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갈 힘 되찾는 시의 ‘밭’

김진형 2023. 7. 7. 00: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안원찬 시인의 시집 '낮술은 너무 슬퍼서'에서는 불교적 색채 속 수행자의 시선이 느껴진다.

40여년간 외지에서 밥벌이 생활의 마침표를 찍은 시인은 고향 홍천에서 헌 집을 고친 후 '옥류산방'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기거한다.

어느새 "무심히 흘려들은 소리"에서 시인은 상자 속에 둥지를 틀고 살아왔다는 것을 깨닫는다.

시집의 마지막 문장은 이렇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원찬 시인의 시집 ‘낮술은 너무 슬퍼서’에서는 불교적 색채 속 수행자의 시선이 느껴진다. 40여년간 외지에서 밥벌이 생활의 마침표를 찍은 시인은 고향 홍천에서 헌 집을 고친 후 ‘옥류산방’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기거한다. 그의 시편에는 한참을 푹 우려낸 녹차 향이 느껴진다. 어느새 “무심히 흘려들은 소리”에서 시인은 상자 속에 둥지를 틀고 살아왔다는 것을 깨닫는다. 시골의 자연환경을 세밀하게 묘사하면서도 아름다움으로 미화시키지 않는다. 홍천의 전통 밭가는 소리의 일부를 차용한 시 ‘밭 갈다 새끼 낳고, 또 밭 갈고’에서 강렬한 느낌이 두드러진다. 밭을 갈다 새끼를 낳고 다시 쟁기를 끄는 어미 소의 모습을 통해 살아가는 생명의 힘을 체화시킨다. 시집의 마지막 문장은 이렇다. “저승이 너무 시끄러워서/함부로/죽지도 못하겠다/살아야겠다” 김진형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