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은 어떻게 병이 되었나?’ 그것이 궁금하다[화제의 책]
2021년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에 의하면, 2020년 기준 한국의 우울감 확산 지수는 36.8%로 OECD 주요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가 ‘우울의 시대’로 들어가고 있다”고 말해도 과하지 않다.
지속된 코로나19에다 경기불황과 과로 등으로 우울증이 증가하고, 그로 인한 극단적 선택도 늘어가고 있다. 우울증 관련 언론보도가 일상이 돼 가는 느낌이다. 이런 현상은 왜 빚어지는 것일까? 아울러 우울증에 점점 무뎌져 가는 상황은 한국 사회에만 닥친 비극일까?
‘우울증은 어떻게 병이 되었나?’(기타나카 준코 지음 / 제소희·이주현·문우종 옮김 / 이현정 감수 / 사월의책)는 의료인류학자인 저자가 일본에서 우울증이 폭발적으로 급증하게 된 과정과 이유를 심층분석한 책이다. 저자가 1990년대 말 북미 친구들로부터 “일본 사람들은 왜 우울증에 걸릴 만큼 일을 하느냐?”는 질문을 받고 답을 찾기 위해 지난 25년간 우울증을 연구한 결과물이다. 서구가 아닌 비서구의 사례를 추적해 우울증의 사회성을 여실히 보여준 이 책은 ‘의료인류학의 명저’로 꼽히며, 미국 인류학회의 ‘프랜시스 수’ 도서상을 받았다. 2011년 영어 출간 후 일본어·프랑스어·페르시아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저자는 ‘이전에는 흔치 않던 병이 어떻게 국민병으로 바뀌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우울증의 역사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한다. 그리고 임상 현장으로 들어가 의사와 환자의 상호작용 속에서 ‘우울증 서사’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인류학자의 시각으로 관찰한다. 나아가 시선을 병원 밖으로 옮겨 ‘과로 우울증’을 중심으로 국가 정책과 관련된 제도 변화까지 설명해 낸다.
이 책은 우울증이 단지 개인적인 질환이 아니라 제약회사, 행정 관료, 변호사, 노동조합 등 다양한 행위자에 의해 그 의미가 지속적으로 협상되는 ‘사회적 질환임’을 보여준다. 그러면서 저자는 신체적 기질, 과로사, 젠더 문제까지 우울증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새로운 시각으로 다룬다.
엄민용 기자 margeul@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문] 김준수 측 2차 입장문 “김준수 명백한 피해자, 어떠한 잘못도 없어”
- 쯔양 “있는 대로 다 말할 것”···‘구제역 공갈 혐의’ 재판 출석
- ‘세계는 지금’ 美 트럼프 2기는 ‘공화 천국’?···차기 내각의 구성원 조명
- [종합] ‘김준수 협박 금품 갈취’ 아프리카TV 여성 BJ, 구속 송치
- 에이핑크 윤보미, ‘나솔사계’ MC 신고식 완료! “빠짐없이 다 안다”
- 세이마이네임 키운 김재중의 성공···프랑스 공영방송채널 다큐서 조명
- 가수 태양, 비스테이지로 공식 팬 커뮤니티 오픈
- TWS(투어스), 신보 콘셉트 필름 추가 공개! 겨울 감성 가득 ‘첫사랑 소년美’
- 뉴진스 민지·하니, 日 매거진 ‘SPUR’ 2025년 1월호 표지 장식
- [종합] 김재중, 부모님 금술까지 챙긴다고? “내 카드 많이 쓰셨으면” (편스토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