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흥륜사 터서 고려시대 공양구 쏟아져
경주=이소연 기자 2023. 7. 5. 19: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라 최초의 사찰 '흥륜사(興輪寺)' 터로 추정되는 경북 경주시 사정동 일대에서 고려시대 불교 공양구(供養具·부처에게 바치는 물건이나 물건을 바칠 때 사용하는 기구)를 비롯한 유물 54점이 출토됐다.
경주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달 중순 흥륜사지 서편 하수관로 설치를 위해 사전 발굴조사를 진행하던 중 출토된 고려시대 공양구 등을 4일 처음 공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통일신라∼고려시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기와와 토기 조각을 비롯해 금동여래입상도 함께 출토됐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동 향로-금강저 등 유물 54점
“승려들, 솥에 담아 지키려 한듯”
“승려들, 솥에 담아 지키려 한듯”
신라 최초의 사찰 ‘흥륜사(興輪寺)’ 터로 추정되는 경북 경주시 사정동 일대에서 고려시대 불교 공양구(供養具·부처에게 바치는 물건이나 물건을 바칠 때 사용하는 기구)를 비롯한 유물 54점이 출토됐다.
경주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달 중순 흥륜사지 서편 하수관로 설치를 위해 사전 발굴조사를 진행하던 중 출토된 고려시대 공양구 등을 4일 처음 공개했다. 이번에 출토된 유물 54점은 모두 지름 약 65㎝, 높이 62㎝에 이르는 솥 안에 담겨 있었다. 솥 안에서 발견된 유물은 청동 향완(香垸·그릇 모양 몸체에 나팔 모양의 높은 받침대가 있는 둥근 향로)과 향로, 촛대, 금강저(金剛杵·불교에서 악을 물리치는 무기) 등이었다. 특히 촛대 위에 얹는 촛농 받침 가운데 꽃문양으로 제작된 형태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김동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화재나 전쟁, 폐사 등 위기에 처한 승려들이 공양구를 지키기 위해 솥에 담아 묻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통일신라∼고려시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기와와 토기 조각을 비롯해 금동여래입상도 함께 출토됐다.
흥륜사는 불교를 널리 전하기 위해 신라에 온 승려 아도(阿道)가 세운 7개의 절 중 하나라는 기록이 삼국유사를 통해 전해진다. 이후 폐사됐다가 527년 법흥왕(?∼540)이 흥륜사를 크게 짓기 시작해 544년 완성했다는 기록도 있다. 조선시대 화재로 소실됐다. 현재 흥륜사 터는 사적으로 지정돼 있다.
한편 이번 발굴조사 과정에서는 ‘영묘사(靈妙寺)’란 이름이 새겨진 기와 조각도 나왔다. 앞서 이 주변에서 ‘영묘지사(靈廟之寺)’가 새겨진 기와 조각이 나와 이곳이 흥륜사지가 아닌 영묘사지일 것이라는 의견이 학계에서 힘을 얻고 있다. 영묘사는 신라 선덕여왕이 630년대 창건한 사찰로 칠처가람(七處伽藍·신성한 7곳의 숲에 세워진 사찰 7곳) 중 하나로 꼽힌다.
경주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달 중순 흥륜사지 서편 하수관로 설치를 위해 사전 발굴조사를 진행하던 중 출토된 고려시대 공양구 등을 4일 처음 공개했다. 이번에 출토된 유물 54점은 모두 지름 약 65㎝, 높이 62㎝에 이르는 솥 안에 담겨 있었다. 솥 안에서 발견된 유물은 청동 향완(香垸·그릇 모양 몸체에 나팔 모양의 높은 받침대가 있는 둥근 향로)과 향로, 촛대, 금강저(金剛杵·불교에서 악을 물리치는 무기) 등이었다. 특히 촛대 위에 얹는 촛농 받침 가운데 꽃문양으로 제작된 형태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김동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화재나 전쟁, 폐사 등 위기에 처한 승려들이 공양구를 지키기 위해 솥에 담아 묻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통일신라∼고려시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기와와 토기 조각을 비롯해 금동여래입상도 함께 출토됐다.
흥륜사는 불교를 널리 전하기 위해 신라에 온 승려 아도(阿道)가 세운 7개의 절 중 하나라는 기록이 삼국유사를 통해 전해진다. 이후 폐사됐다가 527년 법흥왕(?∼540)이 흥륜사를 크게 짓기 시작해 544년 완성했다는 기록도 있다. 조선시대 화재로 소실됐다. 현재 흥륜사 터는 사적으로 지정돼 있다.
한편 이번 발굴조사 과정에서는 ‘영묘사(靈妙寺)’란 이름이 새겨진 기와 조각도 나왔다. 앞서 이 주변에서 ‘영묘지사(靈廟之寺)’가 새겨진 기와 조각이 나와 이곳이 흥륜사지가 아닌 영묘사지일 것이라는 의견이 학계에서 힘을 얻고 있다. 영묘사는 신라 선덕여왕이 630년대 창건한 사찰로 칠처가람(七處伽藍·신성한 7곳의 숲에 세워진 사찰 7곳) 중 하나로 꼽힌다.
경주=이소연 기자 always99@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日 “오염수 여름 방류 변경 없다”… 내주 한일정상회담 추진
- 김효재 “KBS, 피같은 수신료 무보직 간부 월급으로 탕진”
- 국민의힘, 이재명·김영주·임종성 윤리위 제소…野에 맞불
- “차라리 감옥 가서 편히 자고 싶다” 말로는 해결 안되는 새벽 층간소음[층간소음 이렇게 푼다]
- ‘6·25 영웅’ 백선엽 장군, 칠곡에 우뚝 섰다…3주기 추모식 개최
- 31년만에 새 시중은행 탄생…“대구은행 신청시 신속 검토”
- 광주지법 이어 수원·전주지법도 징용 피해자 배상금 공탁 ‘불수리’
- GS건설 검단 아파트 전면 재시공에 5년·1조300억원 소요 예상
- 김기현 “IAEA 못믿겠다는 野 답정너 반대…尹 탄핵·총선 승리 목적”
- “영장 보냅니다” 가짜 검사 으름장에…40억 뜯긴 의사