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은 올리고 신흥국은 동결…기준금리 ‘각자도생’ 시대, 왜?[머니뭐니]
미 연준 일부 위원 ‘금리 인상 지지’…7월 긴축 재개 가능성
[헤럴드경제= 문혜현 기자] 지난달 주요국 대부분이 금리 인상에 나선 가운데 신흥국들은 금리 동결 기조를 보이거나 오히려 금리를 인하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등 주요국의 금리 수준을 쫓아 금리를 인상했던 지난해와는 달리 물가 수준·파급효과 등을 고려해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신흥국의 경우 물가 둔화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지만 주요국은 여전히 높은 수준인 데다 전반적인 물가 기조를 나타내는 근원 물가 움직임이 더딘 상황이다. 지난달 금리 동결 결정을 내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일부 위원 중에서도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8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통화정책결정회의를 개최한 주요국 9개 중앙은행 중 7개가 금리를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르웨이와 영국 중앙은행은 시장 예상보다 높은 0.50%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에 나섰고, 캐나다와 호주 또한 금리 인상을 재개했다. 스웨덴, 스위스 중앙은행과 유럽중앙은행(ECB)도 지난달에만 총 2.25%포인트 금리를 올렸다.
주요 10개국(G10,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이탈리아·캐나다·오스트리아·네덜란드·벨기에·스위스) 중앙은행은 올해 28회에 걸쳐 950bp(1bp=0.01%포인트) 금리를 올렸다. 특히 노르웨이의 경우 2021년 9월 금리 인상을 시작해 지금까지 총 3765bp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반면 로이터가 표본으로 잡은 개발도상국 18개 중앙은행 중 13개 은행이 지난달 통화정책결정회의를 개최했는데, 이중 11개는 금리를 동결했다. 중국은 기준금리를 0.1%포인트 인하하기도 했다.
18개 개도국(신흥국)은 올해 22차례에 걸쳐 금리를 1375bp 인상했다. 주요국보다는 높은 수준이지만 이는 지난해 단행된 7425bp의 5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신흥국이 주요국보다 더 빨리 금리 인상에 나선 데다, 이미 가파르게 금리를 올린 만큼 파급효과를 지켜보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 결정의 가장 큰 이유는 물가 수준 차이”라며 “유럽 국가 같은 경우 물가 수준 자체도 높다. 다른 주요국은 소비자물가가 하향 안정화되고 있지만 근원물가는 훨씬 경직돼 있는 점이 많다”고 평가했다.
그는 “신흥국의 경우 물가상승률 변동성이 크고 정부 통제가 강한 편”이라며 “기준금리를 조정했을 때 지표가 빠르게 바뀐다. 중국의 경우 물가가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지 않나. 금리로 대응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라고 했다.
실제 신흥국 기준금리는 인도가 6.5%, 필리핀 6% 등으로 이미 높은 수준이다. 베트남도 한때 6%를 기록하는 등 높은 기준금리를 유지한 후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내리고 있다. 또한 신흥국의 경우 관광 국가가 많아 관련 수요 증가로 경제 지표도 양호한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반면 미국 경제 전문 방송 CNBC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주요 7개국(G7,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이탈리아·캐나다)의 평균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은 4.6%로 나타났다. 2021년 9월 이후로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여전히 2%를 훨씬 웃돌고 있다.
특히 영국은 인플레이션이 4월 7.8%에서 5월 7.9%로 소폭 상승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영국은 지난달까지 13회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해 현재 5%까지 올라선 상태다.
올해 각국 통화정책 운용이 상이하게 나타나는 ‘각자도생’ 상황이 되면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추가 금리 인상이 전망된다. 미국 연준은 5일(현지시간) 공개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의사록에서 “거의 모든 참석자는 기준금리 유지를 적절하거나 용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일부 참석자는 25bp 금리인상을 선호하거나 인상을 지지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밝혔다.
금리인상 지지자들은 타이트한 노동시장, 견조한 경제 모멘텀, 물가상승률 2% 회귀 신호 부재 등을 근거로 들었다.
지난달에는 통화 긴축 정책의 누적 효과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이유로 금리를 동결했지만, 연내 두 차례 추가 인상을 시사한 만큼 이달 말 FOMC에서 금리를 다시 올릴 가능성이 크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과 유럽 같은 경우 서비스 수요 압력이 이어지고 있어 근원 물가 둔화가 더딘 상황”이라며 “노동시장 상황 또한 미국 내 실업수당 청구 건수 등이 여전히 강한 편이다. 고용 지표가 눈에 띄게 나쁜 쪽으로 나타나야 연준이 목표로 삼고 있는 2%대 물가상승률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여러 차례 공개 발언을 통해 연준 내에서 ‘2회 추가 인상’을 지지하는 여론이 우세하다고 밝힌 바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다음달 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확률을 88.7%로 보고 있다.
moon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낮 ‘상의탈의女’ 대구 길거리 활보 ‘깜짝’…누리꾼들 “역시 대프리카”
- “이 얘기 진짜야?”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을 필요 없었다
- “관음男-노출女가 만났네요” 조롱…둘은 ‘환상의 짝꿍’이었다[이원율의 후암동 미술관-살
- “63층 위에선 절대 안삼…드디어 보인다 5만전자”…40일천하 ‘7만전자’, 이제 다시 살 때? [투
- "죽을 거 같냐?" 18세 남고생 등 5명, 13세 여중생 집단폭행…공분
- ‘8억대 투자 사기’ 30대 男가수, 사기 사건 또 있었다
- 이천수 “경찰, 범인이 난 줄 알아 손사래 쳤다”…만취 뺑소니범, 어떻게 잡았나
- '음주운전' 혐의 가수 남태현, 벌금 600만원
- "맥도날드 버거에 토마토 빼겠다"…토마토 대란에 폭동난다는 이 나라
- ‘김연아 金강탈’ 소트니코바, 도핑 고백했는데…사라진 영상,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