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인허가·분양, 모두 안좋다"… 하반기 건설시장 전망도 '불안'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금융 비용 증가 등으로 공사비가 급증하는 가운데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올 2분기 건설시장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시장은 경착륙 방지를 위해 정부가 내놓은 각종 규제완화책이 시행되며 다소 회복세를 보였으나 급매물 소진과 금리 재인상 가능성에 따른 우려도 혼재하고 있다.
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지표로 보는 건설시장과 이슈'에 따르면 올 2분기 건설시장은 건설기성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표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건설경기 회복국면이 더욱 지연될 전망이다.
지난 4월 기준 건설업 동행지표에 해당하는 건설기성은 증가했으나 선행지표인 건설수주, 건축허가면적, 아파트 분양물량 등이 줄었다. 지난 1분기 건설수주는 직전 분기 대비 10.7% 내린 이후 4월에는 -50.6%을 기록했고 같은 기간 건축허가면적 변동률은 -8.5%와 -42.1%로 각각 집계되며 향후 건설경기 침체 우려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건설기성은 지난 1분기 11.5% 증가한 이후 4월에도 12.5%만큼 늘었다. 이는 기저효과와 더불어 그동안 누적된 건설수주와 건축허가의 시차효과인 것으로 연구원은 분석했다. 올들어 4월까지 누적 기준 아파트 분양물량은 4만7000가구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10만2000가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건축착공면적 역시 올해 4월까지 누계로 34.7%만큼 감소했다.
올해 전문건설업 시장의 경우 공사비 상승과 하도급 증가로 계약액이 증가하다 2분기 들어 감소세로 전환됐다. 지난 3월 14조원이던 전문건설업 계약액은 4월 10조7000억원, 5월 10조2000억원으로 하향 조정됐다. 지난달 전문건설업 경기체감도(BSI)는 38.9로 최근 3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파악됐다. 경영상의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타워크레인의 잔업거부나 안전수칙 준수 등 건설노조 현안, 기능인력의 수급난, 생산체계 개편에 따른 업역충돌과 수주경쟁의 심화 등이 지적되고 있다.
오는 3분기 역시 건설경기 부진에 따라 전문건설업 계약액이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전반적인 건설경기 침체와 거시경제 여건 악화에 따라 전문건설업 업황 역시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공사계약 이후 필요한 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업계가 맞닥뜨린 난관이나 불확실한 시장상황으로 인한 공사발주 지연 등을 감안하면 단기적으로 전문건설업은 부진 상태에 머무를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2분기 주택시장은 규제 완화와 누적 가격 조정으로 가격 낙폭이 둔화되고 수급심리 개선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수도권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1%, 전세가격은 -0.23%를 기록했으나 지난해 12월 최저 변동치를 기록한 후 5개월 연속 하락폭이 둔화됐다. 전세가격 하락 곡선이 완만해지는 속도가 매매가 대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01%로 상승 전환됐다.
이 같은 회복세는 수급지수의 지속적 개선에 기인한다는 것이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판단이다. 지난해 12월 매매와 전세수급지수는 각각65.4, 63.5로 최저치에 머물렀으나 올해 5월에는 83.9, 84.5까지 올랐다. 지난해부터 주택 가격이 떨어지자 급매물 중심의 거래가 발생했고, 이로 인한 수급 여건 개선이 가격 낙폭 둔화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올 3분기 주택경기는 가격과 수급 여건이 나아지며 저점에 근접할 전망이나 연체율, 분양시장, 주택거래량 등 위험 요인도 상존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 연구위원은 "한국은행이 연달아 3.5%로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주택가격 하락 압박은 완화되고 있으나 환율과 금융시장 불안감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라며 "최근 분양시장이 부진하고 착공물량 자체가 감소하는 등 공급 측면에서의 조정 국면에 따라 파생되는 주택 시장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지난 4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1365가구로 전월 대비 연속해서 감소하고 있으며 준공후 미분양은 8716가구에 머물렀으나 이는 수요 불안정성으로 인해 건설업체가 분양과 착공에 소극적으로 나서기 시작하며 촉발된 결과일뿐 부동산 시장 회복의 신호는 아니라는 해석이다.
정영희 기자 chulsoofriend@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교실은 지금] "선생님, 카톡 프사 바꾸세요"… 트집 잡는 학부모 - 머니S
- "오빠, 사고쳤어?"… '음주 뺑소니 검거' 이천수 아내가 보인 반응은? - 머니S
- "손흥민 패스 받은 임영웅"… 세기의 만남 '목격담' 화제 - 머니S
- 선우은숙 "♥유영재 밥 해주려고 결혼했나"… 재혼한 지 얼마됐다고? - 머니S
- "유적인줄 몰랐다"… 콜로세움에 낙서한 남성, 궁색한 변명 - 머니S
- [Z시세] "꼴값하네요" "여기가 외국인가요"… 한국기업인데 왜? - 머니S
- 베트남 공연, 13곡에 53만원?… 블랙핑크 측 "사실 아냐" - 머니S
- [교실은 지금] "선생님이 10분 수업하고 유튜브만 봐요" - 머니S
- "얼마 만이야?" 류승범·엄태웅… 드라마 복귀에 쏠리는 시선 - 머니S
- "엄마 된 여배우 맞아?"… 손예진, 출국길을 런웨이로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