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비리에 北평양 방문한 이후락 “솔직히 내가 안올줄 알았지요?”
박정희 정권실세 이후락 남북 회담사료 공개
北김영주 “김일성-박정희 정치협상 열어야”
南이후락 “처음부터 정상회담땐 실망 커져”
동서 데탕트 속 남북 동상이몽 고스란히 담겨
“나는 오리라 생각했습니다”(김영주)
1972년 5월 2일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극비리에 평양을 찾아 김영주 북한노동당 조직지도부장과 대면한 ‘역사적 순간’을 기록한 회담 사료가 6일 공개됐다.
이날 통일부는 1971년부터 1979년 2월까지 진행된 정치분야 남북회담문서 1678쪽 분량을 일반에 공개했다. 공개된 사료에는 1970년대 초 동서 진영 간 긴장완화(데탕트) 속에서 남과 북이 활로를 모색하면서도 치열한 수싸움을 펼치며 꿨던 ‘동상이몽’이 생생하게 드러났다.
사료를 살펴보면 이후락 부장은 방북 당시 평양 주암초대소에서 김일성 주석 동생인 김영주 부장과 만나 “인위적 장벽을 제거하는 시발이 되지 않겠느냐 생각해 친한 친구도 말렸지만 방북길에 올랐다”고 운을 뗐다. 이에 김영주 부장은 “시작이 반이라고, 우리가 마주 앉으니 절반은 (남북대화가)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고 화답했다.
북측 김 부장은 에두르지 않고 남북정상회담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 부장과 내가 정치협상을 하고 있는 만치 이 급에서 내려가지 말고 올라가야 한다, 그래야만 단번에 해결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정치협상은 우리당 총비(당총비서)동지(김일성 주석)와 박 대통령 간에 정치협상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거 북측이 대화공세를 펼치면서 흔히 사용했던 ‘톱다운(top down·하향식)’ 협상술을 펼친 것이다.
그러자 남측 이 부장은 실무선에서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나가는 ‘보텀업(bottom up·상향식)’ 전술로 응수했다. 그는 “처음부터 김 수상과 박 대통령이 회담을 하면 잘못될 경우 실망이 크게 된다”면서 “통일이 궁극적으로 이뤄질 때 김 수상과 박 대통령의 회담이 있어야 한다”고 맞받았다.
다만 김 주석이 방북한 이 부장을 만나 1968년 청와대 습격 미수사건(1·21 사태)에 대해 사과성 언급을 했던 사실이 후속 남북회담 사료를 통해 간접 확인됐다.
이 부장은 그 해 11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조절위원회 공동위원장 회의에서 “지난 번 (김일성) 수상께서도 좌경 맹동분자들의 책동(1·21 사태)를 나무란 일을 나는 기억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남북은 이 부장 방북 이후 박성철 북측 제2부수상의 서울 방문을 통해 대화를 이어갔다. 결국 남북은 그해 7월 4일 자주·평화·민족대단결의 통일 3대 원칙에 합의해 7·4 남북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남북은 성명을 발표하면서 서울과 평양을 잇는 직통전화(핫라인) 설치도 공식화했다. 이 대화채널은 기존 남북 간 연락채널이 단절됐을 때에도 기능을 유지하며 남측 국가정보원과 북측 노동당 통일전선부 간 비상 연락망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은 7·4남북공동성명 발표 이후 진행된 남북회담에서는 수차례 주한미군 철수를 주장하며 교착 국면을 만들었다.
남과 북 모두 대화에 힘 입어 유신헌법과 사회주의헌법을 관철시키고 1인독재 체제를 공고히 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나자 회담 동력도 약화되기 시작했다. 잇따라 터진 남북관계상 악재들도 회담을 발목잡았다.
또 남측 회담 수석대표인 이 부장에 대해서도 ‘민주주의의 교형리(絞刑吏·교수형 집행자)’ ‘사람잡이를 일삼던 자’ 등 원색적인 호칭을 썼다.
남북은 1974년 광복절 박정희 대통령 저격 미수사건 이후에도 회담 테이블에서 험악한 말싸움을 주고받았다.
남측은 박 대통령을 저격하려다 영부인 육영수 여사를 살해했던 문세광이 북측 지령으로 범행을 저질렀다는 수사 결과를 토대로 북측을 강력 비난했다.
장기영 남북조절위원회 남측 부위원장은 그해 9월 회의에서 “지난 8월 15일에 우리의 고통과 분노, 충격은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온 국민과 더불어 본인의 가슴을 메우고 있다”면서 “우리 민족사를 페이지마다 동포의 피로 얼룩지게 만든 장본인”이라고 북측에 쏘아붙였다.
이에 대해 북측 부위원장인 류장식 노동당 조직지도부 부부장은 “그따위 날조를 어디다 함부로 해”라고 목소리를 높이며 사과를 요구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제발, 이건 단종되면 안되는데”…3명중 1명 선택한 ‘이 카드’ 혜택보니 - 매일경제
- ‘먼지가 되어’ 유명 女가수, ‘청담동 술자리’ 보도 언론사에 5억 손배소 - 매일경제
- “이게 무슨 냄새야”…기차에서 중국인 부부가 꺼낸 전기밥솥 - 매일경제
- 원희룡 “양평고속道 노선검토·사업추진 전면중단 …모두 백지화” - 매일경제
- “유재석 덕분에 큰 행운”…복권 1등 당첨자 사연 들어 보니 - 매일경제
- “아이폰15 시리즈, 이렇게 바뀐다”…예상 스펙 살펴보니 - 매일경제
- “프리고진 반란에 푸틴, 비행기 타고 피신했다”…러 반체제 인사 ‘폭로’ - 매일경제
- ‘월급 286만원’ 평균 소득자 국민연금 10년 내도 월 35만7000원 불과 - 매일경제
- “한국 온다 했는데 연락두절”…무차별폭행 강제삭발 女기자, 무슨일이 - 매일경제
- 中, ‘e스포츠 르브론’ 페이커 부상 소식에 긴장 [아시안게임]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