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수익률 2%→5%로 올리면 … 노후자금 1.7억 더 생긴다
◆ 디폴트옵션 시행 ◆
오는 12일 본격 시행되는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는 최근 10여 년간 '양적 성장'에 치중해온 퇴직연금 시장이 선진국처럼 수익률을 통한 '질적 성장'으로 전환하는 중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연금 수익률이 물가상승률보다 낮은 현 상태가 지속될 경우 저출산·고령화에 더해 노후 빈곤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30년 장기 투자인 연금은 수익률이 1%포인트만 높아져도 노후 생활이 달라진다. 디폴트옵션이 투자문화를 바꾸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9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퇴직연금 시장은 지난 1분기 말 338조3660억원에 달한다. 지금 추세라면 퇴직연금 적립금은 2032년엔 1300조원까지 불어날 전망이다. 국민연금과 맞먹는 수준이다. 가파른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익률은 저조하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예·적금에 묻어둔 확정급여(DB)형 비중은 189조원(56%)으로 가장 높고, 가입자가 운용하는 확정기여(DC)형(85조원)과 개인형퇴직연금(IRP·64조원)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다.
보수적인 운용이 대세로 자리 잡아온 탓에 10년간 연평균 운용 수익률은 2.39%에 불과하다. 가입자가 직접 운용하는 DC형 수익률도 2.73%에 그친다. 말만 DC형이지 예·적금 등 원리금 보장 상품 비중이 80%에 달한다.
문제는 물가상승률도 따라잡지 못하는 수익률로는 노후 생활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5.1%로 퇴직연금 수익률의 두 배에 달한다. 실질적인 돈의 가치가 하락한 셈이다. 최종진 미래에셋증권 연금본부장은 "원리금 보장 상품 선호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은 물가 상승에 따른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상당수 가입자가 상품을 스스로 결정하는 것을 막막하게 여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매일경제가 미래에셋증권과 DC형 퇴직연금 가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상품 운용을 연 1~2회 했다는 응답(45.6%)이 가장 많았고, 최근 1년간 상품 운용 지시를 한 번도 하지 않은 가입자가 38.2%에 달했다. 운용 중인 상품을 잘 모른다고 답한 비중도 17.6%나 됐다.
하지만 디폴트옵션이 본격 시행되면 가입자 간 운용 상품 선정과 이에 따른 수익률에 따라 향후 노후 생활 격차도 확연하게 드러나게 될 전망이다.
매일경제가 한화자산운용을 통해 투자 기간과 수익률에 따른 연금 수령액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따르면 매달 50만원을 적립하고 연평균 5% 수익률을 냈다고 가정할 경우 30년 후 연금 수령액은 약 4억1786만원에 이른다. 반면, 수익률이 2%에 그칠 경우 연금 수령액은 1억7000만원가량 줄어든다. 매월 100만원을 납입해 적극적으로 운용했다고 가정할 경우 연 수익률 2%는 30년 후 수령액이 5억원에 미치지 못하지만, 5%로 높아지면 8억원을 훌쩍 뛰어넘는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얼마 안 돼 보이는 수익률 격차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것이 장기 적립식 투자"라며 "디폴트옵션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노후 생활이 갈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향후 성패는 디폴트옵션 도입과 함께 가입자들의 높아진 기대수익률과 안전자산 선호라는 배치되는 투자심리를 어떻게 해소시키느냐에 달려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미래에셋 설문 결과에서도 10명 중 7명이 향후 5% 이상 기대수익률을 목표로 삼겠다고 했지만, 지금까지 운용은 저위험 자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노후 자산은 안전하게 투자해야 하고, 주식에 투자하면 결국 손해를 볼 것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여전히 남아 있다"며 "장기 안전 투자 성과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키고, 이에 걸맞은 선진국형 상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실제로 퇴직연금 가입자들은 디폴트옵션 제도를 정착하기 위해서는 '수익률 및 수수료 정보 강화'(48.5%)가 시급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적극적 제도 홍보'(17.6%) '투자 상품 다양화'(16.2%) '가입자 교육'(11.8%)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디폴트옵션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가입자들의 인식 전환과 함께 가입자 교육은 물론 투자 편의를 높이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임예진 근로복지연구원 퇴직연금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DC형 제도 가입자 대다수가 적격 디폴트 상품 중 타깃데이트펀드(TDF)를 선택한 배경은 저렴한 수수료와 장기적으로 우수한 수익률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며 "사용자 관점에서는 운용 손실에 대한 면책 조항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김정범 기자 / 김금이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에어컨 켜도 방이 너무 더워요”...살펴보니 실외기가 방안에 - 매일경제
- “이렇게 좋은데 왜 다 빈집이지?”...잘 짓고 유령 아파트가 된 사연은 [매부리TV] - 매일경제
- “한국에도 이런 곳이 있었어?”...올해 여행지 고민, 싹 날려버린다 [방방콕콕] - 매일경제
- 공매도 1.2조 vs 개미 1.6조…대혈투 이어지는 에코프로, 누가 웃을까 - 매일경제
- “선생님 저희는 어떻게 해요”…학생 울린 일타강사 폐강, 무슨 일이 - 매일경제
- [단독] “삼성꺼 살래, 애플꺼 살래?”…한판승부 예고한 ‘영혼의 라이벌’ - 매일경제
- “타이밍 못 맞추면 쫄딱 젖어요”…요란한 하늘, 소나기의 시간이 왔다 - 매일경제
- “1년에 79만원이나”…혜택 커지는 알뜰교통카드 잘 쓰는 꿀팁은 - 매일경제
- 오죽하면 재무상황도 깠다…우량 새마을금고도 속타기는 매한가지 - 매일경제
- ‘벤버지’ 벤투와 대한민국이 적이 된다? UAE와 3년 계약 임박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