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6천억 원…전년 동기 96% 급감

김관진 기자 2023. 7. 7. 09: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자가 주력인 반도체 업황 악화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부진으로 올해 2분기에도 1분기와 마찬가지로 금융위기 이후 최악 수준의 성적표를 받아 들었습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6천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95.7%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7일) 공시했습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1분기에도 작년 동기 대비 95.5% 급감한 6천402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쳤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주력인 반도체 업황 악화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부진으로 올해 2분기에도 1분기와 마찬가지로 금융위기 이후 최악 수준의 성적표를 받아 들었습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6천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95.7%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7일) 공시했습니다.

2009년 1분기 5천900억 원의 영업이익 이후 14년 만에 최저 수준입니다.

매출은 60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2.3% 감소했습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1분기에도 작년 동기 대비 95.5% 급감한 6천402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쳤습니다.

잠정실적은 천억 원대 숫자까지만 공개하기 때문에 실제로 1분기와의 비교는 이달 말 2분기 확정 실적이 나와야 알 수 있습니다.

부문별 세부 실적이 공개되지는 않지만,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3조∼4조 원대 규모의 적자를 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업계 전반적으로는 2분기 D램 출하량 증가 등을 감안하면 반도체 적자 규모가 1분기(-4조 5천800억 원)에 비해서는 다소 줄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합니다.

메모리는 DDR5와 고대역폭 메모리(HBM) 판매 확대로 출하량이 증가하고 가격 하락 폭이 줄며 적자 규모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1분기 실적의 버팀목이었던 모바일경험(MX) 사업의 경우 갤럭시S23 출시 효과가 감소하며 전 분기 대비 실적이 다소 저조한 것으로 보입니다.

김관진 기자 spiri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