’ 등 특별한 수식이 붙는다. 50층 이상 초고층 아파트도 들어서는 마당에 13층짜리 건물이 이렇게 불리는 이유는 ‘모듈러 공법’이 적용됐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건축법에 따라 13층 이상 모듈러 건물은 무려 3시간 이상의 내화 기준(화재 시 버틸 수 있는 시간)을 갖춰야 한다. 이에 기존 최고층은 12층인데, 현대엔지니어링은 이 한계를 넘어섰다.
시공을 맡은 김경수 현대엔지니어링 현장 소장은 “해당 아파트는 강진에 견딜 수 있고, 불에 3시간 가량 버텨야 하는 내화 기준을 통과했다”며 “층간소음은 35데시벨(㏈) 이하의 기준을 충족했다”고 설명했다.
모듈러 공법은 미리 제작한 건축물 주요 구조와 내·외장재를 결합한 일체형 모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기술이다.
이곳도 건물의 뼈대가 되는 콘크리트와 지하 1층, 지상 1~2층은 일반 아파트처럼 건설했다. 그외 아파트의 70~80%는 공장에서 제작해 가져와 쌓아올렸다. 도로교통법상 개별 화물 중량은 25t을 넘기면 안 돼, 각 모듈 면적은 17㎡로 통일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전체 공사는 13개월 만에 끝났다. 보통 아파트 건설은 약 20~21개월 걸리는데 공사 기간을 40% 줄인 덕에 금융비 등 사업비도 크게 절감됐다. 주요 원자재를 최종 소비 규격으로 주문생산해 자재비도 절감했고, 자재 재활용과 재사용으로 탄소 저감에도 유리하다고 한다.
건물 내부는 접합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일반 아파트와 다른 점을 찾기는 어려웠다. 오히려 인테리어와 건물 내 주민 공동시설 등은 일반 아파트 대비 저렴한 임대주택에 대한 기대치를 뛰어넘었다.
각 가구마다 유명 브랜드 아파트에 사용하는 마감재, 세탁기와 에어컨 등 빌트인 가전이 적용됐고, 로봇이 시공한 화장실 타일은 오차 하나 없이 반듯했다. 복도에는 입주자들의 편의를 위해 각 가구당 1개씩 배정되는 계절창고도 마련됐다. 지하 1층과 지상 1~2층에는 편의시설, 커뮤니티룸, 피트니스 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처럼 설계에 공들인 이유는 모듈러 주택에 대한 기존 인식을 깨뜨리기 위해서다.
김 소장은 “모듈러 주택을 컨테이너 하우스 수준으로 보는 소비자 인식을 바꾸기 위해 기획 설계부터 ‘힐스테이트’ 수준의 자재, 빌트인 가전을 적용하는 투자를 했다”고 말했다.
건물 내구성도 철저한 검증을 거쳤다. 설계, 공장제작, 현장 설치 등 각 단계에서의 성능 평가가 이뤄졌고, 기존 모듈러 주택 최고 높이인 ‘12층’의 한계를 넘어섰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서울시 구로구 일대에서는 디자인적 요소를 강화한 모듈러 아파트도 짓고 있다. 이곳은 서울시 프로젝트 ‘디자인 서울 2.0’ 기조에 발맞춰, 건물 입면을 돌출된 부분과 평평한 부분을 교차시켜 입체감을 강조한 외관이 적용될 계획이다.
관련 사업을 통해 모듈러 주택 상품성을 높이면, 향후 공공주택뿐 아니라 민간 분양 아파트도 모듈러 공법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친환경적인 공법이고, 맞춤형 제작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건설업의 새로운 트렌드로 여겨진다.
김 소장은 “기존 주택은 균일한 품질, 형태의 제품을 내기가 어려운 반면 모듈러 주택은 품질 획일화가 가능하고, 개인별로 주문 생산을 통한 커스터마이징으로 윗집과 아랫집의 구조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는 건설업이 공장형 산업으로 이뤄지고, 모듈형 주택이 건설업의 미래”라며 “비용 절감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이행 등 효과가 있는데다 이동성이 뛰어나 전후 복구사업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 주요국에서는 친환경 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주택 산업이 궤도에 오르거나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에서는 초기 단계인 만큼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기본 생태계 확보 등이 미진한 상태다. 우리나라만의 특수한 ‘온돌 문화’도 시공 난이도를 더 높인다.
김 소장은 “방바닥 온돌 미장을 위해 콘크리트 수분을 말려야 하는데, 목표한 설계 강도를 위한 일정 시간이 걸린다”며 “우리나라에서 모듈러 주택을 짓는 게 해외보다 시간도 더 걸리고 비싼 이유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에 모듈러 주택 업계는 최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간담회에서 관련 법령 정비, 모듈러 공법 관련 국가 R&D 등을 제안한 바 있다.
김 소장은 “현대엔지니어링은 20층까지 지을 수 있는 기술력이 있지만 건축·주택·도로교통법상 규제가 증축이나 운송 등의 걸림돌”이라며 “산업 특화를 위한 규제 완화, 인센티브 등이 필요하다. 가령 모듈 운반을 할 때 일정 조건을 부여하더라도 (규제를 완화해) 화물 무게를 넘어 범법자가 되는 것은 막아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고은결·이준태 기자
ke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살다살다 팬 속옷 검사 첨 본다, 가슴 만져" 하이브 아이돌 팬사인회 논란
- "속옷 뒤집혀 있어"…캄보디아 살해 BJ아영, 성폭행 정황 제기
- 송종국 "아들'지욱'에 1:1 축구 개인지도...영국 가고 싶다고해"
- “과욕 때문에 그랬다” 뜻밖에 등장한 황우석 충격 근황
- 소프라노 이상은 공연 직전 돌연 사망…경찰 "범죄 가능성 낮아"
- 대선공약이 ‘BTS 초청’…멕시코 대선 예비후보, ‘아미’ 겨냥한 이색 공약
- 잔액부족 뜬 20세 女승객에 “데이트 하자”…유사강간한 택시기사
- “범죄도시 마동석도 결국 당했다” 공짜 또 출현…시끌벅적 난리
- ‘킹더랜드’준호, 윤아에게 “허락해줘.날”에 이은 특별한 숨멎키스
- “우린 다 ‘또라이’”…지금껏 듣지 못한 방탄소년단의 10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