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복달임에는 임자도 민어가 최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민어는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달랐다.
남도에서는 큰 민어를 '개우치'라 했고, 법성포에서는 30㎝ 내외 것을 '홍치', 완도에는 작은 민어를 '불등거리', 서울과 인천에서는 네 뼘 이상을 '민어', 세 뼘 이상을 '상민어' 세 뼘 내외를 '어스래기', 두 뼘 반을 '가리', 그 미만을 '보굴치'라 했다.
서울 일대에서 민어 이름이 다양한 것은 그만큼 서민들의 사랑을 받았다는 의미다.
임자도에 새우가 많고 민어·병어가 많이 나는 것도 이 덕분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어는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달랐다. 남도에서는 큰 민어를 '개우치'라 했고, 법성포에서는 30㎝ 내외 것을 '홍치', 완도에는 작은 민어를 '불등거리', 서울과 인천에서는 네 뼘 이상을 '민어', 세 뼘 이상을 '상민어' 세 뼘 내외를 '어스래기', 두 뼘 반을 '가리', 그 미만을 '보굴치'라 했다. 서울 일대에서 민어 이름이 다양한 것은 그만큼 서민들의 사랑을 받았다는 의미다.
<자산어보>에는 '큰 놈은 길이가 4~5척에 달한다. 몸은 약간 둥글고 빛깔은 황백색, 등은 청흑색이다. 비늘과 입이 크고 맛은 담담하면서도 달아서 날것으로 먹으나 익혀 먹으나 다 좋고, 말린 것이 더욱 몸에 좋다. 부레는 아교를 만든다'고 적고 있다.
민어는 큰 맘 먹고 가족이나 친지와 함께 여름철에 잡는다. 남도에서는 민어를 회로 먹지만, 서울에서는 삼복더위에 민어탕으로 복달임하는 풍습이 있었다.
민어는 회는 말할 것도 없고, 어란, 쫄깃쫄깃한 부레, 담백하고 고소한 뱃살, 다져서 나오는 갈빗살, 날껍질에 밥 싸먹다가 논 팔아먹었다는 '민어껍질' 등 부위에 따라 요리법이 20가지가 넘는다. 민어는 비늘 말고 버릴 것이 하나도 없다. 특히 탕에는 부레가 생명이다. 홍어애국에 애가 들어가지 않으면 맛이 없듯, 민어탕에도 부레가 들어가야 한다.
민어는 요리 재료로 그치지 않았다. 고려시대 중국에 수출했던 합죽선 '고려선'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재료였다. 민어 부레를 말린 뒤 끓여 풀을 만들어 합죽선 부챗살과 갓대를 붙일 때 이용했다. 민어 부레풀은 천년이 지나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민어가 천 냥이면 부레가 구백 냥'이라 했다.
신안 임자도나 지도 송도어판장에서 물 좋은 민어를 구할 수 있다. 봄 도다리, 여름 민어, 가을 전어, 겨울 숭어라 했다. 임자도는 모래로 이루어진 섬이다. 섬에 국내에 드문 모래사막이 있을 정도. 모래갯벌은 하늘이 내린 민어 산란장이다. 임자도에 새우가 많고 민어·병어가 많이 나는 것도 이 덕분이다.
월간산 7월호 기사입니다.
Copyright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