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새마을금고]② 12년 만에 또다시 뱅크런 위기… 부동산PF 부실이 ‘트리거’
연체율 늘고, 수신 잔액 줄자 위기설 퍼져
정부·새마을금고 “대출 부실, 관리 가능한 수준”
새마을금고가 금융권의 ‘약한 고리’로 부상하고 있다. 올해 초 예·적금(수신) 잔액이 국내 상호금융사 중에서 유일하게 줄었고, 연체율 상승 등 건전성이 급속도로 악화하고 있어서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등 새마을금고 위기론이 퍼지자 자금 이탈이 발생한 영향으로 보인다.
새마을금고는 최근의 금융 소비자 불안이 과거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위기와는 달리 부동산 PF 부실 우려에 원인이 있다고 판단, 정부와 부동산 대출 관련 관리를 강화해 금융 소비자의 불안 심리를 가라앉히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 부동산 관련 연체율 급증
높은 수신금리 등으로 꾸준히 늘던 새마을금고 수신 잔액은 최근 두 달 연속으로 감소했다. 한국은행·새마을금고중앙회 등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 수신 잔액은 258조2811억원으로, 전달(262조1427억원)보다 약 1.5%(3조8616억원) 줄었다. 지난 2월 말(265조2700억원)과 비교해선 2.7%(6조9889억원) 감소했다. 다만, 6월 말 기준 수신 잔액은 259조6000억원(잠정)으로 두 달 전보다는 다시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금고가 이 기간 상호금융권에서 유일하게 자금이 빠진 배경으론 건전성 우려가 있다. 우선 PF 등 부동산 관련 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최근 부동산 PF 수수료 비리 의혹 등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기도 하다.
행정안전부가 오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PF 대출과 비슷한 관리형 토지신탁 대출 연체액은 지난 2021년 말 60억원에서 지난 1월 1111억원으로 증가했다. 새마을금고의 올해 1분기 전체 대출 연체율도 5.34%로, 지난해 말 3.59%에서 1.75%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상호금융 전체 연체율(2.42%)의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여기에 올해 들어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과 크레디트스위스(CS) 사태가 발생하면서 금융소비자의 불안감이 커지게 됐다.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새마을금고에서 뱅크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며 우려가 퍼져나간 것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와 관리·감독기관인 행정안전부가 여러 차례 해명 자료를 냈지만, 공포감은 쉽게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세계적인 경기 위축, 부동산시장 위축 등으로 연체율은 6월 중순까지 지속해 증가했으나, 적극적인 관리대책으로 지난달 29일 기준 6.18%(잠정)로 연체율 감소 기조를 보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 반복되는 새마을금고 ‘뱅크런’ 우려…차이점은 부동산 PF
새마을금고는 12년 전에도 한 차례 뱅크런 우려에 휩싸였다. 2011년 당시 금융위원장이던 김석동 전 장관이 간부회의에서 “새마을금고와 신용협동조합이 시장 불안 요인이 되지 않도록 대비하라”고 발언한 내용이 알려지면서 금융 소비자들의 불안 심리를 증폭시켰다. 새마을금고는 표면상 건전성 지표가 양호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직전에 ‘저축은행 부실 사태’를 학습한 금융 소비자들은 불안감에 휩싸인 채 새마을금고에서 예금을 인출했다. 당시 새마을금고에서는 이틀 만에 1조2000억원의 예금이 빠져나갔다.
금융 당국 수장의 발언에 뱅크런이 현실화하자 정부와 새마을금고는 “부실 저축은행과 달리 PF 등 부실 투자도 거의 없기 때문에 건전성 지표도 양호하다”라고 예금주들을 달랬다. 또, 예금을 새마을금고에 재예치하면 약정이자를 모두 지급하겠다는 대책을 내놓으며 뱅크런 우려는 가라앉았다.
다시 한번 뱅크런 우려가 커진 새마을금고가 과거 위기 때와 다른 점은 부동산 PF 대출이다. 당시 새마을금고는 1인당 대출한도가 6억원으로 PF 대출로 인한 대규모 부실을 떠안을 수 있는 구조 자체가 아니었다.
그러나 저축은행 사태 이후 부동산 PF 대출이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까지 확산하고 부동산 경기 침체기까지 맞이한 지금은 PF 대출로 인한 부실 우려가 커질 수 있는 상황이 돼버렸다. 실제로 경기 남양주 등 일부 지역에 위치한 조합은 부동산 PF 부실로 통폐합까지 추진하면서 예금주의 불안 심리를 자극했다. 새마을금고 내부에서 PF 수수료 비리 의혹이 터진 점도 새마을금고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렸다.
◇ ”부실, 관리 가능”…PF 대주단 협약 가동
정부는 새마을금고 뱅크런 우려가 커지가 위기설을 잠재우는 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 부동산 PF 관련 대출의 부실 우려가 증가하긴 했으나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게 정부와 새마을금고의 설명이다. 새마을금고는 관리형 토지신탁·공동대출 등은 선순위로 우선 상환 대출이어서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그 규모는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담보인정비율(LTV) 역시 60% 수준으로 담보물 매각을 통한 회수가 가능한 상황이다.
특히 새마을금고는 부동산 PF 관련 대출이 부실화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자체 대주단 협약을 운영하고 있다. 전(全) 금융권 PF 대주단 운영 협약도 가입했다. 이러한 대주단 협약이 운영되면 부동산 사업장에 돈을 빌려준 채권 금융기관은 공동관리절차를 밟아 해당 사업장을 정상화하기 위한 만기 연장, 상환유예, 원금감면, 출자전환 등 채권 재조정과 신규 자금 지원을 할 수 있다. 사업성이 없어 도산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정상적인 부동산 사업장은 되살아날 수 있어 관련 대출의 부실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정부는 200억원 이상 공동대출 연체사업장 87개(총 3조2000억원)에 대해서도 사업장별 담당제를 운영‧관리 감독해 부실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현재 부동산 및 건설경기 하락 등으로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높아진 상태다”라면서 “새마을금고는 체계적인 연체율관리와 건전대출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하반기 중 연체율이 하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건전성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터리 열폭주 막을 열쇠, 부부 교수 손에 달렸다
- 中 5세대 스텔스 전투기 공개… 韓 ‘보라매’와 맞붙는다
- “교류 원한다면 수영복 준비”… 미국서 열풍인 사우나 네트워킹
- 우리은행, ‘외부인 허위 서류 제출’로 25억원 규모 금융사고… 올해만 네 번째
- [증시한담] 증권가가 전하는 후일담... “백종원 대표, 그래도 다르긴 합디다”
- ‘혁신 속 혁신’의 저주?… 中 폴더블폰 철수설 나오는 이유는
- [주간코인시황] 美 가상자산 패권 선점… 이더리움 기대되는 이유
- [당신의 생각은] 교통혼잡 1위 롯데월드타워 가는 길 ‘10차로→8차로’ 축소 논란
- 중국이 가져온 1.935㎏ 토양 샘플, 달의 비밀을 밝히다
- “GTX 못지 않은 효과”… 철도개통 수혜보는 구리·남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