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현지 소고기값 급등…강세 3~4년 더 갈 듯

하수정 2023. 7. 7. 17: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의 최대 소고기 수입국인 미국에서 육우 가격이 급등세다.

7일 미국육류수출협회에 따르면 미국 현지에서 '커트아웃(분할) 소고기' 도매가격은 지난달 말 파운드(0.4㎏)당 3.2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4% 상승했다.

올 1분기 미국산 소고기 수입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22.1% 내렸다.

가격 안정화 방안과 관련, 미국 소고기 수입 대상을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매가 2년 만에 최고
'커트아웃 육우' 현지서 24% ↑
가뭄·고비용에 사육 수 줄었는데
수요 늘어 미트플레이션 지속
한국, 美소고기 가장 많이 수입
계약 물량 반년 후 국내 들어와
연말부터 식탁물가 부담 커질 듯

한국의 최대 소고기 수입국인 미국에서 육우 가격이 급등세다. 미국 농가들이 가뭄과 생산비 증가로 사육 두수를 줄인 가운데 소고기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미국 소고기 가격이 앞으로 3~4년 더 강세를 보일 것으로 본다. 아직 안정세를 보이는 수입 소고기 가격도 연말부터는 미국발(發) ‘미트플레이션(고기+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올 들어 파운드당 3달러 돌파

사진=연합뉴스

7일 미국육류수출협회에 따르면 미국 현지에서 ‘커트아웃(분할) 소고기’ 도매가격은 지난달 말 파운드(0.4㎏)당 3.2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4% 상승했다.

지난해 파운드당 2달러대 박스권에서 움직이던 현지 소고기 도매가는 올해 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16일엔 파운드당 3.4달러를 찍어 2021년 8월(3.4달러) 후 약 2년 만에 최고가를 나타냈다. 코로나19로 생산량에 차질이 있었던 2020년 4, 5월을 제외하고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가격이다.

미국 현지에서 소고기 도매가격이 상승하는 이유는 네브래스카, 오클라호마, 텍사스 등 주요 생산지에 가뭄 등의 영향으로 방목지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 사료가격, 에너지비, 인건비 등이 급증한 것도 축산 농가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미 농무부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미국의 소 사육 두수는 8930만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3% 줄었다.

소고기 가격 강세는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양지혜 미국육류수출협회 아시아태평양 총괄은 “사육업자들이 사육 두수를 줄이기 시작하면 송아지 수도 감소해 1~2년 뒤 소 생산량은 더 줄어들 것”이라며 “올해가 생산량 감소 진입 시점인 만큼 앞으로 3~4년은 강세를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말 이후 식탁물가 위협 가능성

수입 소고기 가격은 아직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올 1분기 미국산 소고기 수입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22.1% 내렸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에서도 축산물가격은 1년 전보다 4.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지금 거래되는 수입 소고기는 6개월~1년 전 계약한 물량”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지에서 가격이 오르기 시작한 시점인 상반기 계약분이 들어오는 연말부터는 안심할 수 없다. 외식, 가공육 등에 폭넓게 쓰이는 미국산 소고기 가격 상승세는 식탁물가와 외식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호주산 등 대체제가 없진 않지만, 한국은 미국산 수요가 특히 많다. 지방 함유가 높은 구이용 고기에 대한 선호가 높아서다. 지난해 수입 소고기 중 54.1%(25만6910t)는 미국산이었다.

양 총괄은 “2021년부터 한국은 일본을 제치고 미국이 소고기를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가 됐다”며 “소득 증대로 육류 소비가 늘었고, 코로나19를 계기로 면역력을 강화하기 위한 단백질 수요가 급증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최근 몇 년간 급성장한 가정간편식(HMR)도 미국산 소고기 수요를 증가시킨 요인으로 꼽힌다. 양 총괄은 “HMR뿐 아니라 레스토랑 간편식(RMR) 등 창의적 아이디어로 한국처럼 미식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는 찾아보기 어렵다”며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해외에서도 한국의 밀키트 소고기 가공 현황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격 안정화 방안과 관련, 미국 소고기 수입 대상을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양 총괄은 “한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30개월 이상 월령의 미국 소고기 수입이 금지돼 있는 국가”라며 “발병률이 0에 가까운 광우병 때문에 수입 문턱을 지금처럼 높여둘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