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때문에 중국산 포기 못한다?…“전략적으로 기술 격차 벌려야”
완성품 넘어 소부장 분야서도 올라올 수 있어
中企 대응 어려워…전략적으로 정책 지원을
2021년 10월 요소수 대란이 발생했을 때 정부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50% 이상인 품목은 2000개, 90%가 넘는 품목도 500개에 달했다.
또 지난해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한국, 미국, 일본의 대(對)중국 수입 의존도를 조사한 결과 2020년 기준으로 소재·부품의 중국 의존도는 한국, 미국, 일본 가운데 한국(29.3%)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재(2019년 기준)도 한국의 중국 의존도는 27.3%로 일본(19.8%)과 미국(8.1%)에 비해 높았다. 이처럼 소재·부품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제품들의 품질마저 개선되면서 국내 시장은 중국산의 거센 도전에 직면했다.
연원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제안보팀장은 “중국산을 쓸 수밖에 없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며 “첫째는 가격 요인이고 두 번째는 중국의 기술력 향상”이라고 설명했다. 과거 일본 기업이 장악했던 브라운관(CRT) TV 시장이 액정표시장치(LCD) TV로 전환하면서 한국업체가 약진했던 것과 유사하다는 것이다. 연 팀장은 “전략적으로 분야를 선택해 중국과의 기술 격차를 벌리는 게 중요하다”며 “대기업은 위험관리 차원에서 자체적인 대응이 가능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은 특히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정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도 “국내 시장에 중국산 전기버스가 늘어나는 것은 중국산의 가성비가 좋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일반 승용차는 소비자 눈높이가 까다롭고 현대차·기아를 비롯한 국산차 품질 수준이 아직은 더 높아 중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지지만, 트럭과 버스 등 상용차는 가격적인 부분이 중요하기 때문에 중국산을 선택할 여지가 더 크다는 설명이다. 그는 “중국산이 국산보다 20% 저렴한데, 부품과 내장재 품질도 많이 좋아졌다”며 “정신을 바짝 차리지 않으면 완성차 뿐 아니라 소부장 측면에서도 점유율을 내줄 수 있다. 각 산업에서 중요한 품목들은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주고 전략물자로 삼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산 전기버스의 과점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수소버스를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 교수는 “중국산이 장악한 국내 전기버스 시장에 국내 업체들이 종속되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한국이 세계 최고 기술력을 자랑하고 중국과 기술 격차가 큰 수소버스 시장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수소버스는 한국이 독보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있어 중국의 진입이 쉽지 않다는 얘기다. 지난달 현대차는 서울시·환경부 등과 업무협약(MOU)을 맺고 2026년까지 대중교통 1300여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하기로 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에어컨 켜도 방이 너무 더워요”...살펴보니 실외기가 방안에 - 매일경제
- “이렇게 좋은데 왜 다 빈집이지?”...잘 짓고 유령 아파트가 된 사연은 [매부리TV] - 매일경제
-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홍길동식 출몰’ 프리고진…비결은 변장술? - 매일경제
- 공매도 1.2조 vs 개미 1.6조…대혈투 이어지는 에코프로, 누가 웃을까 - 매일경제
- “한국에도 이런 곳이 있었어?”...올해 여행지 고민, 싹 날려버린다 [방방콕콕] - 매일경제
- 오죽하면 재무상황도 깠다…우량 새마을금고도 속타기는 매한가지 - 매일경제
- “1년에 79만원이나”…혜택 커지는 알뜰교통카드 잘 쓰는 꿀팁은 - 매일경제
- “타이밍 못 맞추면 쫄딱 젖어요”…요란한 하늘, 소나기의 시간이 왔다 - 매일경제
- “속옷 거꾸로”...캄보디아서 사망 BJ 성폭행 의심 정황 - 매일경제
- ‘벤버지’ 벤투와 대한민국이 적이 된다? UAE와 3년 계약 임박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