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오징어게임 땡큐"…'한류' 덕분에 5년간 경제적 효과 37兆 달했다

장유미 2023. 7. 10. 10: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017년부터 5년간 화장품·음악·방송 등의 분야에서 한류의 경제적 효과가 37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U.S뉴스·와튼스쿨이 밝힌 '글로벌 문화적 랭킹'에서 한국 문화가 국제적으로 미치는 파급력은 2017년 세계 31위(80개국 중)에서 2022년 7위(85개국 중)로 5년간 24단계 급등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韓 문화적 영향력 상승으로 경제적 효과 급증…화장품·방송 등 한류 품목 수출 증가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지난 2017년부터 5년간 화장품·음악·방송 등의 분야에서 한류의 경제적 효과가 37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018년부터 비영어권 가수 최초로 5년 연속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톱10에 진입한 아이돌 그룹 BTS와 2021년 방영돼 94개국에서 시청률 1위를 기록한 '오징어게임' 등이 한류 열풍의 중심이 된 것으로 파악됐다.

방탄소년단이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2021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 4관왕 위업을 달성했다. [사진=빅히트뮤직]

10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U.S뉴스·와튼스쿨이 밝힌 '글로벌 문화적 랭킹'에서 한국 문화가 국제적으로 미치는 파급력은 2017년 세계 31위(80개국 중)에서 2022년 7위(85개국 중)로 5년간 24단계 급등했다.

한국 문화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음악·방송 등의 문화 콘텐츠 수출이 확대된 것은 물론, 국가브랜드 제고로 화장품(K-뷰티)·가공식품(K-푸드) 등 한류와 밀접한 소비재 수출 역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2017년부터 2021년 동안 이들 한류 품목의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13.7%로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수출액의 연평균 증가율 5.4%보다 약 2.5배 높다. 한류 품목의 부문별 수출증가율은 ▲문화콘텐츠 15.7%(음악 11.9%, 방송 11.8% 등) ▲화장품 16.6% ▲가공식품 7.8% 등이다.

[그래프=한경연]

한경연이 한류의 경제적 효과를 추산한 결과, 한류 확산이 5년(2017~2021년) 동안 소비재·문화콘텐츠 수출 신장을 통해 유발한 국내 생산액은 총 37조원에 달했다. 이 중 30조5000억원은 소비재 수출 증진, 6조5000억원은 문화콘텐츠 수출 증대를 통해 나타났다.

같은 기간 한류가 창출한 부가가치액은 총 13조2천억원으로, 소비재 수출 증가로 9조9천억원, 문화콘텐츠 수출 증가로 3조3천억원이 각각 유발됐다.

지난달 1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열린 방탄소년단 데뷔 10주년 FESTA @여의도(BTS 10th Anniversary FESTA @Yeouido)에 참석한 글로벌 팬들이 'BTS 라이브 스크린' 코너를 즐기고 있다. [사진=정소희 기자]

한류는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했다. 2017~2021년 한류 확산에 따른 총 취업유발인원은 16만 명으로, 이 중 11만6천 명은 소비재 수출 증가, 4만4천 명은 문화콘텐츠 수출 증가로 발생했다. 전체 취업유발인원 16만 명은 통계청의 2022년 국내 총 취업자 수 증가 폭(81만6천 명)의 5분의 1(19.6%)에 해당하는 수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한류는 문화콘텐츠 수출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의 한국 제품 선호도를 높임으로써 소비재 수출에도 기여하는 등 그 경제적 가치가 상당하다"며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와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기업의 적극적인 한류 콘텐츠 투자 확대를 유도해 한국 문화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유미 기자(sweet@inews24.com)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