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광종의 차이나 別曲] [251] 체념과 순종의 문화
가고 오는 것의 중간 어디쯤에 중국인들의 심성은 잘 머문다. 그들은 흐름의 가운데에 서서 앞뒤 상황을 살피며 행동하는 데 능하다. 그래서 ‘가는 것을 보내고, 오는 것을 맞이하다(送往迎來)’는 식의 수사(修辭)가 발달했다. 이 말은 봄·여름·가을·겨울의 순환 속에 서 있는 사람의 시선도 담는다. 새해 맞을 때 우리도 자주 쓰는 송구영신(送舊迎新)과 같은 맥락이다. 가는 것은 그대로 보내고, 오는 것 역시 그저 오는 대로 덤덤히 받아들이는 태도다.
이런 맥락에서 중국인들이 키운 대표적 처세훈(處世訓)이 있다. “어려운 시련이 닥쳐도 그냥 받아넘기다(逆來順受)”라는 말이다. 이 경우 중국의 인문은 강가를 자주 가리킨다. “동쪽으로 흐르는 강물에 다 버려라(付諸東流)”는 권유다. 일찍이 소개했듯 중국의 큰 하천은 대개 지형이 높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른다. 그 강물에 원한, 미움, 설움 등을 모두 버리자는 뜻이다. 제아무리 어렵더라도 그저 참고 견디자는 이런 식의 말은 중국인 특유의 체념적 인생관을 형성한다.
모욕을 참고 견딘다는 순종(順從)과 인욕(忍辱)의 태도가 그 뒤를 따른다. 제 뜻을 접고 욕됨을 받아들인다고 해서 굴욕(屈辱)이라고도 한다. 아무리 욕되더라도 그저 살아남고자 한다는 뜻에서 투생(偸生)으로 적기도 한다. 중국 민간에 오래 뿌리 내린 이런 심리는 “남이 제 얼굴에 침을 뱉어도 말라 없어질 때까지 놔둔다(唾面自乾)”는 식의 기이한 인내 문화로도 이어진다. 남을 다스리는 치자(治者)가 볼 때 중국인들은 더할 나위 없이 좋고 순한 군중이다.
압정(壓政)과 학정(虐政)에 시달리다 중국의 민간은 결국 반기(叛旗)를 올릴 수 있다. 그러나 평소에는 순종과 인욕에 참 익숙하다. 그렇게 말 잘 듣는 순민(順民) 13억명을 거느렸으니 영구 집권을 꿈꾸는 중국 공산당이 그리 이상치만은 않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레드오션도 누군간 1등을 한다, 100만대 팔린 스팀다리미의 비결
- 핵도 성공했는데…이스라엘은 왜 전투기 개발에는 실패했나 [영상]
- “보석같은 미일 동맹”....트럼프, 국빈 초청받은 일 왕궁서 최고의 찬사
- 11월 만든 구룡포 과메기 산지 직송, 쌈세트 포함 4마리 1만원대 공구
- 정치력 얻은 머스크, 오픈AI 때리는데 MS까지 함께 친다
- 박진 “동맹은 돈 아닌 가치, 한국은 ‘머니 머신’ 아니다”
- 尹 대통령, 아태 청년 지원 'APEC 미래번영기금' 설립 제안
- “Korea’s defense industry now proposes new approaches we can learn from,” says Lockheed Martin
- “우크라전 조력자 中에 반격”...나토 항모들, 美 공백 메우러 아·태로
- 무릎 부상 장기화된 조규성, 오랜만에 전한 근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