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 집단주의 지수↑…늦게 잔다

정종오 2023. 7. 6. 10: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소득이 높을수록, 집단주의 지수가 높을수록 늦게 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면은 건강과 웰빙,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현대인이 얼마나 오래, 잘 수면을 취하는지에 대해 정확히 보고되지 않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은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가 이끄는 IBS(원장 노도영) 연구팀과 영국의 노키아 벨 연구소(Nokia Bell Labs)는 공동 연구를 통해 현대인의 '수면'이 사회적, 개인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를 6일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 공동연구팀 “건강과 웰빙 개선 위한 연구에 도움”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국민소득이 높을수록, 집단주의 지수가 높을수록 늦게 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면은 건강과 웰빙,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현대인이 얼마나 오래, 잘 수면을 취하는지에 대해 정확히 보고되지 않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은 전산학부 차미영 교수가 이끄는 IBS(원장 노도영) 연구팀과 영국의 노키아 벨 연구소(Nokia Bell Labs)는 공동 연구를 통해 현대인의 ‘수면’이 사회적, 개인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를 6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스마트 워치가 상용화되며 데이터의 대량 수집이 가능해진 기회에 주목했다. 노키아에서 개발한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미국, 캐나다, 스페인, 영국, 핀란드, 한국, 일본을 포함 11개국의 3만82명으로부터 4년 동안 수집한 5천200만 건의 데이터를 분석해 나라별 디지털 로그 기반 수면 패턴을 분석했다.

먼저 연구팀은 나라별 취침 시간, 기상 시간, 총 수면시간이 어떤지를 살폈다. 스마트워치 데이터에 기록된 취침 시간은 기존 설문지 기반 조사에 보고된 결과 대비 나라마다 수십 분에서 한 시간까지도 늦었다.

국민소득이 높을수록, 집단주의 지수가 높을수록 늦게 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집잔주의 지수가 강한 스페인과 일본의 경우 이번 조사에서 늦게 자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KAIST]

전 세계 평균 취침 시간은 자정(00:01)이고 기상 시간은 오전 7시 42분이었다. 기상 시간은 나라별로 비슷했다. 취침 시간은 지리적 문화적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다. 특히 국민 소득(GDP)이 높을수록 취침 시간이 늦어졌으며, 문화적으로 개인주의보다는 집단주의 지수가 높을수록 취침 시간이 늦었다.

조사된 나라 중 일본은 총 수면시간이 평균 7시간미만으로 가장 적었다. 연구팀은 이와 더불어 그동안 임상 연구에서 사용된 다양한 수면의 요소들을 정량화해 수면 효율성(취침 중 깨지 않고 연속으로 자는 시간의 비율)과 같은 질적 요인을 분석했다.

빅데이터를 사용해 성향 점수 매칭 기법(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PSM)으로, 개인마다 문화적 요인을 고정한 상태에서 운동량을 늘어나면 수면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가상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걸음 수가 늘수록 취침할 때 더 빨리 잠들고 밤에 덜 깨는 긍정적 효과를 확인했다. 운동량은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데 총 수면시간을 늘리지는 않았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운동의 긍정적 효과는 국가별로 다르며, 특히 미국과 핀란드에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난 반면 일본에서는 운동의 효과가 미미했다.

강원대 박성규 교수, KAIST 차미영 교수, 노키아 연구소의 퀘르시아 박사가 주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논문명: Social dimensions impact individual sleep quantity and quality)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출판 그룹의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실렸다.

퀘르시아 박사는 “수면의 양과 질에 사회적 영향이 절반이나 차지했다”며 “고소득 국가에서 업무 스케줄이 과도하고 근무시간이 길어지며 취침 시간이 늦어지고, 집단주의가 강한 스페인과 일본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취침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차미영 교수는 “수면은 웰빙, 비만, 치매 등과도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중요하다”며 “고령화 사회에서 국민의 건강 증진을 위해 적절한 수면의 양을 보장하고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개인의 노력은 물론 사회적 지원이 함께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수면의 지표를 쉽게 계산하는 코드를 무료로 공개해 첨단 수면 산업 발달에 이바지하고 다양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수면에 대한 벤치마크 데이터도 앞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