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희 작가의 '신들린' 통찰력, 그냥 얻어진 게 아니다('악귀')

정덕현 칼럼니스트 2023. 7. 6. 14: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이 칠순의 어르신들만 남은 마을 백차골.

그곳을 찾아간 산영(김태리)과 해상(오정세)은 마을에 객귀(길에서 횡사한 귀신)들이 넘쳐나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어르신들도 하나둘 세상을 등져 점점 유령마을이 되어가는 백차골에서는 객귀가 사람에 붙는 걸 막기 위한 당제를 준비하지만 마을 어르신들은 힘에 부치고 누구도 찾아오지 않는 이 행사를 굳이 할 필요가 있냐고 답답한 마음을 토로한다.

백차골 같은 마을이 청년들이 도시로 떠나 어르신들만 남게 된 지역의 현실을 담고 있다는 점이 그렇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르물 대가 김은희 작가, 통찰과 깊이까지 고수가 되니 (‘악귀’)
‘악귀’에는 왜 청년 자살귀, 객귀 이야기가 등장할까

[엔터미디어=정덕현] 나이 칠순의 어르신들만 남은 마을 백차골. 그곳을 찾아간 산영(김태리)과 해상(오정세)은 마을에 객귀(길에서 횡사한 귀신)들이 넘쳐나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어르신들도 하나둘 세상을 등져 점점 유령마을이 되어가는 백차골에서는 객귀가 사람에 붙는 걸 막기 위한 당제를 준비하지만 마을 어르신들은 힘에 부치고 누구도 찾아오지 않는 이 행사를 굳이 할 필요가 있냐고 답답한 마음을 토로한다. 이장(이용석)은 매년 당제를 지냈다고 하는데, 어째서 이 마을에 객귀들은 이토록 넘쳐나게 된 걸까.

SBS 금토드라마 <악귀>가 가져온 객귀 이야기와 이를 몰아내기 위해 한다는 '허제비 놀이' 서사에는 주목할 만한 지점이 있다. 그건 바로 청년들에 대한 이야기다. 백차골 같은 마을이 청년들이 도시로 떠나 어르신들만 남게 된 지역의 현실을 담고 있다는 점이 그렇다. 실제로 빈 집들이 넘쳐나 유령마을 같은 지역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현실이 아닌가.

<악귀>는 그러나 청년들이 떠나 소멸되고 있는 지역의 어려움만이 아니라, 그렇게 도시로 떠난 청년들의 좌절 또한 담고 있다. 당제를 반대하며 제에 쓸 허제비 인형을 불태워버리는 박씨 할머니(이용이)의 이야기가 그것이다. 해상처럼 집안에 들어온 객귀를 알아보는 할머니는 하지만 전혀 놀라지 않고 객귀를 위한 밥상을 마련하고 함께 밥을 먹고 있었다. 그 객귀는 바로 시골이 싫어 도시로 떠났지만 결국 자살해 시신으로 돌아온 딸이었다.

객귀를 보고도 왜 피하지 않냐는 해상의 물음에 할머니는 이렇게 말한다. "왜 피하겠어. 몇 십 년 만에 집에 돌아온 딸을. 답답한 시골마을 싫다고 도시로 나가겠다고 가출했었어. 그런데 뭐가 그렇게 힘들었는지 자살해 버렸어. 하루도 잊어본 적이 없는데 내가 왜 얘를 피하겠어."

모든 게 도시를 중심으로 돌아가고, 그래서 시골에서는 할 수 있는 게 점점 없어지는 청년들은 도시로 몰려든다. 하지만 가난한 청년들이 도시의 빈민으로 그 살풍경한 경쟁 속에서 살아가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시골에서는 더 이상 생존하기 어려운 청년들은 돌아갈 수도 없다. 결국 외지를 떠돌다 죽어서야 비로소 집으로 돌아오는 청년들을 '객귀'라는 소재로 풀어낸 게 바로 이 에피소드다.

<악귀>는 이미 고시원에서 벌어진 청년들의 연쇄 자살사건을 통해서도 고액의 등록금과 그걸 감당하기 어려워 사채에까지 손을 댔다가 학생 때부터 빚쟁이가 되고, 심지어 졸업 후 취업도 되지 않아 빚 독촉을 받다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극을 '자살귀'라는 소재로 풀어낸 바 있다. 즉 객귀나 자살귀 같은 오컬트 소재를 끌어왔고, 현실에서 벌어지는 불법 사채업이나 보이스피싱 같은 범죄 이야기가 더해졌지만, 그 장르적 재미에 머물지 않고 이를 통해 청년들의 현실 같은 사회적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는 것이다.

오컬트와 범죄스릴러를 오가며 귀신이 한 짓인지 범죄자가 한 짓인지를 두고 시청자들과 밀당을 하면서, 이러한 이야기에 현실에 대한 통찰을 더해 넣는 것. 그저 빠져서 보다보면 한 시간이 훌쩍 지나가는 몰입감 때문에 쉽게 써진 것 같지만 그 전후사정을 들여다보면 결코 만만한 작업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다. 거기에는 범죄와 민속학을 취재해 소재를 찾아내고 그것을 현실 문제로 통찰해내는 일련의 과정이 들어 있어서다.

<악귀>라는 귀신 들린 청춘의 이야기에 빗대 말한다면 말 그대로 김은희 작가의 '신들린' 필력이 아닐 수 없다. 그간 '장르물 대가'라는 칭호에 걸맞게 서사를 쥐락펴락하는 능력을 유감없이 보여준 김은희 작가에 깊이와 통찰까지 더해졌다. 그래서 <악귀>라는 작품은 김은희 작가가 새로운 세계로 나 있는 '문을 여는' 작품이 되지 않을까 싶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