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울경 취약계층 급증…‘빈곤 도미노’가 더 걱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사태로 경제적 취약계층도 증가했다.
지난 3년간 세대와 계층을 가리지 않고 전방위로 덮친 코로나19 충격으로 기초생활수급자(빈곤층)와 잠재적인 빈곤층인 차상위계층이 늘어난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7년부터 2019년까지 40~49세 빈곤층은 422명 증가한 1만6277명이었다.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 코로나19 기간 어쩔 수 없이 중산층 몰락과 빈곤층 증가라는 혹독한 시련을 겪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경제적 취약계층도 증가했다. 지난 3년간 세대와 계층을 가리지 않고 전방위로 덮친 코로나19 충격으로 기초생활수급자(빈곤층)와 잠재적인 빈곤층인 차상위계층이 늘어난 것이다. 이제는 ‘빈곤 도미노’가 불러올 지역 쇠락 등 암울한 현실을 걱정해야 할 판이다. 자영업과 서비스업 의존도가 높은 부산을 비롯해 울산과 경남에서 빈곤층으로 전락한 가구가 다른 곳보다 더 많았다고 한다. 취약계층에 짙게 드리워진 ‘빈곤의 그늘’을 거둬내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방치해서는 안 될 일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부산의 기초생활수급자는 코로나19 강타 직후인 2020년 1월보다 5만7240명 증가했다. 2020년 1월 부산 인구 341만1819명 중 17만3101명(5.07%)이 빈곤층이었다. 지난 4월에는 331만1402명 중 23만341명(6.96%)으로, 인구수는 줄어도 빈곤층 비율은 더 늘어났다. 그 여파로 빈곤가구 비중이 늘었다. 부산의 빈곤가구는 2020년 1월 전체 149만9152가구 중 12만8954가구(8.60%)에서 지난 4월 156만1666가구 중 17만1555가구(10.99%)로 2.39%포인트(4만2601가구) 증가했다. 지난 4월 10곳 중 1곳이 빈곤가구라는 계산이다. 같은 기간 울산의 빈곤가구는 2.18%포인트(1만1388가구), 경남은 2.02%포인트(3만5062가구) 각각 늘었다. 빈곤가구 증가율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부산, 울산, 경남이 1~3위를 차지했다. 부울경만 빈곤가구 증가율이 2%포인트 이상이었다. 그다음으로 증가율이 높은 곳은 대구 1.52%포인트(3만1994가구)였다.
특히 가장 왕성한 경제활동 계층의 빈곤층 급증은 우려스럽다. 무엇보다 40~49세에서 두드러졌다. 부산시 분석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지난 4월까지 40~49세 빈곤층은 3685명 늘어 2만423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7년부터 2019년까지 40~49세 빈곤층은 422명 증가한 1만6277명이었다. 코로나19 기간에는 직전 기간보다 새로 늘어난 빈곤층 수가 8.73배나 급증한 것이다. 연쇄적으로 어린자녀들까지 빈곤층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다. 같은 두 기간과 비교해 20대와 30대 빈곤층은 각각 1542명(2.72배)과 1529명(2.72배) 늘었다. 이는 지역을 등지게 하는 요인이기도 했다.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 코로나19 기간 어쩔 수 없이 중산층 몰락과 빈곤층 증가라는 혹독한 시련을 겪었다. 유독 부울경이 심했다. 이를 두고 관련 전문가는 “허약했던 소득 계층이 위기가 닥치자 더 큰 타격을 입었다”고 진단했다.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이 코로나19에 취약했던 것처럼 경제 면역력이 약했던 사람들부터 무너졌다는 것이다. 결국 일자리 부족과 허약한 경제 체질 개선이 요구된다. ‘빈곤 도미노’가 안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를 심도 있게 따지고 해결 대책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