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채식 어렵다면, 고기 섭취 줄이자

김수미 2023. 7. 7. 21: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류 역사 속 고기는 사치품
점차 필요 이상의 육류 소비
동물 학대·탄소 배출 등 논란
식물성·세포 배양육 등 제시
“공장식 축산 극복 가능할 것”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Meat Me Halfway)/브라이언 케이트먼/김광수 옮김/애플북스/2만2000원

인류의 거의 모든 역사에 고기는 희귀한 사치품이었다. 산업혁명 시기를 거치며 가난한 집에도 고기 요리가 매 끼니에 올라왔지만, 고기는 늘 계급의 상징이자 열망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최근 공장식 축산에서 비롯되는 윤리적 공포,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탄소 배출 등에 대한 관심히 높아지며 육식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는 과격한 목소리가 나온다.

신간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원제 Meat Me Halfway)’는 이런 극단적인 해결책 대신 다른 대안을 제안한다. 저자 브라이언 케이트먼은 육식 본능 때문에 채식주의자의 길을 포기하고 ‘리듀스테리언(reducetarian·reduce(줄이다)와 vegetarian(채식주의자)의 합성어)’ 재단을 설립하기도 했다. 육류를 아예 배제하는 대신 육류 섭취를 줄이자는 일종의 타협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목형 친환경 농장에서 뛰어다니는 돼지들. 다큐멘터리 ‘Meat Me Halfway’의 한 장면. 애플북스 제공
저자는 먼저 인간이 육류에 끌리는 이유를 진화 생물학 등을 토대로 설명한다. 육류는 지방질이 풍부해 칼로리가 높다. 육식 덕분에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인류의 뇌는 지금처럼 크게 발달했고, 소화기관은 작게 진화됐다.

인간은 점차 필요 이상의 육류를 소비하기 시작했고, 축산업계는 늘어나는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갖은 수단을 동원했다. 일례로 사료에 비정제 항생제를 넣어 사료비를 아끼고 닭의 출하 체중에 도달하는 시간도 단축했다. 또 교배를 통해 닭 무게를 두 배 가까이 늘리고 생명공학 회사들과 함께 닭의 유전 구조도 발전시켰다.

냉장고의 보급과 뼈에서 고기를 분리·가공하는 발골 기법의 발달, 싸고 편리한 패스트푸드의 확산 등은 육류 소비를 더 확대시키고 산업형 축산업을 발달시켰다.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도 고기 대중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기를 상하지 않은 상태로 최전선 부대까지 수송하기 위해 직사각형 블록 형태의 가공육 덩어리 ‘스팸’이 개발됐다.

산업형 축산업계는 대중을 겨냥한 마케팅과 홍보 캠페인뿐 아니라 입법 로비에도 적극 나섰다.

정치감시단체인 대응정치센터(CRP)에 따르면 적색육 및 가금류 산업계는 2016년 정치 캠페인에 1100만달러를 기부하고 연방정부 로비에도 800만달러를 지출했다. 그 돈으로 공장식 농장의 비위생적인 생산과정과 동물 학대를 고발하는 언론사와 동물단체의 잠입 취재를 막기 위해 소유주 동의 없이 농장에서 숨어서 촬영하거나 사진 찍는 행위를 금지하는 ‘에그-개그(egg-gag)’법 등을 만들었다. 또 뉴스에서 고기 관련 폭로가 나오면 언론사와 기자를 상대로 거액의 소송을 걸었다. 1996년 방송에서 “햄버거 먹고 싶은 마음이 사라져버렸어요. 난 안 먹을래요”라고 말한 오프라 윈프리도 육우업체로부터 소고기를 비방한 혐의로 1030만달러를 배상하라며 고소당했다.

공장식 농장이 동물과 환경에 미치는 대중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동물성 식품에 ‘방목(free-range)’, ‘인도적으로 키운(Humanely raised)’, ‘지속가능하게 키운(sustainably rasied)’ 등의 라벨이 붙지만 미 농림부에서 규정하지도, 공식적 정의도 존재하지 않는 용어들이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브라이언 케이트먼/김광수 옮김/애플북스/2만2000원
그럼에도 고기를 포기하는 일은 쉽지 않기에 저자는 친환경 농법의 ‘우수 육류’, 동물성 육류 맛과 최대한 가깝게 만드는 ‘식물성 육류’, 도축 없이 동물의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세포배양육’ 등의 대안을 소개한다.

각 대안들은 여전히 비싸고 각각 윤리적, 환경적 한계를 갖고 있지만, 다양한 기호와 도덕적 관점에 부합하는 대안이 많을수록 공장식 축산을 극복하는 것이 수월해진다고 저자는 믿는다.

‘고기는 절반만 먹겠다’는 말은 완전 채식주의자들에게 대안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 완전 채식주의자들이 잡식성 일반인보다 덜 엄격한 채식주의자들을 더 적대적으로 바라본다는 실험결과도 있다.

저자는 완벽한 채식을 하는 100명보다 완벽하지 않은 채식을 하는 100만명이 우리 사회를 바꿀 수 있다고 믿는다.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실천가능한’ 일부터 해보는 것이 가장 적극적인 방법 아닐까.

김수미 선임기자 leol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