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버원 조' 조병규 우리은행장, '기업금융 강자' 명성 되찾는다

박슬기 기자 2023. 7. 10. 05: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첫 경영승계 프로그램을 통해 낙점된 조병규 신임 우리은행장이 지난 3일 취임했다.

2024년 12월까지 임기를 부여받은 조 행장이 '기업영업통'이란 강점을 살려 '기업금융 강자로 우리금융을 도약시키겠다'는 임종룡 회장과 원팀을 이뤄 우리은행의 기업 영업력을 극대화하고 계열사간 시너지를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지 관심이 쏠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EO포커스]
조병규 우리은행장./사진=우리은행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첫 경영승계 프로그램을 통해 낙점된 조병규 신임 우리은행장이 지난 3일 취임했다.

조 행장은 다음날 첫 일정으로 우리은행 남동공단금융센터로 향했다. 조 행장은 현장 영업점 직원들을 격려하는 동시에 '기업 금융 명가 부활'을 위한 경쟁력 강화를 주문했다는 후문이다.

조 행장이 인천 영업점 방문을 시작으로 공식 업무를 수행한 것은 영업력 중시와 함께 창립 이념인 '기업과 같이 하는 은행'을 중점 추진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조 행장은 지난 3일 취임 후 첫 출근길에서도 기자들에게 "국가가 새로운 모멘텀을 위해 신성장 산업 등 개혁을 하고 있는데 동행하는 금융기관이 되겠다"며 "모든 것이 현장에 답이 있기 때문에 현장 경영을 통해 직원들과 소통을 잘하는 은행장으로 솔선수범하겠다"고 설명했다.

조 행장이 기업금융을 강조한 것은 우리은행의 전신인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이 기업금융 강자였던 만큼 우리은행 역시 기업금융만큼은 확고한 1위 자리를 차지해야 한다는 안팎의 기대가 깔려 있다.

하지만 상업, 한일 두 은행 합병 이후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우리은행의 기업금융은 과거의 명성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우리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올 1분기 말 기준 159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했지만 KB국민은행(164조3000억원)에 뒤처진다. 신한은행(152조2081원), 하나은행(146조6510억원) 과도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수준이다.

더군다나 중소기업 대출 규모에선 4대 은행 중 4위를 기록 중이다. 우리은행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118조3630억원으로 KB국민은행(133조1000억원), 신한은행(126조7466억원), 하나은행(121조2350억원)보다 낮다.

반면 우리은행은 대기업대출 규모에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1분기 말 기준 대기업대출 잔액을 보면 우리은행(40조4890억원), KB국민은행(31조2000억원), 신한은행(25조4615억원), 하나은행(22조213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영업 조직의 정체로 우리은행이 중소기업 고객을 확보하는데 소흘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은행 기업대출 시장에선 대기업 대출은 이미 레드오션이 됐고 중소기업으로 영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이를 의식한 조 행장은 지난 7일 영업력 강화에 초점을 둔 조직개편을 추진했다. 이어 중소 기업들이 몰려있는 경기 반월·시화국가산업단지에 '반월시화비즈(BIZ)프라임센터'를 개설하기로 했다.

1992년 우리은행에 입행한 조 행장은 상일역 지점장, 본점 기업영업본부 기업지점장, 대기업심사부장, 전략기획부장, 기업그룹 집행부행장 등을 역임해왔다.

특히 지점장 초임지였던 상일역지점을 1등 점포로 만들었고 본점기업영업본부에서도 1등 기업지점장으로 선정돼 '1등'이라는 수식어가 늘 따라다녔다.

2024년 12월까지 임기를 부여받은 조 행장이 '기업영업통'이란 강점을 살려 '기업금융 강자로 우리금융을 도약시키겠다'는 임종룡 회장과 원팀을 이뤄 우리은행의 기업 영업력을 극대화하고 계열사간 시너지를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지 관심이 쏠린다.

박슬기 기자 seul6@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