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면도기로 겨드랑이 털을 밀게 된 진짜 이유 (영상)

선은양 2023. 7. 9. 0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운 날씨에 점점 짧아지는 옷, 그리고 다가오는 여름휴가까지.

사실 인간의 몸에 털이 있는 이유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여성 의복의 소매가 점점 짧아지며 민소매 원피스가 등장했을 때에도 겨드랑이 털은 모두가 갖고 있기 때문에 아무도 그 털을 없애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질레트는 여성들이 스타킹을 신으면 다리털을 감출 수 있으니 면도기를 사용할 일이 줄어든다고 생각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00년대까지 존재하지 않은 문화 '제모'
질레트, 1917년 여성 타깃으로 광고 시작
핀업스타일 부각해 다리 제모를 의무처럼

[더팩트ㅣ선은양 기자] 더운 날씨에 점점 짧아지는 옷, 그리고 다가오는 여름휴가까지. 어느 때보다 체모가 신경 쓰이는 때입니다.

요즘은 성별을 불문하고 많은 사람이 제모에 관심을 가집니다. 제모 부위도 방법도 다양해졌죠. 제모가 외모관리뿐 아니라 위생관리에도 좋다는 통념이 번지면서 관심이 더 늘어나고 있습니다.

사실 인간의 몸에 털이 있는 이유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털은 외부 세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죠. 다시 말해 미용 목적이 아니라면 인간이 털을 제거할 이유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이 '귀찮은 일'을 반복합니다. 제모에 대한 남성들의 관심이 늘고 있다지만 여전히 제모에 더욱 열을 올리는 사람들은 여성입니다. 남성들에게 제모가 '선택'이라면 여성들에겐 '의무'인 셈이죠.

우리는 (혹은 여성들은) 언제부터 털이 보이는 모습을 부끄러워하게 되었을까요?

1900년대에 들어 여성들이 제모하는 문화가 생겨났다. /픽사베이

1800년대까지 사람들에게 제모라는 생활습관은 없었습니다. 특히 옷으로 가려 보이지 않는 부위는 더했죠. 여성 의복의 소매가 점점 짧아지며 민소매 원피스가 등장했을 때에도 겨드랑이 털은 모두가 갖고 있기 때문에 아무도 그 털을 없애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세계 최대 면도기 생산 기업 '질레트'가 등장하기 전까지 말입니다.

1901년 질레트가 안전 면도기를 개발한 이후 남성들은 칼이 아닌 면도기를 이용해 수염을 깎기 시작했습니다. 질레트는 남성들이라면 누구나 아는 이름이 되었죠. 반면 수염을 깎지 않는 여성들은 질레트 면도기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기업은 더 많은 물건을 팔아야 하는데 인구의 절반이 자신들의 물건을 쳐다도 보지 않는 상황이었죠.

그래서 질레트는 1917년 여성을 타깃으로 한 광고를 만들어냅니다. 우선 면도날에 '질레트 마님'이라는 별명을 붙였습니다. 그리곤 '질레트 마님'을 이용해 털을 관리하는 여성을 세련된 여성처럼 보이도록 하는 광고를 끊임없이 노출했습니다. 광고를 본 여성들이 제모를 하지 않으면 유행에 뒤처진 사람처럼 여기게 만들었죠.

질레트는 스타킹을 신지 않은 '핀업스타일'을 유행시켜 여성들이 다리 제모를 하도록 유도했다. /픽사베이

다리 제모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당시 여성들의 치마 길이는 점점 짧아지고 있었지만 동시에 스타킹도 인기였습니다. 질레트는 여성들이 스타킹을 신으면 다리털을 감출 수 있으니 면도기를 사용할 일이 줄어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에 질레트는 스타킹을 신지 않는 '핀업스타일'을 꾸준히 광고에 내보내며 여성들이 다리 제모를 의무처럼 느끼도록 만듭니다.

질레트는 자신들이 개발한 면도날에 '면도(shave)'라는 표현도 쓰지 않았습니다. 여성들은 '면도'를 하지 않으니까요. 대신 '다듬기(trim)'라는 표현을 쓰며 마치 제모를 하는 일이 '원래 그래왔던 일'처럼, 당연시되도록 만들었습니다.

기업의 상술에 의해 생겨난 문화는 제모기, 레이저 제모, 왁싱 등 제모 시장을 확대시켰습니다. 제모를 하는 남성들도 생겨났죠. 다만 문화가 남긴 제모를 할 때의 '귀찮음'과 하지 않았을 때의 '민망함'은 덤입니다.

[참고문헌] 막시 라부쉬 지음, 성세희 옮김, 『상식 밖의 이야기』, 유노책주, 2023.

ye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